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분석의 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홍대입구역과 합정역을 잇는 ‘양화로’인 근 블록들을 중심으로 대상지를 선정하여 그 경계를 확정한다. 스타트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정보를 제공하는 ‘로켓펀치’
포털 사이트를 통해 1차적으로 대상지 주변의 모든 기업들을 리스트업 하였다. 2차적으로 앞서 언급한 스타트업의 기준을 바탕으로 기업 홈페 이지를 방문해 업종, 업력, 규모 등을 확인하여 기준에 적합한 총 112개 의 스타트업 현황을 정리하였다. 또한 주력 업종 특성을 고려하여 통계 청 산업데이터 중분류를 기준으로 지식기반서비스업과 문화콘텐츠업, 그 리고 기타 업종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업종과 규모를 토대로 맵핑 을 통해 홍합밸리 내 스타트업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확인했다.
또한, 홍합밸리 내 지식기반서비스 및 문화콘텐츠 스타트업의 입 지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12개 업체 대표를 대상으로 방문 및 온라 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타트업의 성장단계별 입지결정요인의 차이 점을 비교하고, 타 밀집지역과의 비교를 위해 A, B, C 그룹으로 분류하 였다. A 그룹의 경우 창업한지 4년 미만의 업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한 적이 없고 현재 홍합밸리에 입지하고 있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였 다. B 그룹의 경우에는 설립부터 현재까지 홍합밸리에 입지하고 있는 7 년 이상의 업력을 가진 기업으로 설정해 입지 초기와 현재의 입지특성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C 그룹은 타 지역에서 홍합밸리로 이 주했거나 과거 홍합밸리에 입지하고 있다가 현재는 다른 지역으로 이주 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타 지역과의 입지특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추출한 데이터를 활 용해 홍합밸리에 입지한 스타트업의 입지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일반적으
로 활용되고 있는 스타트업 입지요인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한다. 앞선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림 2> 연구 대상지 설정
총 스타트업 업체 수: 112개
업종별 현황 기업군 설정
○ 지식기반서비스: 66개 업체
○ 문화콘텐츠: 25개 업체
○ 기타: 21개 업체
○ A그룹: 업력 3년 이하 / 61개
○ B그룹: 업력 7년 이상 / 19개
○ C그룹: 타 지역에서 이주하거나 홍합 밸리에서 타 지역으로 이주 / 12개
<표 6> 홍합밸리 스타트업 현황 및 기업군 설정
3.1.2. 데이터 수집 및 구성
서울시 스타트업 현황 및 업종과 전후방산업 분석에 사용한 데 이터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이용하였다.
구분 출처 활용
스타트업 현황 및 주요업종
○ 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 지도
○ 로켓펀치 스타트업 정보
○ 통계청 사업체기초조사 자료
국내 스타트업 주요 업종 및 현황과 홍합밸리 내 현 운영 중인 스타트업 파악 산업입지
이론 및 스타트업 입지요인
○ 관련 선행연구
○ 네이버 지식백과
베버의 공업입지이론, 클러 스터 이론, 제품주기 이론, 이윤주기 이론 등의 산업 입지이론 분석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스타트업 입지요인 파악 입지결정
요인 도출 ○ 설문조사 및 인터뷰
홍합밸리 내 스타트업 대 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실시
<표 7> 데이터 출처
구분 설문조사 및 인터뷰 실시 현황
설문조사 인터뷰
A 그룹
○ 지식기반서비스: 8개 업체
○ 문화콘텐츠: 5개 업체
○ 지식기반서비스: 4개 업체
○ 문화콘텐츠: 3개 업체 B
그룹
○ 지식기반서비스: 10개 업체
○ 문화콘텐츠: 5개 업체
○ 지식기반서비스: 5개 업체
○ 문화콘텐츠: 2개 업체 C
그룹
○ 지식기반서비스: 4개 업체
○ 문화콘텐츠: 2개 업체
○ 지식기반서비스: 3개 업체
○ 문화콘텐츠: 1개 업체
<표 8> 그룹별 설문조사 및 인터뷰 실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