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간량 분석

III. 조사결과의 요약

1) 시간량 분석

(1) 수면

○ 전국민의 수면 시간량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7시간 35분, 토요일 8시간 9분, 일요일 8시간 39분 동안 수면을 취함

∙ 수면 행위자비율은 평일, 토요일, 일요일 99.8%으로 모두 동일하며,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7시간 36분, 8시간 10분, 8시간 40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전체평균시간이 평일(+2분)과 토요일(+12분)에 증가하였지만 일요일(-9분)에 감소하였음(부록 <표 1>)

○ 집단별 수면 시간량

(성별) 평일에 남자가 여자보다 수면시간이 적지만(평일 남자 7시간 33분, 여자 7시간 36분), 토요 일, 일요일에 남자가 여자에 비해 수면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음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수면 시간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10~15세(일요일 9시간 37분)이며,

16~19세(평일 7시간 3분)가 가장 적음

∙ 평일과 일요일 10~15세 집단에서 수면 시간이 5년 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음

※ 가운데 원 안의 수치는 행위자비율임(이하 동일) [그림 3-5] 전국민의 수면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6] 성별 수면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7] 연령별 수면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 전국민 및 성별 기상, 취침시각

∙ 우리나라 국민의 50% 이상이 기상하는 시각은 평일 6시 45분, 토요일 7시, 일요일 8시이며, 50%

이상이 취침하는 시각은 평일 23시 15분, 토요일 23시 30분, 일요일 23시임

∙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일찍 기상하는 한편, 취침시각의 경우 평일엔 남성이, 일요일엔 여성 이 더 늦게 잠자리에 드는 경향을 보임

○ 시도별 기상, 취침시간

∙ 전국민 중 오전 6시까지 기상한 사람의 비율을 중심으로 시도별 기상시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서 울, 대구, 울산, 경기, 강원, 전남, 경남, 제주가 30% 이상으로 일찍 기상하는 사람이 많은 반면, 충남과 대전이 20%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늦게 기상하는 사람이 많음

∙ 밤 10시까지 취침한 사람의 비율은 인천, 대전, 대구, 강원, 충남이 10%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취 침을 늦게 하는 반면, 전남, 경북은 20% 이상으로 일찍 잠자리에 드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남

[그림 3-8] 전국민 및 성별 기상자율 50% 이상 시각

[그림 3-9] 전국민 및 성별 취침자율 50% 이상 시각

[그림 3-10] 시도별 평일 오전 6시까지 기상자 비율 [그림 3-11] 시도별 평일 밤 10시까지 취침자 비율

(1)

(2) 식사

○ 전국민의 식사 시간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1시간 57분, 토요일 2시간 4분, 일요일 2시간 3분 동안 식사함

∙ 식사 행위자비율은 평일 99.5%, 토요일 99.6%, 일요일 99.2%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1시간 58분, 2시간 4분, 2시간 4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토요일 전체평균시간(+11분)과 행위자평균시간(+10분)이 크게 증가하였음(부록

<표 2>)

○ 집단별 식사 시간

(성별) 평일과 일요일 남자가 여자보다 식사 시간이 많지만(평일 남자 2시간, 여자 1시간 55분), 토요일에 남자와 여자 식사 시간이 동일함(2시간 4분)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식사 시간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대와 60대(토요일 2시간 11분)이며, 10~15세(평일 1시간 42분)와 16~19세(일요일 1시간 42분)가 가장 적음

∙ 평일 70세 이상과 일요일 16~19세를 제외한 모든 성별, 연령별 집단에서 식사 시간이 5년 전에 비해 증가하였음

[그림 3-12] 전국민의 식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13] 성별 식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14] 연령별 식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3) 신변잡일

○ 전국민의 신변잡일 시간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1시간 21분, 토요일 1시간 21분, 일요일 1시간 19분 동안 신변잡일을 함

∙ 신변잡일 행위자비율은 평일 97.0%, 토요일 97.4%, 일요일 95.9%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1 시간 23분, 1시간 22분, 1시간 22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평일 전체평균시간(+11분)과 행위자평균시간(+11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음 (부록 <표 3>)

○ 집단별 신변잡일 시간

(성별) 평일에 여자가 남자보다 신변잡일 시간이 적지만(평일 남자 1시간 21분, 여자 1시간 20분), 토요일과 일요일에 여자가 남자에 비해 신변잡일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음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신변잡일 시간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토요일 1시간 31분)이며, 평 일 10~15세(1시간 7분)가 가장 적음

∙ 일요일 10~15세를 제외한 모든 성별, 연령별 집단에서 신변잡일 시간이 5년 전에 비해 증가함

[그림 3-15] 전국민의 신변잡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16] 성별 신변잡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17] 연령별 신변잡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4) 일

○ 전국민의 일 시간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4시간 24분, 토요일 2시간 38분, 일요일 1시간 7분 동안 일을 함

∙ 일 행위자비율은 평일 57.9%, 토요일 37.4%, 일요일 16.8%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7시간 36분, 7시간 4분, 6시간 45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토요일 전체평균시간(–40분)과 일요일 행위자평균시간(–34분)이 감소하였음 (부록 <표 4>)

○ 집단별 일 시간

(성별)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일에 소비한 시간이 많으며(평일 남자 5시간 37분, 여자 3시간 9분), 그 차이는 일요일에 상대적으로 줄어듦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일 시간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40대(평일 5시간 50분)이며, 20대 이상

연령대 중 70세 이상(일요일 44분)이 가장 적음

∙ 토요일과 일요일 모든 성별, 연령별 집단에서 일 시간량이 5년 전에 비해 감소하였음

[그림 3-18] 전국민의 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19] 성별 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20] 연령별 일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 유직자의 일 시간

∙ 유직자만을 대상으로 2015년 일 시간량을 살펴보면 전체평균시간은 평일 7시간 15분, 토요일 4시 간 14분, 일요일 1시간 45분으로 나타남

∙ 유직자의 일 행위자비율은 평일 94%, 토요일 59.1%, 일요일 25.7%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7시간 43분, 7시간 10분, 6시간 49분임

∙ 1981년부터 2015년까지 유직자 일 전체평균시간량은 평일의 경우 조금씩 증가하다가 2000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일요일의 경우 지속적으로 조금씩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

∙ 2015년 유직자의 경우 평일 일 시간량이 6시간 15분 이상 8시간 미만인 사람의 비율이 35%로 가 장 높음. 10시간 이상 일을 한 사람의 비율은 90년 이후 증가하다가 2010년부터 다시 감소하였음

○ 직업별 일 시간

∙ 직업별로 2015년 평일 일 행위자평균시간량을 살펴보면 농림어업자가 5시간 17분으로 다섯 개 주 요 직업군 중 가장 적고 기능작업직이 8시간 22분으로 가장 많음

∙ 주요 직업군의 평일 일 행위자평균시간량은 2000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농림어업자의 일 시간량은 5년 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그림 3-21] 유직자 일 전체평균시간량의 연도별 변화

[그림 3-22] 유직자의 평일 일 시간량별 행위자비율의 연도별 변화

[그림 3-23] 직업별 평일 일 행위자평균시간의 연도별 변화

(5) 학업

○ 전국민의 학업 시간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1시간 39분, 토요일 43분, 일요일 36분 동안 학업에 임함

∙ 학업 행위자비율은 평일 20.2%, 토요일 13.8%, 일요일 13.5%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8시간 10분, 5시간 13분, 4시간 32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토요일 전체평균시간(–21분), 행위자비율(토요일 –4.0%), 행위자평균시간 (-49분)이 감소하였음(부록 <표 5>)

○ 집단별 학업 시간

(성별)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학업 시간이 많으며(평일 남자 1시간 43분, 여 자 1시간 34분), 그 차이는 일요일에 상대적으로 줄어듦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학업 시간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10~15세(평일 9시간 26분)이며, 70세

이상이 가장 적음

∙ 16~19세 집단에서 학업 시간이 5년 전에 비해 감소한 반면 10~15세는 증가하였음

[그림 3-24] 전국민의 학업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25] 성별 학업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26] 연령별 학업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 학생의 학업 시간

∙ 학생만을 대상으로 2015년 학업시간을 살펴보면 평일 8시간 27분, 토요일 3시간 37분, 일요일 3 시간 3분으로 나타남

∙ 학생의 학업 행위자비율은 평일 97.3%, 토요일 66.1%, 일요일 63.9%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8시간 40분, 5시간 30분, 4시간 47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토요일에 전체평균시간 및 행위자비율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1시간 25분, -16.2%), 전체평균시간은 평일에 소폭 감소한 반면(-14분) 일요일은 소폭 증가함(+6분)(부록 <표 5>)

(학교급별)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고등학생의 학업 시간이 가장 많으며(평일 10시간 23분, 토 요일 5시간 16분, 일요일 4시간 30분) 평일은 대학생의 학업시간이(평일 6시간 28분), 주말은 초 등학생의 학업시간이 가장 적음(토요일 2시간 35분, 일요일 2시간 24분)

[그림 3-27] 학생의 학업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28] 학생의 학교급별 학업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6) 가사

○ 전국민의 가사 시간

∙ 우리나라 국민은 평일 1시간 24분, 토요일 1시간 41분, 일요일 1시간 39분 동안 가사를 함

∙ 가사 행위자비율은 평일 47.4%, 토요일 57.2%, 일요일 62.0%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2시간 57분, 2시간 57분, 2시간 40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평일 행위자비율(-3.8%)이 감소하였지만 행위자평균시간(+17분)은 크게 증가 하였음(부록 <표 6>)

○ 집단별 가사 시간

(성별)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가사 시간이 많으며(평일 남자 18분, 여자 2시 간 30분), 그 차이는 일요일에 상대적으로 줄어듦

(연령별) 전 요일에 걸쳐 가사 시간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70세 이상(토요일 2시간 26분)이며,

10~15세(평일 3분)가 가장 적음

∙ 전 요일에 걸쳐 30대 집단에서 가사 시간이 5년 전에 비해 감소하였음

[그림 3-29] 전국민의 가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30] 성별 가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31] 연령별 가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 성인의 가사 시간

∙ 20세 이상 성인만을 대상으로 2015년 가사 시간을 살펴보면 평일 1시간 36분, 토요일 1시간 52 분, 일요일 1시간 51분으로 나타남

∙ 성인의 가사 행위자비율은 평일 53.1%, 토요일 61.3%, 일요일 66.6%이고, 행위자평균시간은 각각 3시간, 3시간 4분, 2시간 46분임

∙ 5년 전과 비교하여 평일은 행위자비율이 감소한 반면(-3.8%) 토요일과 일요일은 행위자비율이 증 가하였고(토요일 +2.4%, 일요일 +2.8%) 행위자평균시간은 전 요일에 걸쳐 증가하였음(평일 +12 분, 토요일 +7분, 일요일 +6분)(부록 <표 6>)

(성별) 평일, 토요일, 일요일 모두 성인 여자가 성인 남자보다 가사 시간이 많으며(평일 남자 21 분, 여자 2시간 51분), 그 차이는 일요일에 상대적으로 줄어듦

○ 가정주부의 가사 시간

∙ 2015년 가정주부의 가사 전체평균시간은 평일 4시간 43분, 토요일 4시간 33분, 일요일 3시간 33 분으로 나타남

∙ 이는 2010년에 비해 소폭 증가한 것이나 81년 이후 전체적으로는 전 요일 모두 가정주부의 가사 시간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그림 3-32] 성인의 가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그림 3-33] 성인의 성별 가사 시간량 및 행위자비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