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
안전교육 이수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30 97.3 97.3
없다 2 4 1.2 1.2
모름/무응답 9 5 1.5 1.5
339 100.0 100.0
D2_1
안전교육 도움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1 4 1.2 1.2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2 9 2.7 2.7
약간 도움이 되었다 3 102 30.1 30.9
매우 도움이 되었다 4 210 61.9 63.6
모름/무응답 9 5 1.5 1.5
비해당 -1 9 2.7
339 100.0 100.0
D2_2
이해가능한 언어로 안전교육 진행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36 40.1 63.3
아니요 2 70 20.6 32.6
모름/무응답 9 9 2.7 4.2
비해당 -1 124 36.6
339 100.0 100.0 D2. 귀하는 현재 일하고 있는 현장에서 안전교육(작업장에는 어떤 유해인자가 있고, 그것으 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D2-1. 그렇다면 안전교육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습니까?
D2-2. 안전교육은 모국어나 기타 귀하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진행되었습니까?
D3
직장에서 다치거나 병에 걸렸을 때, 산재/공상보험으로 치료와 보상 가능함에 대한 인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87 84.7 84.7
아니요 2 41 12.1 12.1
모름/무응답 9 11 3.2 3.2
339 100.0 100.0
D4
건설현장에서 다친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80 23.6 23.6
없다 2 252 74.3 74.3
모름/무응답 9 7 2.1 2.1
339 100.0 100.0
D4_1
건설현장에서 다친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번 1 42 12.4 48.3
2번 2 14 4.1 16.1
3번 3 6 1.8 6.9
5번 5 1 .3 1.1
자주/ 많았음 98 2 .6 2.3
모름/ 무응답 99 22 6.5 25.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3. 귀하는 직장에서 하는 일과 관련하여 다치거나 병에 걸리면 그것은 산업재해이며, 산업 재해 보상보험으로 치료와 보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D4. 귀하는 그 동안 한국에서 일했던 건설현장에서 다치신 경험이 있습니까?
D4-1. (다친 적이 있었다면) 몇 번이나 됩니까?
_________ 번
D4_21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1: 필요한 안전장비 없이 작업을 했기 때문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65 19.2 74.7
그렇다 1 13 3.8 14.9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22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2: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나 기구에 안전설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68 20.1 78.2
그렇다 1 10 2.9 11.5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23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3: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나 기구의 사용법을 잘 몰랐기 때문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69 20.4 79.3
그렇다 1 9 2.7 10.3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① 필요한 안전장비 없이 작업을 했기 때문에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②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나 기구에 안전설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③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나 기구의 사용법을 잘 몰랐기 때문에
D4_24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4: 작업에 사용되는 약품이나 기타 화학물질의 유독성으로 인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75 22.1 86.2
그렇다 1 3 .9 3.4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25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5: 한국말을 잘 알아듣지 못해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70 20.6 80.5
그렇다 1 8 2.4 9.2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26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6: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일을 해야 해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59 17.4 67.8
그렇다 1 19 5.6 21.8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④ 작업에 사용되는 약품이나 기타 화학물질의 유독성으로 인해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⑤ 한국말을 잘 알아듣지 못해서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⑥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일을 해야 해서
D4_27
건설현장에서 다친 이유7: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51 15.0 58.6
그렇다 1 27 8.0 31.0
모름/무응답 9 9 2.7 10.3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3
다쳤을 때, 산재/공상보험으로 처리한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번 0 51 15.0 58.6
1번 1 20 5.9 23.0
2번 2 1 .3 1.1
자주/ 많았음 98 1 .3 1.1
모름/ 무응답 99 14 4.1 16.1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41
산재/공상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이유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정도로 다치거나 아프
지 않아서 1 40 11.8 46.0
신청절차나 방법을 몰라서 2 9 2.7 10.3
회사가 원해서 4 4 1.2 4.6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으려고 관계자들이
책임을 서로에게 미뤄서 5 3 .9 3.4
일을 못하는 동안 생계문제로 6 1 .3 1.1
기타 7 6 1.8 6.9
모름/무응답 9 24 7.1 27.6
D4-2.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 표 시하십시오.
⑦ 기타
D4-3. 귀하가 다치거나 아프게 되었을 때 산재보험으로 처리한 적이 몇 번입니까?
_______ 번
D4-4.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V표 하십시오.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42
산재/공상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이유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신청절차나 방법을 몰라서 2 3 .9 3.4
산재로 인정되기 어려울 것 같아서 3 4 1.2 4.6
회사가 원해서 4 3 .9 3.4
일을 못하는 동안 생계문제로 6 1 .3 1.1
모름/무응답 9 76 22.4 87.4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43
산재/공상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이유3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회사가 원해서 4 1 .3 1.1
모름/무응답 9 86 25.4 98.9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_5
산재/공상보험으로 처리 않은 경우, 치료비 처리방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이 돈을 내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1 24 7.1 27.6
고용주가 돈을 내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2 24 7.1 27.6
본인과 고용주가 공동으로 치료비를 부담했
다 3 11 3.2 12.6
기타 4 4 1.2 4.6
모름/무응답 9 24 7.1 27.6
비해당 -1 252 74.3
339 100.0 100.0 D4-4.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V표 하십시오.
D4-4.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곳에 모두 V표 하십시오.
D4-5.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치료비는 어떻게 처리하였습니까? 해당되는 곳 에 모두 V표 하십시오.
E1
건설현장에서 조롱, 욕설을 들은 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67 49.3 49.3
아니오 2 169 49.9 49.9
모름/무응답 9 3 .9 .9
339 100.0 100.0
E1_1
조롱, 욕설을 한 사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한국인 1 151 44.5 88.8
모국인 2 8 2.4 4.7
기타 외국인 3 5 1.5 2.9
모름/무응답 9 6 1.8 3.5
비해당 -1 169 49.9
339 100.0 100.0
E1_2
조롱, 욕설을 들었을 때, 대처방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냥 참았다 1 116 34.2 68.2
똑같이 조롱이나 욕설로 대응하였다 2 12 3.5 7.1
팀장이나 현장관리자에게 시정을 요구하였다 3 13 3.8 7.6
다른 팀이나 현장으로 옮겨 줄 것을 요구하였
다 4 11 3.2 6.5
기타 5 13 3.8 7.6
모름/무응답 9 5 1.5 2.9
비해당 -1 169 49.9
339 100.0 100.0 E1. 귀하는 그 동안 한국에서 일했던 건설현장에서 조롱을 받거나 욕설을 들은 적이 있습니 까?
E1-1. (조롱 또는 욕설을 들은 적이 있다면) 주로 누구에게 조롱을 받거나 욕설을 들었습 니까?
E1-2. 현장에서 조롱 또는 욕설을 들었을 때, 귀하는 주로 어떻게 대처하였습니까? 하나만 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