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정박지 위험 요소
3.2.5 사고사례 조사
2012년 1월 19일 오전 11시경 파나마 국적의 3만t급 화물선 `글로벌 레거시` 호가 영일만항 북방파제 부근 5구역 정박지 M-17 구역에 정박 중에 기상악화 로 인하여 주묘가 발생하였고, 양묘 및 피항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기관 고 장으로 방파제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당시 해양경찰 실측기상은 북~
북동풍 12~16m/s의 강한 바람과 파고 4~5m의 높은 파도의 풍랑주의보가 발표
된 상황이었다.
사고 선박의 상세자료는 대상선박 중 유사한 크기의 선박으로 그 제원은 아 래 표와 같으며, Fig. 12는 포항해상교통관제센터에 저장된 당시 사고 선박의 사고 항적이 기록된 것이다.
선종 G/T DWT 전장 폭 흘수
화물선 30K 57K 189.9 32.26 11.30
Table. 19 Ship’s Specifications of DWT 30,000ton class
선종 앵커중량
(톤) 체인중량
1s’s(톤) 정면풍압
면적(A) 측면풍압
면적(B) 저질
화물선 4.35 3.263 609.4 2001.9 Gravel
Table. 20 Equipment Number of DWT 30,000ton class
Fig. 15 Trajectory of Ship occurred maritime accident
사고 선박의 파주력 계산은 앵커의 파주계수는 ASS형 앵커의 계수를 이용하 였고, 선박이 Ballast condition이고 앵커체인의 신출량을 8샤클, 수심 30m, 기 상은 파고가 4m, 조류는 0.4knot로 전제하여 수행하였다.
대상선박의 저질별 한계풍속은 아래 표와 같이 조사되었으며, 사고당시 투묘 를 한 수역의 저질은 자갈과 모래(GS : Gravel&Sand) 계열인 것으로 조사되어 외력과 파주력이 같아지는 시점은 풍속이 14.2~15.5m/s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Critical velocity (m/s)
holding power(t)
Chain holding part
: ℓ (m)
Total ex.
Force(t) Remark
Ballast
Mud 16.0 28.33 52.5 28.29
Sand 15.5 25.74 57.5 26.59
Gravel 14.2 22.63 70.2 22.41
Flat
rock 12.5 17.74 86.7 17.50
Table. 21 Comparison Table of each seabed of DWT 30,000ton class
Fig. 16 Comparison of each seabed of DWT 30,000ton class
해당 사고 선박은 풍랑 주의보 발효풍속인 14m/s에서 주묘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풍랑주의보 발효 이전에 주묘에 대한 대비를 했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당시 기상상태에서 주묘 발생후 대처하는 과정에서 기관고장으로 인 한 해양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된다.
다른 사례로는 2013년 10월 15일 포항항 제5구역 M-19 정박지에 정박했던
파나마 선적 Cheng Lu 15호(G/T 8천461t)가 북~북동풍 20~24m/s의 강한 바 람과 6~8m의 파도로 풍랑경보가 발효 중이었으며, 이날 오후 5시 46분께 영일 만항 북방파제와 충돌하여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영일만 M-19 묘박지에 내려놓았던 닻이 강풍과 높은 파도로 인하여 주묘가 되었고 선장은 긴급구조를 요청했지만 기상악화로 인해 구조의 손길도 미칠 수가 없었다. 선박 선수에서 긴 밤을 보낸 선원 7명이 16일 오전 해경에 구조됐고, 바다에 표류하던 선원 1 명도 극적으로 구조됐다. 그러나 구명보트를 타고 탈출을 시도했던 선원 9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되었다.
사고 선박인 Cheng Lu 15호의 제원은 Table. 22와 같다.
선종 G/T DWT 전장 폭 흘수
화물선 8K 14K 139.0 21.0 11.40
Table. 22 Ship’s Specifications of DWT 14,000ton class
선종 앵커중량
(톤) 체인중량
1s’s(톤) 정면풍압
면적(A) 측면풍압
면적(B) 저질
화물선 4.35 3.263 609.4 2001.9 Gravel
Table. 23 Equipment Number of DWT 14,000ton class
3 . 6 K M
Fig. 17 Trajectory of Ship occurred maritime accident - 2
파주력 계산은 선박이 Ballast condition이고 단묘박, 앵커체인의 신출량을 8.5 샤클, 수심 30m, 기상은 파고가 6m, 조류는 0.4knot로 전제하여 수행하였다.
대상선박 경하상태의 저질별 한계풍속은 저질이 Mud일 때 15.2m/s, Sand일 때 14.4m/s, Gravel일 때 13.4m/s, Rock일 때 11.5m/s로 아래 표와 같이 조사 되었으며, 사고당시 투묘를 한 수역의 저질은 자갈과 모래(GS : Gravel &
Sand) 계열인 것으로 조사되어 외력과 파주력이 같아지는 시점은 풍속이
13.4~14.4m/s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당시 해경 사고 기록에서의 기상은 풍속이
20~24m/s, 파고 6~8m의 풍랑경보 발효 중이었기 때문에 사고선박은 풍랑주의
보 발효되기 전부터 이에 대한 조치를 취했어야 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사 고 기록에 따르면 관제센터에서 지속적으로 피항을 권고하였으나 본선에서 이 를 따르지 않아 해양사고로 연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Critical
velocity (m/s) holding power(t)
Chain holding part
: ℓ (m)
Total ex.
Force(t) Remark
Ballast
Mud 15.2 17.80 34.6 17.62
Sand 14.4 16.19 42.4 15.99
Gravel 13.4 14.14 52.1 14.07
Flat
rock 11.5 10.87 70.4 10.81
Table. 24 Comparison Table of each seabed of DWT 14,000ton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