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통합운영 시뮬레이션 모델 분석
5.2 선석배정계획 수정
5.2.1 선박의 대기가 발생하는 유형(예시)
부산 신항의 소규모로 분산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발생하는 주된 문제는 각 터미널의 소규모 선석에 따른 선박의 접안이 불가능한 상황과 작업 기간을 맞 추기 위해 대형선박에 할당되는 QC 개수에 따라 타 선박의 작업이 지연되는 상황의 발생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운영 상황 에 따라 선석 계획을 새로이 수립할 필요가 있다.
Table 8은 예시 시나리오 상황이며, 선석 길이 부족으로 인한 상황과 QC 개 수 부족으로 인한 상황이 존재한다. 각 통합운영 상황에 따라 계획을 변경하 고, 그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No. Port
Ship Arrival Time(h)
Scheduled Berth Time(h)
Work Period(h)
LOA (m)
Total Freight(TEU)
Berth No.
QC Allocation
1 C 1 5 10 200 480 2 2
2 C 1 5 11 250 792 2 3
3 C 4 5 16 300 1,536 1 4
4 C 5 5 22 400 2,640 3 5
5 B 1 5 8 150 192 6 1
6 B 4 5 16 300 1,536 5 4
7 B 4 5 16 300 1,536 7 4
8 B 4 5 18 350 1,728 4 4
9 B 5 5 22 400 2,640 8 5
10 A 1 5 8 150 192 10 1
11 A 1 5 10 200 480 10 2
12 A 4 5 18 350 1,728 11 4
13 A 5 5 22 400 2,640 9 5
Table 8 시뮬레이션 데이터 시나리오 예시
위의 시나리오는 선박의 접안예정시간을 같은 시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실제 선박 도착은 다른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A 터미널은 도착 선박들의 LOA(m)의 합이 1100m로 A 터미널의 전체 선석의 길이와 같다. 그러나 선박 간의 접안 시 여유 공간을 고려할 때, 이 중 1개 선박은 대기 후, 접안이 이루어져야 하 는 비효율적인 운영이 나타난다. 또한, C 터미널은 도착 예정 선박들에 대하여 접안은 가능하나, 할당에 필요한 총 QC 개수가 전체 QC 개수(12개)를 초과하 여, 선박 중 필요 수보다 적게 QC를 할당된 선박은 작업 기간이 길어져 전체 작업 완료 시간상의 비효율이 나타나고 있다.
5.2.2 선석배정계획 수정방안(선석통합 측면)
선석 부분을 통합하는 경우, 터미널 간 선석의 경계 침범을 허용하는 것으로 서, 옆 터미널의 추가 공간을 고려하여 선석을 배정하는 방법이다. A 터미널의 상황에서 4개의 도착 선박은 선박별 LOA(m)와 더불어 선박 간 최소 30m의 여 유 공간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선박마다 여유 공간을 고려했을 때, Fig. 11과
90m, 여유 공간 30m)를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Table 9는 선석 부분 통합시 기존의 선박 대기가 발생해야 할 A 터미널의 9 번 선석과 C 터미널의 3번 선석에 B 터미널 경계의 추가 공간을 허용하면서 선박 대기가 줄어드는 것을 보여준다. 그에 따라 B 터미널 내 경계인 4번, 8번 선석은 허용한 공간만큼 제외하고 선석이 배정되어야 한다. 반면, 대기가 발생 하지 않게 될 경우, 해당 선박에 가용한 Q/C 대수가 부족하며, 그에 따라 정박 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 선석 부분의 통합은 Q/C 가용 부분에서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Fig. 11 선석통합 개념
No. Port
Ship Arrival Time(h)
Scheduled Berth Time(h)
Work Period(h)
LOA (m)
Total Freight(TEU)
Berth No.
QC Allocation
1 C 1 5 10 200 480 2 2
2 C 1 5 11 250 792 2 3
3 C 4 5 16 300 1,536 1 4
4 C 5 5 22 → 37 400 2,640 3 +α 5 → 3
5 B 1 5 8 150 192 6 1
6 B 4 5 16 300 1,536 5 4
7 B 4 5 16 300 1,536 7 4
8 B 4 5 18 350 1,728 4 -α 4
9 B 5 5 22 400 2,640 8 -α 5
10 A 1 5 8 150 192 10 1
11 A 1 5 10 200 480 10 2
12 A 4 5 18 350 1,728 11 4
13 A 5 5 22 400 2,640 9 +α 5
Table 9 시뮬레이션 데이터 시나리오 예시(선석통합)
5.2.3 선석배정계획 수정방안(선석, Q/C 통합 측면)
선석 및 Q/C(장비)의 통합은 선석 부분과 함께 Q/C를 통합하는 방법으로, 선 석 부분만의 통합에서 해결하지 못한 C 터미널의 Q/C 부족 문제에 대한 대안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Fig. 12를 보면, C 터미널의 3번 선석의 선박은 필요한 Q/C 개수를 할당받지 못하고, 2개의 부족분이 발생하여 충족시킬 만한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선석 및 Q/C가 통합된 상황이라면, 타 터미널의 인접한 선석에 서의 Q/C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C 터미널 2번 선석의 선박이 B 터미널 6 번 선석으로 전배의 개념과 같이 수정되어 Table 10으로 계획될 수 있다.
Fig. 12 선석 및 Q/C 통합 개념
No. Port
Ship Arrival Time(h)
Scheduled Berth Time(h)
Work Period(h)
LOA (m)
Total Freight(TEU)
Berth No.
QC Allocation
1 C→B 1 5 10 200 480 2 → 6 2
2 C 1 5 11 250 792 2 3
3 C 4 5 16 300 1,536 1 4
4 C 5 5 22 400 2,640 3 5
5 B 1 5 8 150 192 6 1
6 B 4 5 16 300 1,536 5 4
7 B 4 5 16 300 1,536 7 4
8 B 4 5 18 350 1,728 4 4
9 B 5 5 22 400 2,640 8 5
10 A 1 5 8 150 192 10 1
11 A 1 5 10 200 480 10 2
12 A 4 5 18 350 1,728 11 4
13 A 5 5 22 400 2,640 9 +α 5
Table 10 시뮬레이션 데이터 시나리오 예시(선석, Q/C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