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도면에 나타나는 도형은 모두 선에 의하여 나타내므로, 선은 도면의 기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선은 단순히 물품의 형상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각 부분의 관계를 명백하고 알 기 쉽게 하므로 선명하게 그려야 한다.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필요한 모든 선을 습관적

으로 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면에서 선의 종별이 명확하게 구별되도록 그려야 한다.

선의 길이나 굵기는 도형의 크기와 복잡한 정도에 따라 가감할 필요가 있지만, 같은 도면 내에서는 선의 굵기와 비율을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1) 모양에 따른 분류

(가) 실선 연속

(나) 파선 3~5 ㎜, 1 ㎜ (다) 1점 쇄선 10~30 ㎜, 3 ㎜ (라) 2점 쇄선 10~30 ㎜, 5 ㎜ (2) 굵기에 따른 분류

(가) 굵은 선: 굵기는 0.4~0.8 ㎜로서 주로 물체의 외형선에 사용한다.

(나) 중간 굵은 선: 같은 도면에서 사용되는 굵은 선과 가는 선의 중간 굵기의 선으로 은선에 사용된다.

(다) 가는 선: 굵기는 0.2~0.3 ㎜ 이하로서 물체의 실형이 아닌 부분을 나타낼 때 사용 된다.

선의 종류 굵 기 용도별 이름 용 도

실선

굵은 선 외형선 물체의 보이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

가는 선

치수선 치수 보조선 지시선

치수, 기호, 참고 사항 등을 나타내는 선 파단선 물체의 일부를 잘라 낸 경계를 나타내는 선 해칭 단면도에서 물체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선 파선 굵은 선

가는 선 숨은선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 1점 쇄선

가는 선

중심선 물체 및 도형의 중심을 나타내는 선

2점 쇄선 가상선 물체가 움직인 상태를 가상하여 나타내는

<표 1-12> 선의 용도

2. 단면

(1) 단면은 기본 중심선으로 절단한 면을 표시하는 것이나, 중심선이 아닌 곳에서 절단면 을 표시할 때에는 그 절단선을 표시하여야 한다.

(2) 절단선에서는 기호를 붙여 단면도와 대조할 수 있도록 하며, 단면을 보는 방향을 표 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절단선의 양단에 시선의 방향으로 화살표를 붙인다.

[그림 1-38] 절단선의 표시

(3) 단면은 그 일부의 단면만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단선으로 절단부를 표시한다.

[그림 1-39] 일부 단면의 표시

(4) 파단선은 외형을 표시하는 선보다 약간 가늘고 굽은 곡선으로 표시하여야 하나, 파단 선에 가는 1점 쇄선과 같이 그리거나 직선과 지그재그 선을 조합한 가는 실선으로 할 수 있다.

(5) 파단선을 넣지 않아도 파단되어 있음이 명백할 경우 파단선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림 1-40] 파단선의 생략

 강재의 선정

1. 강구조에 사용하는 강재 종류는 한국 산업 규격(KS)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국내 전문 기술자에 의하여 검증되고 국내 관련 기관의 전문가의 자문 및 심의를

2. 판 두께에 따른 강재의 선정 기준은 다음 <표 1-13>에 따른다.

3. 고장력 볼트의 현장 이음은 고장력 육각 볼트 또는 T/S볼트를 사용한다.

주) 1. 판 두께 8㎜ 미만 강재는 도로교 설계기준 3.6.2.7(강바닥판 구조세목)에 따른다.

2. 판 두께 40㎜를 초과하는 강재는 허용응력 감소를 고려해야 한다.

3. 판 두께 25㎜로부터 32㎜ 사이 SM490YB는 진정강괴로 제조되어야 한다.

<표 1-13> 판 두께에 따른 선정 기준

수행 내용 / 도면 기본 지식 파악하기

재료·자료

Ÿ

토목 제도 통칙(KS F 1001),

Ÿ

철강재시공 도면

Ÿ

철강재시공 시방서

Ÿ

건설 공사 시공 상세도 작성 지침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플로터 및 프린터

Ÿ

문서 작성 프로그램

Ÿ

설계 관련 프로그램

안전・유의사항

Ÿ

도면을 숙지하여 이해한다.

Ÿ

도면의 종류를 분석하여 이해한다.

Ÿ

도면 표시 기호를 해석하여 이해한다.

Ÿ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보안 및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철강재 시공도면에 표시된 각종 기호의 의미를 파악한다.

1. 리벳

⑴ 리벳 기호

리벳의 기호는 [그림 1-41]과 같이 표시한다.

[그림 1-41] 리벳 기호

⑵ 리벳 기호의 기입

리벳 기호는 리벳선을 가는 실선으로 긋고, 리벳선 위에 쓴다.

⑶ 공장 둥근 리벳의 간략 기입

동일 피치로 연속되는 공장 둥근 리벳은 리벳선에 직각인 가는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치수 보조선, 다른 리벳선 또는 중심선 등과 교차되는 리벳은 ○의 부호를 사용한다([그림 1-42] 참조).

[그림 1-42] 공장 둥근 리벳 기호의 생략

⑷ 공장 둥근 리벳 기호의 생략

연속되는 공장 둥근 리벳은 중간을 리벳선만으로 표시하고, 리벳 피치를 기입하여, 리 벳 기호를 생략할 수 있다([그림 1-42] 참조).

⑸ 현장 리벳 기호

현장 리벳은 그 기호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⑹ 리벳 기호의 생략

축이 투상면에 평행한 리벳은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필요한 때는 [그림 1-43]과 같이 표시한다.

[그림 1-43] 리벳 기호의 생략

⑺ 리벳 지름의 기입

동일(同一) 도면 중에서도 다른 지름의 리벳을 사용할 때에는 그림마다 그 리벳 지름 을 기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일부분에만 서로 다른 지름의 리벳을 사용할 때에는 두 면 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리벳 지름은 표제란 가까이에 기입하고, 서로 다른 리벳 지름만을 그 사용되고 있는 위치 가까이에 기입해도 좋다. 강 구조물 조 립·접합에는 리벳·볼트 및 용접이 사용된다. 이들 도시(圖示) 방법은 강 구조물 제도 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의 하나가 되어 있다. 리벳의 기호에 대해서는 종래 미국식 표 시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근래 구조물의 현장 접합에는 고력(高力) 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표시 방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공장 죔 고력 볼트

○ 현장 죔 고력 볼트( 현장 리벳을 병용하지 않을 때) ○ 현장 죔 고력 볼트

○ 타입식(打込式) 고력 볼트 또는 타입식 접시 볼트

DIN 407에는 리벳과 볼트의 지름별(別)과 머리의 모양에 따라 상세한 기호의 구분을 하고 있다. 접시 리벳·평(平) 리벳의 현장 리벳의 기호는 흑점으로 그리는 것으로 구 분한다. 또 보이지 않는 리벳을 그리고 싶은 때에는 리벳 기호를 파선(破線)으로 표시 해도 좋다. 지름이 다른 리벳이 동일(同一) 도면 중에 있을 때는 리벳기호의 크기를 달 리하여 그 구분을 분명하게 하고, 주기(註記)를 덧붙이면 더욱 좋다. 리벳 구멍의 치수 는 리벳의 호칭 지름보다 1.5㎜ 정도 크게 취한다. 리벳의 호칭지름의 치수는 22 Φ라 고 기입하지만 더 정확한 치수를 적을 때에는 23.5Φ 등과 같이 적는다.

2. 볼트

⑴ 볼트 기호

볼트를 주체로 한 구조에서는 보통 ○ 또는 +로 표시하며, 볼트의 종류 및 지름을 명시 (明示)할 필요가 있을 때는 ○◉+×●Φ 등의 기호를 쓰고, 치수와 종류를 나란히 쓴다.

⑵ 리벳과 볼트의 병용(竝用)

리벳 구조에서 볼트를 병용하는 경우 볼트 구멍을 그리고 해칭을 한다. 앵커 볼트 기

타 필요한 경우는 볼트의 형상을 그려서 표시한다.

볼트와 리벳의 병용으로 볼트 구멍의 해칭은 공장 평 리벳 기호와 혼돈되지 않게 4줄 이상의 선으로 그린다. 축척이 큰 그림에서는 알기 쉬운 다른 기호를 쓰는 것이 좋다.

⑶ 볼트·너트의 상세도

볼트·너트의 상세도는 KS B 1002, KS B 1012의 규정이 있다.

[그림 1-44] 볼트·너트의 약도법

3. 용접 기호

⑴ 용접 기호

용접 기호는 KS B 0052에 규정되어 있다.

구분 보조 기호 비고

용접부의 표면 형상

평탄

볼록 기선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이다.

오목 기선의 바깥쪽을 향하여 오목이다.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

치핑 C

다듬질 방법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F라고 기입한다.

연삭 G

절삭 M

현장 용접

온둘레 용접이 뚜렷한 경우에는 생략 해도 좋다.

온둘레 용접

온둘레 현장 용접

<표 1-14> 용접 보조 기호

4. 다듬질 기호

⑴ 다듬질 기호

다듬질 기호는 KS B 0161에 규정되어 있다. 다듬질 정도(精度)를 표시하는 기호로는 3 각 기호, 표면 거칠기 S 기호, 파상도(波狀度) W기호가 있는데, W 기호는 특히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쓰이지 않는다.

거 칠 기 의 표

0 . 1 -S

0 . 2 -S

0 . 4 -S

0 . 8 -S

1 . 5

-S 3-S 6-S 12- S

18- S

25- S

35- S

50- S

70- S

100 -S

140 -S

200 -S

280 -S

400 -S

500 -S 거 칠 기

의 범 위(μ)

0 . 1

0 . 2

0 . 4

0 . 8

1 . 5

3이

6이

1 2

1 8

2 5

3 5

5 0

7 0

100

140

200

280

400

500 3 각 기

▽▽▽▽ ▽▽▽ ▽▽

기 준 면 의 넓 이(㎟)

0.3×0.3 1×1 3×3 5×5 10×10

<표 1-15> 표면 거칠기와 3각 기호와의 관계(KS B 0161)

[그림 1-45] 다듬질 기호(2배)

수행 tip

Ÿ

도면 기호 파악에 사용될 도면을 미리 준비한다.

Ÿ

용이한 자료 조사를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검색 하고 관련 도면을 찾는다.

Ÿ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수집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 련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Ÿ

철강재 시공 현장을 방문하여 설계도면의 기호와 실제 구조물을 대조하여 확인한다.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철강재 구조물의 기본도면 및 정보 파악을 위한 방법을 일반 자료 및 시청각 자료로 제시한다.

• 수행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자료를 다양하게 갖추어 이해를 돕는다.

• 인터넷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유용한 웹사이트 목록을 제공한다.

• 사전에 개인별 학습 자료를 과제로 준비하여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문제 해결식 수업, 협력 수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 자료의 검색과 수집, 정리와 주석 등을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학습자끼리 팀을 구성하여 도면 파악 실습을 할 수 있도록 강의실 분위기를 유도한다.

• 개인의 수준에 따른 학습량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습자 간에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협동 학습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주어진 도면의 기호를 정확하게 이해한다.

• 철강재 기호와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실습에 활용한다.

• 철강재 시공 단면의 형상을 이해하고 활용한다.

• 수집된 자료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분류한다.

• 인터넷을 통해 기술 자료집 등 다양한 자료를 찾아 필요한 자료를 스크랩하는 습관을 기른다.

• 스크랩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철강재시공 기호와 도면의 지시 사항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