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설문조사도구 개요

본 논문에서 사용할 조사도구는 [그림 3-3]과 같다.

[그림 3-3] 설문조사도구의 구성

40) 김위정 (2004), 전게서

(2) 입주민의 주거 특성

두 사례 단지는 특성이 상이한 편이므로, 사례 단지에 따라 응답자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단지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세대소 유유형은 분양동 분양세대, 혼합동 분양세대, 혼합동 임대세대, 임대동 임대세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주동의 분리/혼합 여부에 따라 입주민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41) 또한, 응답자의 주동 출입 구로부터 단지 내외부 시설까지의 시설 접근성, 주동 및 주호 출입구 접 근성 등 공간구조와 설문조사 응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입주 민의 거주 위치를 조사하였다.

(3) 입주민 만족도

만족도 변수는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만족도의 척도는 매 우 불만족(1점), 불만족(2점), 보통(3점), 만족(4점), 매우 만족(5점)으로 구성된다. 입주민 만족도의 변수는 이혜진(2011), 장한수(2017)의 설문문 항을 참조하여 혼합단지 전반적 주거 만족도, 분양·임대세대 혼합 배치 만족도, 시설 접근성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먼저, 전반적 주거 만족도의 경우, 거주자의 만족도는 주거의 질을 평 가하는 적합한 기준으로, 거주자의 욕구 수준에 따라 평가의 수준이 달 라진다. 주거 만족도는 주거서비스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이라는 측면에 서, 주택에 대한 경험을 근거로 판단하는 거주자의 주관적 만족의 정도 를 의미한다. 즉, 주거 조건에 대한 만족 또는 불만족의 상태로, 거주자 가 생활하고 있는 주택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느낌을 의미한다.42)

시설의 접근성은 공간적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를 조사할 수 있는 변수다. 선행연구에서 언급하였듯, 혼합단지에서는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가 중요하다. 이는 주거 계층 분화에 따른 사회적 배제가 사회적 재화와 서비스 시설에 대한 적정한 혜택을 보장받지 못한 것에서 기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43) 41) 이혜진(2011), 전게서, p.46

분양타가(분양으로 공급된 세대 중 전세 또는 월세 형태)의 경우, 분양과 임대 의 중간적 성격을 지니므로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42) 오정석, 천현숙(2020). 전게서

분양·임대세대 혼합 배치 만족도는 단지 또는 주동 내 좋은 위치에 분양·임대주택이 골고루 섞였는지 질문한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임대주 택이 왕래가 뜸한 곳 또는 물리적 환경이 열악한 곳에 임대주택을 집중적으로 배치해서는 안 된다고 한 것과 관련 있는 변수로, 단지 또는 주동 내 임대주택 에 대한 공간적 분리 및 배제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한 변수이다.

(4) 입주민 교류

앞서 선행연구에서 보았듯, 이웃 간 유대감의 개념은 입주민의 사회통 합을 설명하는 대리변수이고, 이웃 간 유대감 증대의 주요 요인은 물리적 커 뮤니티 공간의 반복적 사용행태 및 이웃 간 지속적 교류이다.44) 다음의 변수들 은 김위정(2004), 이혜진(2011)의 설문문항 중 본 연구에 적합한 문항들을 참고 하여 골랐으며, 이를 통해 혼합단지의 사회통합 현황을 알아보았다.

입주민 간 교류 여부에 관한 질문은 교류 장소별 교류 빈도 및 교류 이웃 수에 관한 설문 대상에서 입주민 간 교류가 없는 경우를 제외하기 위함이다.

입주민 간 교류 빈도는 아파트의 배치에 의해 분양·임대 입주민끼리 마주 치며 교류하는 빈도와 주동 내부 교류공간에서의 교류 빈도로 나눴다. 교 류 빈도 변수는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교류 빈도의 척도는 거의 없음(1점), 적은 편(2점), 보통(3점), 비교적 자주(4점), 매우 자주(5 점)로 구성된다.

43) 서수정, 김주진, 정경일(2004), 전게서, 이혜진(2011) 재인용 44) 안용진, 김주현(2019), 전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