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변수별 설문항목

번 호 하위

변수 고성과작업시스템

1

참여

직원들은 회사로부터 의사결정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종종 받는다.

2 나는 내 직무에 대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3 직원들이 일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할 기회가 있다.

4 회사 임원들은 직원들과 열린 소통을 한다.

5

내부 이동

나는 상위 직책으로 올라 갈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회사의 직원들은 이 조직에서 나의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

6

회사에서 승진은 연공서열에 의거한다.

7

나는 우리 조직의 경력경로가 명확하다고 생각 한다.

8

회사에서는 승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다.

9 10

교육 훈련

회사는 직원들에게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직원들은 정기적으로 교육훈련을 받아야 한다.

11

회사에는 신입사원에게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정형화된 교육훈련이 있다.

12

회사에는 직원들의 승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정형화된 교 육훈련프로그램이 있다.

13 14

채용

회사는 직원 채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5 회사는 장기 근속여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16 회사는 인력에 대한 채용 및 배치 프로세스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17 회사는 직원 채용에 다양한 선발전형을 활용한다.

18

직무 설명

회사는 직무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하고 있다.

19 회사는 직무에 대한 설명이 최신화되어 있다.

20 회사의 직무기술서는 개별 직원들이 수행하는 모든 임무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21

평가

회사의 성과는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하다.

22 회사의 성과평가는 객관적인 평가에 근거한다.

23 회사의 직원 평가는 장기적인 성과와 그룹기반 성과를 강조한다.

24 고용 안정

회사는 직원들이 원하는 기간 동안 근무할 수 있다.

25 회사는 직원들의 고용안정성을 보장한다.

26 보상 회사는 조직의 이익을 바탕으로 개인에게 성과급을 지급한다.

27 회사는 개인 및 그룹 성과와 연계 또는 연동하여 성과급을 지급한다.

<표 14> 고성과작업시스템 측정 설문항목

번 호 하위

변수 조직몰입

1

정서적 몰입

나는 현재의 조직에서 은퇴할 때까지 근무를 한다면 행복할 것이다 2 나는 나의 조직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느낀다

3 나는 나의 조직에 대해 강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한다 4 나는 나의 조직에 대해 감정적인 애착을 가지지 못한다 5 나는 나의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일부로 느끼지 못한다 6 나의 조직은 나에게 개인적으로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표 15> 조직몰입 측정 설문항목

번 호 하위

변수 조직분위기

1

직무 특성

현재 나의 직무에서 능력이나 재능을 활용할 기회가 있다.

2 나는 직무상 스스로 많은 결정을 한다.

3 나의 업무는 퇴근시간까지 최선을 다해야 겨우 완료할 수 있다.

4

리더 특성

직속 상사는 내가 우수한 성과를 올렸을 때 많은 칭찬을 해준다.

5 직속 상사는 내가 최선을 다했을 때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6 직속 상사는 항상 나에게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해주고 그 목표에 도달 하도록 독려한다.

7

동료 특성

나의 조직의 구성원들은 상호간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있다.

8 나의 조직의 구성원들은 서로 신뢰한다.

9 나의 조직은 일의 완수를 위해 협동한다.

10

조직 특성

나의 조직은 직원들의 성과에 비례하여 보상을 해준다.

11 나의 조직은 승진과 발전의 기회가 있다.

12 나의 조직은 가장 공헌도가 높은 사람에게 큰 보상을 준다.

<표 16> 조직분위기 측정 설문항목

The Effect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Go-Eun, Ju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empir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upport business of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our factor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education and job description, participation, employment stability, and compens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evaluation among sub-element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does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 this study finds that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such as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detailed job description, activation of participation, enhancement of employment stability and compensation can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organizational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