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생활시간의 국제 비교 결과

III. 조사결과의 요약

3) 생활시간의 국제 비교 결과

∙ 국가 간 생활시간 비교는 1964년 A. 사라이가 미국과 유럽의 11개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이래 중요 연구 분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옴

∙ 그러나 데이터 수집이 어렵고, 조사연도와 시기, 방법, 대상, 행동분류기준, 집계방법 등이 상이하 여 실제 연구는 미진한 편임

∙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97년 유럽연합의 Eurostat에서 예비조사를 통해 통일된 조사항목과 방법을 모색한 뒤 HETUS(Harmonised European Time Use Survey)와 같은 통합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 으며, UN, UNESCO 등의 국제기구에서도 국제적 차원의 생활시간조사를 위한 작업을 지속적으 로 진행 중임

∙ 본 조사 또한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시간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살핌으로써 국제적 흐름과 맥락 을 함께 하는 동시에 국민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이고자 함

2) 비교 대상 및 각국 조사 자료의 성격

○ 비교 대상 자료의 선정

∙ 생활시간조사를 수행하는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80여 개국이 넘으나 실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제한적이며, 이 경우에도 조사시점과 조사대상의 수, 행동유목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어 수치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 어려움

∙ 이에 본 조사는 한국과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방법의 조사를 수행하는 일본을 중심으로 미디어 이 용을 비롯한 여러 행동을 비교하는 한편, 데이터 입수가 가능한 미국, 캐나다 등의 생활시간 자료 를 추가적으로 국제 비교에 활용

∙ 타 국가들의 2015년 조사결과 확보가 어려워 국제 비교는 2010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수행함

∙ 국제 비교를 위해 활용한 자료는 〈표 3-2〉와 같음

○ 각국 조사 자료의 성격

∙ 한국과 일본은 행동유목이 대체로 동일하고 5년을 주기로 조사가 이루어져 자료를 비교하기에 적 합함. 그러나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 한국은 텔레비전을 지상파TV와 유료방송으로 구분하고 IPTV, DMB 등 조사항목을 확대한 반면, 일본은 이전 조사와 동일하게 위성방송 및 케이블을 포 함한 모든 방송의 합계를 제시하는 등 세부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세심한 해석이 필요함

∙ 미국과 캐나다, 뉴질랜드는 노동행동 중 가사노동을 세분화하고, 교제활동 역시 참여 및 봉사활동

등의 하위유목을 두는 등 한국이나 일본의 행동유목과 차이를 보임. 미디어 이용을 큰 범주에서

측정하는 것 또한 큰 특징임

∙ 남아공의 경우 노동을 중심으로 하는 UN 국민계정체계 의거 생산활동(SNA(System of National Accounts) production)과 가사 및 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비-SNA 생산활동(Non-SNA production), 그 외 생활필수행동을 포함하는 개인관리(personal care)와 학업, 교제, 미디어 이용 등으로 구성되는 비생산활동(Non-productive) 범주를 중심으로 조사결과를 제시. 지역 및 인종에 따라 조사결과를 정리하고 행위자비율을 위주로 결과를 제시하는 것 또한 큰 특징임

국가명 조사년도 유효 피조사자수 조사연령 조사기관

한 국 2010 3,428 10세 이상 서울대언론정보연구소 / KBS

일 본 2010 4,905 10세 이상 NHK 방송문화연구소

미 국 2009 13,100 15세 이상 The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캐나다 2010 15,390 15세 이상 Statistics Canada

뉴질랜드 2009/10 9,159 12세 이상 Statistics New Zealand 남아공 2010 39,897 10세 이상 Statistics South Africa

* 일 본: 〈Japanese Time Use in 2010〉 [Online] Available: http://www.nhk.or.jp/

미 국: 〈America Time Use Survey 2009〉 [Online] Available: http://www.bls.gov/atus 캐 나 다: 〈General Social Survey 2010〉 [Online] Available: http://www.statcan.gc.ca/

뉴질랜드: 〈Time Use Survey 2009/10〉 [Online] Available: http://www.stats.govt.nz/

남 아 공: 〈A Survey of Time Use 2010〉 [Online] Available: http://www.statssa.gov.za/

<표 3-2> 국제 비교 대상 주요 생활시간조사의 개요

3) 생활시간의 국제 비교 결과

∙ 비교 대상 국가들의 생활시간조사는 조사 목적과 시기, 대상 뿐 아니라 조사유목 및 행동분류 정 의 방식이 매우 달라 직접 비교가 어려우므로 비교 자료에 대한 세심한 해석이 필요함

∙ 본 조사에서는 생활필수행동, 노동, 여가의 대분류를 중심으로 한국의 국민생활시간을 일본,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공의 다섯 국가와 비교하고(〈표 3-3〉), 이 중 미디어 이용에 대해서는 행 동유목이 비슷한 일본과의 구체적 비교 결과를 추가로 제시함(〈표 3-4〉)

(1) 국가 간 생활시간 비교

○ 생활필수행동

∙ 우리나라 국민은 수면, 식사, 신변잡일을 포함하는 생활필수행동에 2010년 평일 기준 하루 평균 10시간 34분을 소비하였음. 이는 비교 대상인 다섯 개 국가와 비교할 때 일본보다 많고 나머지 국가들보다 적은 수치임

∙ 이 중 수면량은 7시간 33분으로 일본보다는 19분 많으나 여타 국가들에 비해서는 크게 적음

∙ 식사시간은 1시간 50분으로 구체적 수치를 알 수 없는 남아공을 제외한 다른 비교 국가들에 비해

많게 나타남

∙ 신변잡일에 소비한 평균시간은 1시간 10분으로 일본(1시간 8분)과 비슷한 수준임

○ 노동

∙ 우리나라 국민은 일과 가사, 통근을 포함하는 노동에 2010년 평일 기준 하루 평균 6시간 32분을 소비하였음. 비교 국가 중에서는 일본의 노동시간이 가장 많고, 미국(5시간 12분)이 가장 적음

∙ 이 중 주로 직장에서의 근무를 뜻하는 일의 경우 한국은 4시간 35분으로 일본을 제외한 다른 국 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음

∙ 반면 가사의 평균시간량은 1시간 22분으로 다른 국가들, 특히 캐나다(3시간 11분)와 뉴질랜드(3시 간 14분)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임. 이는 가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캐나다나 뉴질랜드 국 민들과는 달리 한국 국민의 노동행동이 주로 직장에서의 근무를 중심으로 구성됨을 뜻함

○ 여가

∙ 우리나라 국민은 행락, 운동, 산책 등의 외부 여가활동과 휴식, 미디어 이용 등을 포함하는 여가행 동에 2010년 평일 기준 하루 평균 5시간 33분을 소비하였음. 이는 비교 대상 국가들 중 가장 많 은 수치이나, 한국의 경우 여가시간이 중복행동 시간량의 합산을 인정함을 감안할 때 타국에 비해 수치가 상대적으로 과대추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이 중 텔레비전 시청량은 2시간 9분으로 캐나다(2시간 6분)나 뉴질랜드(2시간 8분)와 비슷하고 일 본(3시간 28분), 미국(2시간 50분)보다는 적음

(2) 한국과 일본의 미디어 이용 시간 비교

∙ 전반적으로 일본이 인터넷을 제외한 미디어를 한국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텔레비전

∙ 지상파TV와 유료방송을 합산한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텔레비전 시청량은 평일 2시간 9분, 토요 일 2시간 40분, 일요일 3시간 22분으로 일본에 비해 약 한 시간 가량 적음

∙ 양국 모두 2005년에 비해 텔레비전 시청량은 감소하는 추세임

○ 라디오

∙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라디오 청취 시간량은 평일 9분, 토요일 8분, 일요일 4분으로 평일 20분, 토요일 19분, 일요일 15분인 일본에 비해 적게 나타남

∙ 양국 모두 2005년에 비해 라디오 청취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나 그 폭은 한국이 더 큼

○ 신문 잡지

∙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신문 열독 시간량은 하루 5분 이내로 하루 20분에 가까운 일본에 비해 적음

∙ 잡지 ․ 만화 ․ 책 또한 한국은 최고 7분(일요일)으로 10분 이상을 소비하는 일본에 비해 적음

○ 음악듣기

∙ 2010년 양국의 음악듣기 시간량은 한국과 일본 모두 8분 남짓으로 비슷함

∙ 그러나 이는 한국의 경우 2005년에 비해 증가한 반면, 일본은 감소한 수치임

○ 동영상보기

∙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동영상보기 시간량은 평일 1분, 토요일 2분, 일요일 3분으로 평일 13분, 토요일과 일요일 각각 20분을 나타낸 일본에 비해 크게 적음

○ 인터넷

∙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인터넷 이용 시간량은 평일 37분, 토요일 39분, 일요일 37분으로 일본에 비해 전 요일 모두 많음

∙ 양국 모두 2005년에 비해 시간량이 증가하였고, 증가량 역시 한국이 더 크나 일본은 취미나 오락 등 업무와 무관한 인터넷 이용 시간만을 집계한 반면, 한국은 정보검색, 커뮤니케이션, 쇼핑 등의 목적을 포함하므로 직접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단위: 시간:분)

전 국 민

한국(2010) 일본(2010) 미국(2009) 캐나다(2010)

뉴질랜드(09/10)

남아공(2010)

생활필수행동

10:34 10:03 10:40 10:45 11:00 12:34

수 면 7:33 7:14 8:40 8:17 8:48

12:34

4

식 사 1:50 1:32 1:13 1:02 1:25

신변잡일 1:10 1:08 0:47 1:27 -

노 동 6:32 8:17 5:12 6:38 6:13 5:30

일 4:35 4:58

3:18

3

3:11 2:59 2:50

통 근 0:35 0:37 0:25 - -

가 사 1:22 2:42 1:54 3:11 3:14 2:40

여 가

1

5:33 4:48 5:15 5:27 - 4:43

5

텔레비전 2:09

2

3:28 2:50 2:06 2:08 2:18

* 위 표는 한국의 행동분류를 기준으로 각국의 조사결과를 정리한 결과임. 국가마다 조사방법 및 행동분류의 정의가 다르므로 해석에 유의

* 한국과 일본은 평일, 나머지 국가는 조사일 평균 수치임

1. 여가(free time) 시간량의 경우 한국만 중복행동의 시간량 합산을 인정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수치가 과대 추정될 수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

2. 한국의 경우 텔레비전은 지상파TV와 유료방송을 합한 수치임

3. 미국의 경우 일 및 일 관련 행동(working and work-related activities)으로 합산된 수치를 제시함 4. 남아공의 경우 생활필수행동은 하위 유목의 구분 없이 개인관리(personal care)로 통합됨

5. 남아공의 경우 여가는 매스미디어 이용과 사회문화활동의 합산 수치로, 다른 나라에 비해 수치가 과소추정 될 수 있으므로 해석에 유의

<표 3-3> 국가별 전국민 전체평균 생활시간 비교

(단위: 시간:분)

전 국 민

한 국 일 본

평 일 토요일 일요일 평 일 토요일 일요일

텔레비전

1

05년 2:23 2:54 3:33 3:27 4:03 4:14

10년 2:09 2:40 3:22 3:28 3:44 4:09

증감 -0:14 -0:14 -0:11 0:01 -0:19 -0:05

05년 0:18 0:18 0:12 0:23 0:18 0:18

라디오

10년 0:09 0:08 0:04 0:20 0:19 0:15

증감 -0:09 -0:10 -0:08 -0:03 0:01 -0:03

05년 0:03 0:03 0:01 0:21 0:25 0:21

신문

10년 0:05 0:04 0:01 0:19 0:21 0:19

증감 0:02 0:01 0:00 -0:02 -0:04 -0:02

05년 0:06 0:07 0:08 0:13 0:16 0:17

잡지

만화

2 10년 0:04 0:05 0:07 0:13 0:14 0:15

증감 -0:02 -0:02 -0:01 0:00 -0:02 -0:02

05년 0:06 0:06 0:05 0:09 0:12 0:12

음악듣기

3 10년 0:08 0:08 0:07 0:07 0:08 0:10

증감 0:02 0:02 0:02 -0:02 -0:04 -0:02

05년 0:00 0:01 0:01 0:08 0:10 0:12

동영상보기

4 10년 0:01 0:02 0:03 0:13 0:20 0:20

증감 0:01 0:01 0:02 0:05 0:10 0:08

05년 0:12 0:13 0:15 0:13 0:18 0:20

인터넷

5 10년 0:37 0:39 0:37 0;23 0:29 0:31

증감 0:25 0:26 0:22 0:10 0:11 0:11

1. 한국은 지상파TV와 유료방송을 구분하는 반면, 일본의 텔레비전은 지상파와 위성 BS, CS, CATV를 포함 함. 이에 비교를 위해 한국 자료는 지상파TV와 유료방송을 합한 수치를 제시함

2. 한국은 잡지

․ 만화와 책을 구분하는 반면, 일본은 잡지 ․ 만화 ․

책이 통합되어 있음. 이에 비교를 위해 한 국 자료는 잡지

만화와 책을 합한 수치를 제시함

3. 한국의 음악듣기는 MP3, CD, Tape를, 일본의 음악듣기는 CD, MD, Tape를 포함함 4. 일본은 Videos, HDDs, DVDs 시청 기준임

5. 일본은 취미, 오락 등 업무나 커뮤니케이션과 무관한 인터넷 이용 기준임. 한국의 경우 정보검색, 오락, 커 뮤니케이션, 쇼핑

전자거래를 포함하므로 비교 시 해석에 유의

<표 3-4> 한국과 일본의 주요 미디어 이용 전체평균시간량 비교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