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3절 여성해양과학기술인 리더십훈련

지위보다 비전을 중시하는 점 등의 속성이 글로벌화 시대의 조직과 기업활동에서 장점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양성평등이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고 판단되어, 노르웨이 민간 기 업 이사회에는 여성 40%를 의무화하고 있다. 즉, 정보화, 지식화 사회가 되면서 리더십의 형 태도 바뀌고 있다. 조직구조가 계층에서 팀제로 전환되면서 수직에서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으로 패러다임이 바뀜에 따라 리더십도 주도적이고 카리스마가 넘치는 것보다 감성적이고 부 드러운 리더십으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여성 리더들도 변화가 이루어야 한다. 리더십에서 학 습의 의미에 주목하고, 개인적인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육성의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리더란 자기관리역량, 사회적역량, 업무촉진역량 에 따라 그 역량이 판가름 난다 (Fig. 3- 1). 자기관리영량은 자신의 강, 약점을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서 가잘 잘 할 수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어려운지 파악하고, 자신의 실수패턴을 이해하며 다중 역할 갈등에 대처해 모순되 는 요구들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가 필요하며 정 직, 인격적 통합성, 신뢰구축, 긍정적, 희망적 태도로 리더십 가치의 내면화가 필요하다. 사회 적 역량은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며, 동기부여 및 그룹의 시너지 창출같은 팀웤 능력을 말하기도 한다. 조직 구성원의 발달 욕구를 파악하고, 발달기회를 제공해 효과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타인을 육성하는 능력도 사회적역량이라 할 수 있다. 업무촉진역량은 목 표 설정, 계획 수립, 모니터하고 문제 해결, 의사결정 등 일상적인 조직관리 기술과 조직의 장기적 비전과 임무를 이해하고 미래를 위한 우선순위 확인 및 그에 따른 의사결정을 하여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모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일하는 방식을 창조하며, 변화의 필요성을 창조하고 조직원들이 변화에 동참하도록 하며 새롭게 일 하는 방식을 제도화할 수 있는 변화를 과감하게 시행하는 역량도 포함된다.

여성 리더십을 육성하는 방안으로 멘토링의 활성화가 있다. 멘토링은 3천년전 오디세우스 가 트로이 전쟁을 떠나면서 친구 멘토에게 아들을 부탁한데서 유래되었다. 신규직원의 조직 적응, 커리어 개발 및 인적자원 관리 및 우수 인재 보유하고 리더십 승계를 하는데 멘토링이 요구된다. 특히 한국문화에서는 비공식적인 멘토링의 영향이 크다. 남성은 학연, 지연, 혈연에 따른 비공식 멘토링이 활발하지만 여성은 비공식적 멘토링과 역할모델이 부족하므로 멘토링 이 더욱 필요하다. 멘토의 역할에는 스폰서, 코칭, 보호같은 커리어 기능과 카운슬링 우정 역 할모델을 하는 심리사회적인 기능이 있다. 멘토링의 네트워크를 통해 업무에 대한 정보교환 을 위한 정기 모임을 가지거나 양육문제를 의논하는 등 서로 지원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주체적 리더십을 위해선 성 정체성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대체로 여성들은 여성성과 남성 성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고, 고정관념에 따라 행동하는데 대해 보상을 받으며, 그에 도전하

기를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동요와 불만과 그에 의존하고 싶은 욕구가 공존하는 양가적인 단계, 성역할 고정관념과 조직 내 성차별주의가 자신의 직업생활 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분노하는 단계, 그와 같은 고정관념이나 차별이 여성/남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도하는 단계로 나뉜다. 성역할로 부터의 자유와 융통성을 바탕으로 보다 자율적이며 책임 있는 행동을 실습하고, 타인들과의 관계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사적, 공적 영역에서 성 평등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으로 개입이 필요하다.

리더십에서 학습의 의미에 주목하고 멘토링과 피드백을 서로 주고 받아 개인적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육성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대안 사회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여성 리더십 진출이 실질적 변화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 결 론

본 강연을 통하여 여성리더십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고, 남성연구원들도 참석하여 그 취 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여성리더십이 무엇이며 현재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에 대한 여 성이 가져야할 리더십 함양에 대하여 많은 토론과 의견이 논의되었고, 향후 여성리더십을 위 한 멘토링을 제도화하는 것도 논의되었다.

Fig. 3-1. 리더십역량

Fig. 3-2. 리더십강연 모습

Fig. 3-3. 리더십강연 모습

Fig. 3-4. 리더십강연 모습

Fig. 3-5. 리더십강연 모습

p

Fig. 3-6. 리더십 강연 단체사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