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 내부 복도의 공간구조는 복도의 연결성, 연결된 주호의 수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두 조건에 의해 주동 내부 복도의 공간구조가 어 떻게 변화하는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Duncan 사후검정 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복도에 연결된 다른 복도의 수
주호가 연결된 복도에 연결된 다른 복도의 수는 다음과 같이 0개(계 단실형), 1개, 2개로 나누었다. [표 4-3]과 [표 4-4]를 통해 알 수 있듯, 두 사례 단지에서는 복도에 연결된 다른 복도의 수에 따라 복도 축선의 국부통합도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결된
복도의 수 빈도 평균 표준 편차
사후
검정 자유도 F값 유의
확률 0개 42 1.73 0.03 A 집단간 =2
집단내 =228 전체 =230
20.121 .000 1개 104 1.35 0.34 C
2개 85 1.53 0.41 B
[표 4-3] 은평구 I 아파트 주동 내 복도에 연결된 다른 복도의 수에 따른 국부통합도 차이 ANOVA, Duncan 사후검정 결과
연결된
복도의 수 빈도 평균 표준 편차
사후
검정 자유도 F값 유의
확률 0개 274 1.76 0.15 A 집단간 =2
집단내 =876 전체 =878
81.266 .000 1개 317 1.56 0.19 B
2개 이상 288 1.80 0.28 A
[표 4-4] 중랑구 D 아파트 주동 내 복도에 연결된 다른 복도의 수에 따른 국부통합도 차이 ANOVA, Duncan 사후검정 결과
Duncan 사후검정 결과, 연결된 복도가 없는 계단실형의 경우,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하나의 복도에 연결되어 복도 축선의 국부통합도 값이 다 른 경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나의 복도만 연결된 복도 의 경우는 주로 한쪽 끝이 막힌 길인 막다른 길과 유사한 공간의 위계를 가지며, 가장 낮은 국부통합도 값을 가진다. 즉, 연결된 복도가 하나일 경우, 다른 경우에 비해 복도의 접근성이 가장 낮아지며, 입주민 간 교류 가능성이 감소한다. 한편, 양옆이 다른 복도로 연결된 경우는 복도 축선 의 국부통합도 값이 상대적으로 낮지 않게 나타났다.
(2)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는 1개, 2개, 3개(이상)으로 나누었다. 즉, 주 호와 연결되지 않은 복도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 4-5]와 [표 4-6]을 통해 알 수 있듯, 두 사례 단지에선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에 따라 복도 축선의 국부통합도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결된
주호의 수 빈도 평균 표준 편차
사후
검정 자유도 F값 유의
확률 1개 50 1.45 0.42 B 집단간 =2
집단내 =128 전체 =130
5.096 .007 2개 74 1.49 0.31 B
3개 이상 7 1.95 0.80 A
[표 4-5] 은평구 I 아파트 주동 내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에 따른 국부통합도 차이 ANOVA, Duncan 사후검정 결과
연결된
주호의 수 빈도 평균 표준 편차
사후
검정 자유도 F값 유의
확률 1개 308 1.54 0.17 C 집단간 =2
집단내 =748 전체 =750
522.395 .000 2개 296 1.64 0.16 B
3개 147 2.03 0.07 A
[표 4-6] 중랑구 D 아파트 주동 내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에 따른 국부통합도 차이 ANOVA, Duncan 사후검정 결과
Duncan 사후검정 결과, 복도에 연결된 주호의 수가 3개(이상)일 경우, 복도 축선의 국부통합도 값이 다른 경우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연결된 주호의 수가 3개 이상일 때, 복도의 접근성과 입주민 간 교류 가 능성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