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산항 항만하역재해현황

3.8.3 부산항 근속기간별 항만하역재해자수

2014년 근속기간이 5년∼10년, 10년 이상인 근속자가 51.9%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작업 시 자만심 및 방심에 의한 안전의식 결여가 그 원인으로 이들 장기 근속 자에 대한 안전의식 고취가 필요하다.

신규작업자의 경우 전문지식·결여, 주변 작업환경의 부적응 등이 재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안전교육을 통한 안전의식 함양, 재해다발자에 대한 교 육을 강화, 작업 중에는 긴장감을 늦추지 않도록 반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단위 : 명 구 분 1년 미만 1 - 3년 3 – 5년 5 – 10년 10년 이상

2004 15 28 25 17 9

2005 9 17 16 24 21

2006 6 15 24 18 8

2007 11 10 23 22 10

2011 14 - 2 2 6

2012 9 2 1 3 6

2013 9 2 3 4 3

2014 - 9 4 7 7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2 부산항 근속기간별 항만하역재해자수 추이(2004 - 2015년)

3.8.4 부산항 시간별 항만하역재해자수

2014년 시간별로는 12∼17시 사이가 48.1%, 7∼12시 사이가 29.6% 순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다.

단위 : 명 구 분 7 – 12시 12 – 17시 17- 22시 22 – 03시 03 – 07시

2004 19 20 34 13 8

2005 25 27 18 10 7

2006 17 11 21 12 10

2007 13 23 23 13 4

2011 7 8 6 2 1

2012 7 10 2 2 -

2013 9 10 1 1 -

2014 8 13 4 2 -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3 부산항 시간별 항만하역재해자수 추이(2004 - 2015년)

3.8.5 부산항 화물별 재해비율

2014년 화물별은 냉동물 48.1%, 철재 18.5%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들 화물 작업요령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구분

재해자 2004 2005 2006 2007 2011 2012 2013 2014

산물 - - - - - - - -

원목 7 7 4 6 2 - - -

철재 8 18 6 9 4 3 2 5

고철 1 - 1 1 - 3 - -

잡화 25 10 15 17 2 1 4 1

펄프 3 - 1 - - - - -

포장물 13 6 9 9 - 2 - 1

상자물 16 5 10 12 - - - -

컨테이너 9 19 11 5 3 2 2 2

냉동물 11 10 13 14 7 5 6 13

기타 1 12 1 3 6 5 7 5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4 부산항 화물별 재해비율 추이(2004 - 2015년)

3.8.6 부산항 단계별 항만하역 재해자수

작업 단계별로 보면 협소한 선창 내에서 장비와 인력이 동시다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열악한 선내작업의 경우 전체재해의 44.5%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하 역장비, 차량, 화물 및 인력이 혼합되어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야적, 직상 차·직선적에서의 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11 2012 2013 2014

선내 37 63 17 19 11 11 15 15

선측 - - - 3

직상차

직선적 16 3 13 11 1 - - 1

예·부선 - - - 1 - - - -

상·하차 14 4 11 3 4 3 1 3

야적 9 6 7 11 - 2 2 1

입·출고 13 7 9 14 - - - -

기타 5 4 14 17 8 5 3 4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5 부산항 단계별 항만하역 재해자수 추이(2004 - 2015년)

3.8.7 부산항 기인물별 항만하역 재해자수

기인물별로는 전체 재해자수 가운데 화물 18.8%, 적재물 13.5%, 본선설비 9% 하 역장비8% 순으로 비율을 점유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11 2012 2013 2014

본선설비 5 6 8 5 5 2 4 3

하역장비 8 10 4 2 3 2 3 2

정비도구 - 2 - 1 - - - 1

중장비 3 2 2 - - 1 2 -

차량 6 3 4 4 2 - 2 1

작업대 6 1 2 4 - - - -

하역도구 6 7 7 8 2 1 1 -

스링와이

어 3 2 3 2 - - - -

적재물 11 7 6 10 5 4 3 11

화물 16 23 16 9 4 7 1 3

복포 2 1 - - - -

묶음철사 9 3 4 5 - - - -

받침대 7 8 2 8 1 2 - 2

카고후크 1 1 4 2 - - - -

작업환경 6 7 6 6 - 2 - -

일기기후 1 1 2 - - - 1 1

기타 4 3 1 10 2 - 4 3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6 부산항 기인물별 항만하역 재해자수 추이(2004 - 2015년)

3.8.8 부산항 형태별 재해비율

2014년 형태별로는 충돌 29.6%, 협착 22.2%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 시 불필요한 행동을 금하고 안전지대에 머무르는 등 안전수칙 준수가 요망된 다. 또한 화물 및 각종하역 용구의 낙하·비래에 의한 재해가 많아 하역작업시 매 달린 화물 밑의 근로자 대피 지시 및 달줄, 달포대 등 적절한 하역 용구에 따른 이 송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선 장비 및 설비의 불량에 따른 협착재해가 최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작업 전 본선측과 사용기기 등에 대한 사전 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작업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육상 작업 시 기계·기구 충돌 및 화물과 작업자간 충돌을 예방하기 위 하여 유도자 배치 및 안전담당자의 지휘체계의 정립이 필요하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11 2012 2013 2014

추락 6 10 8 7 4 1 1 3

전도 6 21 6 3 3 3 4 5

충돌 9 8 12 10 6 4 7 8

낙하 7 8 4 7 - 1 1 1

비래 3 5 1 2 - 2 - -

붕괴 12 8 7 5 - - - -

협착 1 13 7 1 4 6 2 6

파열 1 - - - -

무리한 동작 30 8 17 18 2 - - 2

접촉 19 4 9 20 2 1 4 1

기타 - 2 - 3 3 3 2 1

자료 : 한국항만물류협회, 『항만하역재해통계 및 사례』, 2004~2015

Table 3-17 부산항 형태별 재해비율 추이(2004 - 2015년)

제 4 장 AHP 분석

4.1 AHP의 개요 및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