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력성 높은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생각이 사회적 관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어머니관계, 아버지관계, 친구관계, 선생님관계 수준을 각각 측정해 평균을 상회하는 집단과 평균 이하인 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이 자살충동 경험 비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했다. 먼저, 어머니관계 수준은 “어머니와 나는 사이가 좋은 편이 다”, “어머니는 나와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어머니와 나는 서로를 잘 이해하는 편이다”, “나는 어떤 문제이든 어머니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 등 5점 척도로 구 성된 4개 항목으로 측정했다. 분석 결과, 어머니와의 관계 수준이 높을 때 자살충동 경험 비 율이 교급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성 높은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충 동 경험 비율은 어머니관계 수준에 따라 최대 약 2.2배 차이를 보였다.
그림5-39. 어머니 관계 수준과 폭력적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생각
(단위: %)
∣제5장 폭력적 게임이용∣
98
▮2019 제11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아버지관계 수준은 “아버지와 나는 사이가 좋은 편이다”, “아버지는 나와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아버지와 나는 서로를 잘 이해하는 편이다”, “나는 어떤 문제이 든 아버지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 등 5점 척도로 구성된 4개 항목으로 측정했다. 분석결과, 아버지와의 관계 수준이 높을 때 자살충동 경험 비율 역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성 높은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충동 경험 비율은 아버지관계 수준에 따라 최대 약 2.4배 차이를 보였다.
그림5-40. 아버지 관계 수준과 폭력적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생각
(단위: %)
• 친구관계 수준은 “나는 친구들에게 내 문제에 관해 얘기할 때 내 자신이 부끄럽거나 어리석 게 느껴진다”, “나는 내 친구들이 현재의 친구들이 아닌 다른 친구들이었으면 좋겠다”, “나는 내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에도 외로움을 느낀다”, “나는 내 친구들 때문에 화가 나는 경우가 있다”, “내가 속상해 할 때 친구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내 친구들은 나를 이해해준다” 등 6개 항목으로 측정했다. 분석 결과, 친구와의 관계 수준이 높을 때 자살충동 경험 비율이 교급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낮았다. 폭력성 높은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충동 경험 비율은 친구관계 수준에 따라 최대 약 2배의 차이를 보였다.
그림5-41. 친구관계 수준과 폭력적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생각
(단위: %)
∣제5장 폭력적 게임이용∣
2019 제11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99
• 선생님 관계는 “나는 학교선생님과 사이가 좋은 편이다”, “나는 학교선생님께 내 고민을 털 어놓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등 2개 항목으로 측정했다. 분석 결과, 선생님과의 관계 수준이 높을 때 자살충동 경험 비율이 전반적으로 낮았지만, 선생님관계 수준에 따른 차이는 중학교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그림5-42. 선생님 관계 수준과 폭력적 게임이용 집단의 자살생각
(단위: %)
∣제5장 폭력적 게임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