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분할 발주)

Dalam dokumen 전력시장 구조와 주요 이슈 (Halaman 46-53)

에너지 안보

에너지 수입의존도(’14년): 95.7%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는 매장량 한계

-

확인매장량 기준 석유 41.6년, 천연가스 60.3년, 석탄 133년 (자료: BP)

화석연료는 지역적 편재로 공급불안 요인이 상존

-

70년대 두 차례의 석유파동, 걸프전쟁 등 에너지 자원의 무기화

※ 세계 우라늄 매장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장기계약에 의해 개발 및 수입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안정성 측면에서 유리

연료소요량 측면에서도 원전은 화력발전에 비해 적은 물량으로 대처 가능 (장기적 비축 운영 가능)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 1,000MW 발전소 1년 가동에 필요한 연료량(톤) ]

원자력

LNG

석유 석탄

30

110

만톤

150

만톤

220

만톤

경제성

고유가 상시화 등 높은 화석연료 가격은 경제전반에 큰 부담으로 작용, 원전은 낮은 연료비 비중으로 발전단가가 비교적 낮은 편

원자력발전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적 상황의 경우(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

GDP는 2005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1995년에는 0.32%, 2000년에는 0.53%, 2005년에는 0.37% 감소

-

수입은 1995년에 1.19%, 2000년에는 1.65%, 2005년에는 1.23%만큼 각각 증가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 전원별 균등화 발전비용(원/kWh) >

구 분 원자력 석 탄 LNG

용량(만kW) 100 140 50 100 40 80

사후처리비 인상분(’12)

반영 전 47.08 42.06

65.1 61.9 125.2 117.8 사후처리비 인상분

반영 후 48.15(+1.08) 43.02(+0.95) 사후처리인상분+

원전사고위험대응비용

+원전정책비용 등 49.95-53.90 44.82-48.77

(이용률: 90%)

주: 전력시장 정산단가(’13년, 원/kWh): 원전 39.1, 석탄 58.7, 가스 158.52 자료: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1

환경성

원자력발전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거의 없는 전원으로서 석탄발전 대비 1% 수준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 전원별 온실가스 배출량 >

구 분 석탄 석유 LNG 태양광 풍력 원자력

배출량(g/kWh) 991 782 549 57 14 10

자료 : IEA

[ ’14년 원자력발전량 156.4TWh를 석탄, 석유, LNG 대체 시 온실가스 배출 증가량 ]

155Mton

Increase in CO2 emission

30 60 90 120 150

122Mton

86Mton

후쿠시마 원전사고

고리1호기 정전 은폐사건

원전부품 납품비리 등

국민불신 증대

원전 안전성 강화

정비 및 부품 품질관리 강화

계획예방정비 확대, 구매 및 품질관리 시스템 개선

소통과 상생, 투명성 제고

투명한 정보공개, 주민참여형 원전운영협의회 구성

안전관리 강화 및 국민 신뢰 회복

원자력정책 주요 현안 및 과제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 원전 안전점검 및 개선대책 추진

① 고리원전 해안방벽을 7.5m에서 10m로 증축

② 차량 장착 이동형 비상발전기를 원전본부별로 1대씩 확보

③ 비상 디젤발전기 시설에 물을 차단하는 침수 방지용 방수문 설치

④ 침수에 안전한 위치에 비상용축전지 확보

⑤ 각종 펌프의 방수화

⑥ 전기 없이 작동 가능한 수소제거설비 설치, 수소폭발 예방

⑦ 격납용기의 압력 상승 막는 배기․감압 설비 설치 등

☞ 2012~2015년간 약 1.1조원 투입

사용후핵연료

2019년 월성원전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포화 전망

-

예상포화년도: 월성 2019년, 한빛 2024년, 한울 2026년, 고리 2028년, 신월성 2038년

-

현재 사용후핵연료는 임시저장시설 보관 중

기본방향

-

안전성 최우선, 국민적 공감대 하 추진

-

중단기/장기 관리대책 구분, 순차 추진

-

지속가능한 유치지역 지원대책 마련

※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권고안: 5년 후 부지 혹은 부지 조건 유사한 지역 선정 후 선정된 부지에 대해 지하 연구소 설치 및 운영 권고

(’15.7)

원자력정책 주요 현안 및 과제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 시설

자료 : 사용후핵연료 공문화위원회 권고안

폐로 대응

장기 운전 원전에 대한 폐로 대응 필요

-

현재 가동 중인 440여개 원전 중 431개가 2050년까지 수명이 다해 해체되어야 할 것으로 추산(IAEA)

제도 개선, 기술 개발, 재원 마련 및 운영 준비 필요

-

(제도) 해체 계획서 제출 이외 규제 요건, 기준 구체화 수준 미흡

-

(기술) 기초, 원천 성격의 요소 기술 중심 개발로 실제 해체를 고려한 엔지니어링 기술 및 전문인력 부족

-

(재원) 해체 비용 운영의 전략, 조직, 실행 관리 역할이 불명확

원자력정책 주요 현안 및 과제

< 기간별 설계수명 완료 상용원자로 기수 >

구 분 2011-2020 2021-2030 2031-2040 2041-2050 총계

세계(기) 142 205 52 32 431

한국(기) 1 11 4 5 21

자료 : IAEA, KHNP

Dalam dokumen 전력시장 구조와 주요 이슈 (Halaman 46-5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