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비생산성 활동의 연구범위

* Dwell days(2014년 평균) - Full:5.6일, Empty:10.8일 반입

Damage 검사

* 모든 컨테이너 Damage 검사

* Full 컨테이너만 Damage 검사

* Empty 컨테이너는 ODCY에 서 검사 후 반입

VBS (Vehicle Booking System)

* 미적용

* 반출입 패턴(9시에서 17시로 서 주간에 집중)

* Dubai Trade Center(PA) 에 서 관리

* 반출입작업 예약을 2시간 Slot 단위로 운영

* 터미널에서 Slolt당 최대작업 수량 등록(J2 경우 200대)

* 해당시간에 등록되지 않은 차 량 진입불가

* 반출입 패턴

·균등화 되어있으나 주간이 많음

(월)

2016년 2017년 2018년 상반기

물량

순작 업시

물량

순작 업시

생산

물량

순작 업시

1 446,145 17,299 25.8 491,314 19,490 25.2 529,943 21,663 24.5 2 450,105 17,491 25.7 505,509 20,063 25.2 565,366 23,173 24.4 3 484,853 19,219 25.2 474,516 18,990 25.0 626,881 25,062 25.0 4 440,342 17,506 25.2 469,010 18,981 24.7 585,041 23,496 24.9 5 443,943 17,573 25.3 531,425 20,630 25.8 566,248 22,733 24.9 6 438,493 17,005 25.8 544,321 21,358 25.5 539,879 21,562 25.0 7 465,354 18,861 24.7 591,507 23,484 25.2

8 442,050 17,691 25.0 585,215 23,942 24.4 9 453,017 18,220 24.9 552,729 21,956 25.2 10 490,352 19,449 25.2 531,225 20,992 25.3 11 488,782 19,798 24.7 538,686 21,320 25.3 12 506,467 19,173 26.4 523,797 20,920 25.0

5,549,903 219,288 25.3 6,339,254 252,125 25.1 3,143,358 137,668 24.8 자료: P 터미널 자료

Table 4-8 P

터미널 RMG 월간 순생산성

(단위: move, hr)

Page 33의 Table 4-3에서 P 터미널의 2016년도부터 2018년 상반기까 지 터미널 처리물량의 증가와 장치율의 증가 등으로 비생산성 활동 물량 의 증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는 Table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 기 간의 RMG의 순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짐을 볼 수 있다. 이는 P 터미널이 처리 물량의 증가로 인하여 야드의 운영을 6단 장치를 결정하여 2016년

및 2017년까지 야드 장치장의 확보를 위해 쇄석 장치장을 콘크리트 빔으 로 변환하는 장치장 공사와 기존의 5단 RMG를 6단으로 개조한 이후에 변화된 작업 환경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Table 4-9와 Table 4-10은 야드 장치장을 5단으로 운영하였던 2017년 과 6단으로 전환하여 야드 장치장을 운영한 2018년의 야드 장치율과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 반출 물량과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과 선적 물량 과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2017

장치율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

반출 물량 (move)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

선적 물량 (move)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 1월 77.1 23.4 75,788 9.5 128,717 5.3 2월 80.6 26.2 79,434 9.2 131,131 6.6 3월 65.7 20.8 88,812 9.5 127,304 4.3 4월 68.4 24.2 75,227 10.1 117,368 4.9 5월 77.8 25.2 83,854 9.6 137,493 6.5 6월 76.1 26.0 85,086 9.5 144,163 6.4 7월 76.3 28.3 89,373 9.8 148,438 7.7 8월 76.3 27.6 92,784 10.6 143,574 7.3 9월 69.2 27.3 92,807 9.9 130,822 6.9 10월 77.7 28.1 78,200 10.7 125,900 7.2 11월 71.3 26.4 83,015 11.5 135,317 6.4 12월 66.2 24.8 83,814 11.3 135,008 6.0 Table 4-9 2017 야드장치율과 반출 및 선적의 비생산성 활동 비교

(단위: %)

Fig. 4-2

장치율과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7)

Fig. 4-3

반출 물량과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7)

Fig. 4-4

선적 물량과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7)

Table 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장치율의 증감에 따라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반출 물량과 반출 비생 산성 활동 비율이 유사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선적 물량과 선적 비생산 성 활동 비율의 규칙성은 약간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018

장치율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

반출 물량 (move)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

선적 물량 (move)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 1월 70.3 25.6 88,852 12.5 126,922 6.3 2월 82.8 32.4 78,715 12.1 125,509 10.8 3월 78.3 29.8 98,230 13.1 138,154 7.7 4월 80.3 30.3 97,672 13.9 125,120 7.7 5월 75.3 27.4 93,301 13.1 124,556 6.8 6월 71.0 26.5 88,170 12.8 131,247 6.5 7월 64.8 24.8 81,000 12.5 128,194 4.4 8월 71.6 26.8 73,983 11.6 126,598 6.4 9월 69.3 26.7 71,263 11.6 131,886 7.0

Table 4-10

2018년 상반기 야드장치율과 반출/선적의 비생산성 활동 비교

(단위 : %)

Fig. 4-5

장치율과 전체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8)

Fig. 4-6

반출물량과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8)

Fig. 4-7

선적물량과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

(2018)

Table 4-10의 2018년 자료는 Table 4-9의 2017년 5단 장치로 인한 장 치율과 달리 P 터미널의 처리 능력 향상을 위해서 6단으로 터미널 야드 가 운영됨에 따라 장치율의 변화에 따른 전체 비생산성 활동 물량, 반출 물량과 반출 비생산성 활동 비율 그리고 선적물량과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Table 4-9와 Table 4-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치율의 증감과 반출 물량의 증감은 비생산성 활동과 연동되어 증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선적물량에 대해서는 연관성이 크지 않았다. 이 는 터미널에서 통제가 가능하고 정보 변경으로 인한 선적 물량에 대한 비 생산성 활동이 발생하는 물량에 대하여 선사에게 개선을 요구, 협조를 통 하여 운송사의 반입정보의 정확성 및 화주에 대한 모선 미지정 화물의 반 입 제한 등으로 선적 물량에 대한 것을 통제하는 것으로 선적에서 발생하 는 비생산성 활동의 물량을 감소시켜 왔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선적 비생산성 활동 비율이 전체 비생산성 활동에서 차지하 는 것이 반출 비생산성 활동에서 차지하는 것보다 적은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