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서 Stata를 활용하여 연구문제와 관련된 주요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된 주요 통계 처리 과 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를 실시함으로써 조사대상자의 일 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독립변수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 다.

셋째, 변수들 간의 관계의 유의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구의 주요 변수 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넷째, 세대에 따른 복리후생제도별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 균차이 검증인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에 따라 나타난 결과에 대한 원인을 Focus Group Interview 내용을 함께 분석하여 살펴본다.

다섯째, 개별 복리후생제도가 세대별로 기업복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표준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제 4 장 연구분석결과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표본을 구성하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을 살펴보면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직급, 연령, 근속기간, 성별, 결혼 여부, 근무지, 세대에 있어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먼저 설문 응답자의 직급별 분포는 4직급(사원·주임·대리·과장)이 57.12%로 가장 많았고, 1직급(처장) 1.06%, 2직급(부장) 4.81%, 3직급(차 장) 16.40%, 5직급(기능직) 12.70%, 6직급(별정직) 7.90%이었다.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10∼20대 14.91%, 30대 22.57%, 40대 30.53%, 50대 이상의 비중이 31.99%를 차지하였다.

근속기간별로는 5년 미만 26.27%, 5∼10년 미만 7.39%, 10∼15년 미 만 15.89%, 15∼20년 미만 5.67%, 20∼25년 미만이 15.67%, 25년 이상 29.10%를 차지하였다.

성별로 보면 K공사의 높은 남성 직원 비율이 반영되어 남성의 비율이 80.40%로 여성 19.60%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로는 기혼이 72.48%이며, 미혼이 27.52%이다.

마지막으로, 근무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역본부가 81.10%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는 본사 8.44%, 특수사업소 5.82%, 건설본부 4.65%

순으로 나타났다.

위에서 설명한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표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포

(단위 : 명, %)

구 분 인원수 비율

직급별

1직급(처장) 52 1.06

2직급(부장) 235 4.81

3직급(차장) 801 16.40

4직급(사원·주임·대리·과장) 2,789 57.12

5직급(기능직) 620 12.70

6직급(별정직) 386 7.90

연령별

10∼20대 728 14.91

30대 1,102 22.57

40대 1,491 30.53

50대 이상 1,562 31.99

근속기간별

5년 미만 1,283 26.27

5∼10년 미만 361 7.39

10∼15년 미만 776 15.89

15∼20년 미만 277 5.67

20∼25년 미만 765 15.67

25년 이상 1,421 29.10

성별 남성 3,926 80.40

여성 957 19.60

결혼여부별 기혼 3,539 72.48

미혼 1,344 27.52

근무지별

본사 410 8.44

특수사업소 286 5.82

지역본부 3,960 81.10

건설본부 227 4.65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세대별 기준으로도 구분해 보면 X세대가 43.1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밀레니얼 세대가 36.74%, 베이비붐 세대가 20.07%로 나타났으며, 분포는 다음의 표와 같 다.

[표 4-2] 조사 대상자의 세대별 분포

(단위 : 명, %)

세 대 인 원 수 비 율 누적비율

베이비붐세대(1955∼1964) 980 20.07 20.07 X세대(1965∼1979) 2,109 43.19 63.26 밀레니얼세대(1980∼2000) 1,794 36.74 100.00

제 2 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