•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No.1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 격 흉위(㎝) 358 수고(m) 8.1 수관폭(m) 7.4, 6.3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 엽육을 갉아먹은 식흔 존재

가지 상태 상층부는 고사지 다수 발생 줄기 상태

양호( ), 공동(◉), 상처( ), 버섯( )

줄기에 버섯이 발생하고 있으며, 중앙의 줄기는 부패부를 제거하고 외과수술을 시행함. 큰 공동속에 뽕나무가 자라고 있음.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평균 1.4, 최고1.6

부정근 일부 발생

뿌리 분포 서-소(1), 북-중(1). 남-소(1),대(2)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전체적으로 수세가 쇠약한 상태이며, 고사지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주간부에 버섯과 이끼, 지의류가 발생하고 있으며, 공동 속에는 뽕나무가 자라고 있음.

- 주간부의 침수와 건조가 반복되면서 수세를 더욱 쇠약하게 하고 있음 - 육안 건강상태 : 쇠약함

6. 종합의견 및 대책

- 잎에 버들꼬마잎벌레 유충의 피해 흔적이 있지만 피해 정도가 심한 것은 아니 며, 전체적인 생육에는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나 버들꼬마잎벌레는 년간 발생횟수가 많고, 성충과 유충이 같이 피해를 주므로 피해 초기에 예방 방제를 실시하여 대발생을 예방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 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

- 침수 및 갈수시기를 정확한 일자 단위로 측정하는 시스템 마련 필요

남쪽 전경 동쪽 전경

- 42 -

No.2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41+37 수고(m) 7.4 수관폭(m) 3.7, 3.6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흐릿함( ), 약간변함( ) 지속적으로 신초가 발생하고 있음 가지 상태 고사지 없음

줄기 상태 양호(◉ ), 공동(), 상처( ), 버섯( )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1.1 부정근 많이 발생

뿌리 분포 서-중(2), 북-중(2), 남-중(1)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2014년 6월 22일 이식목. 암수 한쌍임.

- 전체적인 엽량은 많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신초가 발생하고 있음

- 수면과 접하는 줄기에서 부정근이 아주 잘 발달하고 있으며, 그전에 침수되었 던 부위에 발생한 부정근은 노출로 고사하고 있음

6. 종합의견 및 대책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으나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침수 및 갈수기 시기를 정확한 일자 단위로 측정하는 시스템 마련 필요

동쪽 전경 공기 중으로 노출된 곳의 부정근은 고사하고 그 아래 수면과 접하는 부분에 잘 발달된 부정근

No.3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52+43+39 수고(m) 7.8 수관폭(m) 2014. 6. 22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 지속적으로 신초가 발생하고 있음 가지 상태 고사지 없음

줄기 상태 양호(◉ ), 공동(), 상처( ), 버섯( )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1. 최고수심 1.17 부정근 다소 발생

뿌리 분포 남-소(15)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2014년 6월 22일 이식목

6. 종합의견 및 대책 - 이식한 지 3개월이 되지 않았지만 새잎이 왕성하게 나오는 것으로 보아 활착 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

북서쪽 전경 지속적으로 신초가 발생하고 있음

- 44 -

No.4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59 수고(m) 5.5 수관폭(m) 5.4, 4.2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전방 약 1m) 이상없음(◉), 흐릿함( ), 약간변함() 가지 상태 수간 첫줄기는 고사한 상태

줄기 상태 양호(◉), 공동( ), 상처( ), 버섯( )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0.3

부정근 없음.

뿌리 분포 노출된 뿌리 없음.

2. 병해충

발생부위 없음. 병해충명

심( ), 중( ), 경( )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근처 식생 영향 있음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인접하여 졸참나무가 세력을 뻗쳐 전체적인 수형이 휘어있음.

6. 종합의견 및 대책

- 수목의 위치는 생육이 유리한 물가 인접부에 있으나 수고가 낮아서 인근 졸 참나무의 왕성한 수관으로 인하여 햇빛을 많이 받지 못한 상태임

- 이에 인근 참나무의 수세를 약화시키는 조치가 필요

남서쪽 전경 - 주변수목에 영향을 받고 있다. 동쪽 전경 - 주변수목에 의해 수관이 남쪽으로 쏠려 있다.

No.5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66 수고(m) 4.8 수관폭(m) 5.6, 4.0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가지 상태 양호함.

줄기 상태 양호(◉), 공동( ), 상처( ), 버섯( )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0.05 부정근 없음.

뿌리 분포 노출된 뿌리 없음.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근처 식생 영향 있음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북쪽에 있는 참나무와 버드나무에 의해 피해를 입고 있음.

- 수목의 위치가 연중 대부분 토양이 있는 곳에 생육하고 있어서 수세 유지에 는 유리한 편이나, 주변 경합목(단풍나무, 버드나무, 참나무 등)이 있어서 주변 목의 수세를 약화시켜주는 조치가 필요

6. 종합의견 및 대책

남서쪽 전경 - 주변나무에 영향을 받고 있다. 동쪽 전경 - 수관이 주변 참나무와 심한 경쟁을 하고 있다.

- 46 -

No.6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38+28 수고(m) 4.8 수관폭(m) 5.9, 4.1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잎에 해충의 식흔이 곳곳에 보임 가지 상태 동측 줄기 하단부에 고사지 있음 줄기 상태 양호(◉), 공동( ), 상처( ), 버섯( )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0.5 부정근

뿌리 분포 동-소(1),중(1), 서-소(8), 북-소(5), 남-소(10)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근처 식생 영향 있음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수면과 접하는 줄기에서 부정근이 아주 잘 발달하고 있으며, 그전에 침수되었 던 부위에 발생한 부정근은 노출로 고사하고 있음

6. 종합의견 및 대책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

- 침수 및 갈수기 시기를 정확한 일자 단위로 측정하는 시스템 마련 필요

동쪽 전경 - 주변수목의 영향으로 남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다.

지제부 전경 - 만수위시 50cm 정도 잠기며 주변에 모세근들이 많이 노출되어 있다.

No.7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293 수고(m) 11.6 수관폭(m) 10, 9.1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엽육을 갉아먹은 식흔 존재

가지 상태 북측 부러진 가지에 고사지 1개 발생 줄기 상태 양호(◉), 공동( ), 상처( ), 버섯( )

옆으로 넘어진 줄기 외에는 전체적인 수세 양호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1.3

부정근 많이 발생

뿌리 분포 서-소(29),대(2), 북-소(19),대(3), 남-중(3)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주변공사 사항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옆으로 넘어진 줄기 외에는 전체적으로 수세가 양호함.

- 북쪽 줄기에 이끼 다량으로 발생함.

6. 종합의견 및 대책

- 잎에 버들꼬마잎벌레 유충의 피해 흔적이 있지만 피해 정도가 심한 것은 아니 며, 전체적인 생육에는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나 버들꼬마잎벌레는 년간 발생횟수가 많고, 성충과 유충이 같이 피해를 주므로 피해 초기에 예방 방제를 실 시하여 대발생을 예방한다.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 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남서쪽 전경 - 웅장한 수형을 보여준다 남동쪽 전경 - 과거 남쪽 큰가지가 고사했다.

- 48 -

No.8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165 수고(m) 9.1 수관폭(m) 8.6, 7.7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엽육을 갉아먹은 식흔 존재

가지 상태 북서쪽 고사지 3개 발생

줄기 상태 양호(◉), 공동( ), 상처( ), 버섯( )

남쪽의 가지는 부패로 인하여 과거 외과수술 실시한 흔적이 있음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1.7

부정근 많이 발생

뿌리 분포 동-소(4), 서-소(1), 북-소(1)

2. 병해충

발생부위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옆으로 넘어진 줄기 외에는 전체적으로 수세가 양호함.

- 북쪽 줄기에 이끼 다량으로 발생함.

6. 종합의견 및 대책

- 잎에 버들꼬마잎벌레 유충의 피해 흔적이 있지만 피해 정도가 심한 것은 아니 며, 전체적인 생육에는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나 버들꼬마잎벌레는 년간 발생횟수가 많고, 성충과 유충이 같이 피해를 주므로 피해 초기에 예방 방제를 실 시하여 대발생을 예방한다.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 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8번목 9번목

남쪽 전경 - 9번목과 나란히 좋은 경관을 보여준다. 버들꼬마잎벌레의 식흔 피해

No.9 조사일 2014. 9. 14 조사자 강기호, 이창하 규격 흉위(㎝) 133+184+138 수고(m) 7.8 수관폭(m) 9.7, 5.6

1. 기본 항목

잎의 상태 이상없음( ), 흐릿함( ), 약간변함(◉) 엽육을 갉아먹은 식흔 존재

가지 상태 북서쪽 고사지 3개 발생

줄기 상태 양호( ), 공동(◉), 상처(◉), 버섯(◉) 만수위시 잠기는 깊이(m) 1.1 부정근 많이 발달함.

뿌리 분포 동-중(3), 서-소(2),중(9),북-소(9),중(1), 대(1)

2. 병해충

발생부위 잎, 줄기 병해충명 버들꼬마잎벌레

하늘소, 나무좀류 심( ), 중( ), 경(◉)

3. 주변 식생 독립수( ), 비독립수( )

4. 주변 환경변화 없음( ), 있음( )

5. 특기사항

- 수간상층부에 고사지 쇠약지가 많이 발생했으며, 계속적으로 수세쇠약으로 고 사지가 발생하고 있다. 주간부에는 외과수술을 하였으나 재부패가 일어나고 공 동도 발생하였다. 특히 동쪽에 있는 나무에서 고사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6. 종합의견 및 대책

- 잎에 버들꼬마잎벌레 유충의 피해 흔적이 있지만 피해 정도가 심한 것은 아니 며, 전체적인 생육에는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함.

- 침수시 발생된 부정근이 수심 저하로 인하여 노출되면서 건조 및 고사되고 있 어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

남동쪽 전경 나무의 방어막이 하늘소류, 나무좀류에 의해

파괴되어 재부패가 진행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