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3일
3)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 중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분리ㆍ선 별ㆍ압축ㆍ 파쇄ㆍ세척하는 등의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별표 1 제1호
가목부터 타목까지 및 같은 표 제2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유해물질을 폐기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같은 표에서 정한 기준 이상으 로 함유하는 폐기물은 제외한다)은 관할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제1호에 따른 생활폐기물의 기준 및 방법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수도권매립지 폐기물반입수수료 고시(단위 : 원/톤)
폐기물 종류 반입수수료 시 행 일 비 고
생활폐기물 62,076 2019.7.1
※ 사업장배출시설계 (기타) 신설 사업장생활계폐기물로 반입되는 폐기물 중 폐기물 관리법의 사업장배출시설계로 분류되는 일부 폐기물에 대한 항목 신설
70,056 2020.7.1
사업장생활계(자가) 102,167 2019.1.1
하수준설토 47,880 2019.7.1
59,882 2020.7.1
상․하수오니 47,941 2019.7.1
60,036 2020.7.1
고형화오니 122,559 2019.7.1
136,800 2020.7.1
중간처리잔재처리물 99,893 2019.7.1
사업장배출계(기타)* 102,167 2019.1.1
오니류 등 4종 83,358 2019.1.1
광재 등 17종 83,358 2019.1.1
생활소각재 62,076 2019.7.1
70,056 2020.7.1
건설폐기물 99,893 2019.7.1
비 용 추 계 서
1. 비용 발생 요인 및 관련조문 가. 발생요인
․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소재지 외 반입가산금 부과
나. 관련조문 : 인천광역시 광역폐기물처리시설 관리 및 운영 조례안제14조 (반입수수료 및 생산제품 가격 등)
2. 비용 추계결과
가. 비용추계의 전제
- 광역폐기물처리시설 반입수수료의 5년간 통계 기준 나. 추계 결과 : 5,811,188천원
(단위 : 원)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반입량(톤)* 131,183 147,373 147,373 147,373 147,373
반입수수료
(원/톤) 62,076 70,056 79,065 89,233 100,708
총반입수수료(원) 8,143,315,908 10,324,362,888 11,652,046,245 13,150,534,909 14,841,640,084 10%가산금(원) 814,331,590 1,032,436,288 1,165,204,624 1,315,053,490 1,484,164,008 서구 지원금 430,781,411 546,506,856 616,786,065 696,106,633 785,623,108 연수구 지원금 383,550,179 485,929,432 548,418,559 618,946,857 698,540,900
* 반입량 산출 :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입지지역(연수구, 서구) 제외
- 2020년 반입량 : 청라·송도 소각시설 대보수 예정으로 2018년 생활폐기물 실소각량 적용
· {177,831(청라 98,191, 송도 79,640) - 46,648(서구 29,385, 연수 17,263)} = 131,183톤 - 2021년~ 2024년 반입량 : 청라·송도 각 126,000톤/년 (420톤/일)
· 청라·송도소각시설 생활폐기물 반입량에서 서구·연수구 반입량 제외(‘16년~’18년 평균)
· {202,356(청라 109,872, 송도 92,484) - 54,983(서구 31,862, 연수 23,121)} = 147,373톤 o청라 : 생활폐기물 반입량 87.2%(재활용폐기물 6.6%, 사업장폐기물 6.2%), 서구 비중 29%
· 생활폐기물 126,000톤×0.872 = 109,872톤
· 서구반입량 : 109,872톤×0.29 = 31,862톤
o송도 : 생활폐기물 반입량 73.4%(재활용폐기물 12.5%, 사업장폐기물 14.1%), 연수구 비중 25%
· 생활폐기물 126,000톤×0.734 = 92,484톤
· 연수구반입량 : 92,484톤×0.25 = 23,121톤
* 반입수수료 산출기초 : 매년 12.86%씩 증액(‘19년 55,005원 / ’20년 62,076원 / ‘21년 70,056원)
다. 재원조달방안 :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소재지 외 반입가산금 3. 연도별 비용 추계표 : 붙임
4. 작성자 : 환경국 자원순환과장 이재충
연도별 비용 추계표
(단위 : 천원)
구 분 1차년도
(2020년) 2차년도
(2021년) 3차년도
(2022년) 4차년도
(2023년) 5차년도
(2024년) 계
세입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외 지역
반입수수료 가산금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소 계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세출
주민지원지원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소 계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재원 조달 시비 시비 시비 시비 시비 시비
국 비
시비
소 계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일반회계 814,331 1,032,436 1,165,204 1,315,053 1,484,164 5,811,188 특별회계
기 금 군․구비 민 간 기 타
군 구
인천광역시부평구공고 제2020-431호
도시관리계획 ( 제 1113 공병단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 결정 ( 변경 )( 안 ) 재공고 · 열람
인천광역시 부평구 공고 제2019-206호(2019. 2. 11.)로 공고·열람하고 인천광역시 부평구 공고 제2019–1077호(2019. 7. 8.)로 재공고·열람한 도시관리계획(제1113공병단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 (안)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8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2조에 따라 미리 주민에게 알리고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다음과 같이 재공고합니다.
2020. 3. 2.
인천광역시 부평구청장
1. 사유
인천광역시 부평구 공고 제
2019-1077
호(2019. 7. 8.)
로 재공고·
열람한 도시 관리계획(
제1113
공병단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
변경)(
안)
에 대하여 관련 기관(
부서)
의견 조치 계획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여 재공람하는 사안임2.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 게재 생략(열람 장소에 갖추어 둠)
3. 열람기간 및 의견제출 방법
○
열람기간:
공고일로부터14
일간○
의견제출-
상기 도시관리계획(
제1113
공병단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
변경) (
안)
에 의견이 있으신 분은 열람기간 안에 의견서를 열람 장소에 제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열람 장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청(
도시재생과, 032-509-6913,
부평구 부평대로168)
5. 관계도서
:
게재 생략(
열람 장소에 갖추어 둠)
기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