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현황 및 위치 파악하기(LM1402020901_14v2.3)

2-1. 철강재 시공 재료 및 가공

학습목표

철강재 시공 도면을 보고 구조물의 재료, 형상을 파악 할 수 있다.

철강재 시공 도면을 보고 재료의 종류, 가공 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건설 재료의 표시

구조용 재료는 금속재, 비금속재, 석재, 콘크리트, 골재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각각 의 단면은 다음 그림([그림 2-1], [그림 2-2], [그림 2-3])과 같다.

1. 금속재 및 비금속재의 단면 표시

[그림 2-1] 금속재 및 비금속재

2. 석재 및 콘크리트의 단면 표시

[그림 2-2] 석재 및 콘크리트

3. 골재의 단면 표시

[그림 2-3] 골재의 단면

 단면의 표시 1. 절단의 원칙

(1) 단면은 중심선으로 절단한 면을 표시하는 것이나, 중심선이 아닌 곳에서 절단면을 표 시할 때에는 그 절단선을 표시하여야 한다.

(2) 절단선에는 기호를 붙여 단면도와 대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단면을 보는 방향을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절단선의 양단에 시선 방향으로 화살표를 붙인다.

(3) 단면은 그 일부의 단면만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단선으로 절단부를 표시한다.

(4) 단면에는 해칭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필요한 경우에는 해칭, 연한 먹칠, 기타 표 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절단선, 파단선과 실선

(1) 파단선은 외형을 표시하는 선보다 약간 가늘고 굽은 곡선으로 표시하여야 하나, 파단 선에 가는 1점 쇄선과 같이 그리거나 직선과 지그재그 선을 조합한 가는 실선으로 할 수 있다.

(2) 파단선을 넣지 않아도 파단되어 있음이 명백할 경우 파단선을 생략할 수 있다.

(3) 절단면은 절단선으로 표시하며, 기호로 단면도와 구별되게 한다. 절단선은 굵은 1점 쇄선으로 하고, 보는 방향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시선 방향에 짧은 화살표를 붙인다.

(4) 긴 파단선은 직선과 파단선을 조합하는 가는 실선으로 할 수 있다.

3. 절단선, 파단선의 생략

대칭인 도면에 있어서 중심선의 한쪽은 외형도, 다른 한쪽은 단면도로 나타낼 경우에는 절단선 또는 파단선을 생략할 수 있다.

 해칭

1. 단면을 표시하는 경우나 강구조에 있어서 연결판의 측면이나 충전재의 측면을 표시하는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는 실선으로 하고, 수평선, 중심선 혹은 기준선에 대해 45°

로 기울여서 같은 간격으로 넣는다.

2. 2개 이상의 단면이 인접한 때에 해칭을 할 경우 선의 방향을 90°돌리는 것을 원칙으 로 하나 경우에 따라 각도 혹은 해칭의 간격은 달리하여 구분한다.

3. 연결판의 측면 및 충전재를 해칭으로 표시할 위치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양끝 부분에만 해칭을 넣고 중간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 CAD 일반 1. 운영 체제

(1) 운영 체제의 개념

(가)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나) 사용자가 컴퓨터 구조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주어진 일을 원활하게 처리한다.

(2) 운영 체제의 구성 (가) 제어 프로그램

1) 운영 체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프로그램으로 주기억 장치 내에 상주한다.

2) 감독 프로그램: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수시로 감독한다.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와 파일 관리,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4) 작업 관리 프로그램: 스케줄이나 입출력 장치를 할당한다.

(나) 처리 프로그램

사용자가 작성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련된 자료를 처리한다.

1) 언어 번역 프로그램: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2) 서비스 프로그램: 링키지(Linkage) 에디터 프로그램, 유틸리티 프로그램 (3) 운영 체제의 종류

(가) 도스

Disk Operating System (나) 윈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한 운영 체제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다중 사용자 환경의 표준 운영 체제로 대부분 C 언어로 작성되어 시스템 간의 통 신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등에 유리하다.

(라) 리눅스

유닉스를 PC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만든 운영 체제로 1991년 핀란드의 리눅스 토 발즈가 개발하였다.

(마) 맥 OS

애플사의 매킨토시 계열로,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사용된다.

(바) OS/2

1989년 IBM사와 MS사가 함께 만든 운영 체제이다.

(사) 미래의 운영 체제

1) 다중 사용자, 다중 업무, 통신망 환경을 지원한다.

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운영 체제이다.

2. CAD 시스템

캐드는 ‘Computer Aided Design’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그 종류는 운영 체제나 응용 분야별로 다양하다. 전자 캐드, 의상 캐드, 건축 캐드 등이 대표 적인데 그중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은 오토 캐드(AUTO CAD)이다. 오토 캐드는 모든 종류의 설계도면, 즉 건축, 전자, 화학, 토목, 기계, 자동차, 선박, 우주 항공 등 공학 응용 을 위한 도면, 지형도 및 항해 지도 및 제품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조경 설계, 영화, 광고, 방송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오토 캐드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는 다른 캐드 프로그램과 달리 기본 운영 체제를 MS-도스에서 윈도로 이어지는 PC 기반으로 삼았다는 점과, ADS, ARX, Auto-LISP 등을 통해 사용자 명령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개방형 구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Animator, 3D MAX 등 패키지 프로그램들과 완벽한 호환성을 가지고 있는 점이 최대 장 점이라 할 수 있다.

오토 캐드는 1982년 12월 Autodesk 사에 의해 미국 라스베이거스 컴덱스 무역 전시회에서 처음 선을 뵌 후 현재 AUTO CAD 2016까지 발표되었다. 표현 한계의 극복과 풍부한 창조 력, 다양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여 3차원 모델링과 렌더링이 가능하며 제품의 특성과 형태 를 다양한 측면에서 시뮬레이션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등의 특징과 장점 때문에 시간과 비 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CAD 시스템에 의한 도형 처리 (1) 캐드 시스템의 좌표계

(가) 절대 좌표

절대 좌표는 고유의 좌표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절대 좌표에서는 예를 들어 (1, 5) 는 X축으로 1만큼 가고 Y축으로 5만큼 이동한 좌표 공간에 점을 찍게 된다.

(나) 상대 좌표

원점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지정되는 좌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좌표를 지 정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점은 항상 (0, 0)이지만 (3, 4)의 좌표를 임시적으로 (0, 0)으로 생각한 후 임시 원점으로부터 X축으로 얼마, Y축으로 얼마의 위치에 있 는 좌표를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좌표를 상대 좌표라고 말한다.

[그림 2-4] 절대 좌표와 상대 좌표의 비교

[그림 2-4]에서 왼쪽 그래프는 절대 좌표를 오른쪽 그래프는 상대 좌표를 각각 나 타내고 있다. 상대 좌표는 좌표 앞에 @를 넣어 준다. 절대 좌표는 무조건 0,0에서 부터 가고자 하는 좌표를 입력해 줘야 한다. 상대 좌표는 0,0에서 이동한 좌표를 또다시 0,0으로 보고 새로운 좌표를 입력해 주고 새로운 좌표는 또 다시 0,0이 되 어서 새로운 좌표를 입력해주는 형식이다. 즉, 절대 좌표는 차를 타고 서울을 출발 해서 대전을 가든 부산을 가든 무조건 서울을 기준으로 거리를 입력하는 반면, 상 대 좌표는 서울을 출발해서 대전까지 갔다면 부산을 가기 위해서는 대전에서부터 거리를 입력해 주는 개념이다.

(다) 상대 극좌표

상대 극좌표는 상대 좌표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여기서는 좌표와 방향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좌표 지정 방법이다.

(2) 시스템의 컬러 (가) CMYK 컬러 모델

이니셜로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에서 색상을 합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컬러 모델 로, 컬러 옵셋 인쇄에서 사용되는 표준 컬러 모델이다.

Cyan, Magenta, Yellow, Black의 네 가지 색상의 잉크를 섞어서 색을 표현하는데, 이론상으로는 Cyan, Magenta, Yellow의 세 가지 색상의 잉크를 혼합함으로써 흑색 을 포함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나, 잉크의 안료에 불순물이 섞여 있어 제대로 된 흑색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Black을 추가한 것이다.

(나) RGB

CMYK와 대조되는 컬러 모델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GB(Red, Green, Blue)이다. 컬러로 탁상 출판을 하는 경우 가장 어려운 면이 컬러 매칭이다. 즉, 모니터에 표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프린트에 얻기 위해서는 RGB 컬러를 CMYK 컬러로 적절하게 변환시켜야 한다. 만일 RGB 컬러 모니터에서 전자총 3개 중 Red가 빠졌다면 Magenta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재료의 기입 1. 판재

판재를 자르는 데 필요한 직사각형의 치수를 기입한다. 그 표시에는 수량, 판재 기호, 나 비×두께×길이의 순으로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재질을 기입한다.

2. 형재

형재의 표시는 수량, 형재 기호, 모양 치수×길이 순으로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재질을 기입한다.

<표 2-1> 판형재의 표시(KS A 0113)

수행 내용 / 재료 및 가공 방법 파악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 시방서

Ÿ

철강재 시공도면

Ÿ

철강재 시공 시방서

Ÿ

건설 공사 시공 상세도 작성 지침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플로터 및 프린터

Ÿ

문서 작성 프로그램

Ÿ

설계 관련 프로그램

안전・유의사항

Ÿ

도면을 숙지하여 이해한다.

Ÿ

도면의 종류를 분석하여 이해한다.

Ÿ

도면 표시 기호를 해석하여 이해한다.

Ÿ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보안 및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도면을 보고 재료의 종류를 파악한다.

1. 강재의 종류

고로에서 선철을 만들고 전로에서 그 성분을 조성하는데 최근에는 전로 이후의 공정에서 는 연속 주조법에 의해 직접 강편을 만든다. 강편은 압연, 단조, 주조에 의해 가공되어 강 재로 되는데 생산면에서 보면 대부분이 압연 강재이다. 압연에는 고온에서 실시하는 열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