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관련법규 및 해외사례
4.7 설문조사 분석
•조사대상
- 일반인 : 대상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 67명
- 전문가 :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건축사무소 근무 건축사 40명
•조사방법
- 일반인 : 대상지역 인근 M아파트, D아파트 주민 대상 면접조사 - 전문가 : 건축사무소가 밀집한 초량지역 건축사사무소 방문조사
•조사기간 : 2002년 8월 13일 ∼ 8월 19일(4일간)
•분석방법 :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③ 설문내용
•대상지역의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대상지역의 발전을 위해 꼭 들어서야 할 시설 혹은 공간
•대상지역의 발전 잠재력에 대한 의견
•대상지역의 발전 장애요소에 대한 의견
•대상지역 수역의 활용방안
•대상지역의 발전이 영도구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대상지역의 발전이 부산시 전체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대상지역의 발전이 인근지역의 토지와 건물에 미치는 영향
•대상지역 발전을 위한 건의사항(자유응답)
•응답자에 관한 내용
2) 응답자에 관한 내용 분석
① 성별
일반인의 경우 남자가 73%, 여자가 18%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문가의
남자(49) : 73%
여자(18) : 27%
남자(49) : 73%
여자(18) : 27%
그림 4.8 성별분포(일반인)
② 연령
일반인의 경우에는 40대(28%), 50대(22%), 20대(19%), 30대(18%) 순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전문가의 경우는 40대(52%)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다음 으로 30대(29%), 50대와 20대(각각 8%)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인)
28%
19% 22%
18%
10%
1%
1%
1%
40대(18) : 28%
50대(14) : 22%
20대(13) : 19%
30대(12) : 18%
60대(7) : 10%
70대(1) : 1%
10대(1) : 1%
무응답(1) : 1%
(건축사)
52%
29%
8%
8% 3%
40대(21) : 52%
30대(12) : 29%
50대(3) : 8%
20대(3) : 8%
60대(1) : 3%
그림 4.9 연령분포(일반인/건축사)
③ 직업
일반인 응답자의 직업은 자영업(22%), 상업(13%), 운수업(12%), 사무직 (10%), 학생(10%) 등 다양한 직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가의 직업은 모 두 건축사이다
22%
13%
12%
10%
10%
7%
3%
1%
22% 자영업14 (22%)
상업9 (13%) 운수업8 (12%) 사무직7 (10%) 학생7 (10%) 주부5 (7%) 서비스업2 (3%) 건설업1 (1%) 기타14 (22%)
④ 학력
일반인의 경우 고졸(47%)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대졸(32%), 중졸이하 (15%), 대학원이상(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가의 경우는 모두 대졸 이상이며 그 중 33%는 대학원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어 전문가와 일반인 의 학력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일반인)
47%
32%
15%
6% 고졸(30) : 47%
대졸(21) : 32%
중졸이하(10) : 15%
대학원이상(4) : 6%
(건축사)
67%
33%
대졸(27) : 67%
대학원이상(13) : 33%
그림 4.11 학력분포(일반인/건축사)
⑤ 거주지
일반인의 경우 영도 거주자가 88%를 차지하며 영도 밖 거주자도 12%를 차지하고 있다. 전문가의 거주지는 영도 3명을 포함하여 부산시 전역에 걸 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88%
12%
영도내거주59 (88%) 영도밖거주8 (12%)
그림 4.12 주거지분포(일반인)
3)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대상지역의 미래(10년 후를 기준)를 위한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으로 일 반인의 경우 해변관광지역(49%)이 거의 반수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항만시 설지역(27%), 주거지역(13%), 오피스지역(11%)의 순서이며, 전문가의 경우 에는 해변관광지역(57%)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항만시설지역(26%), 오피 스지역(12%), 주거지역(5%) 순서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해변관광 지역이 응답자의 반수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의견을 보이고 있다. 기타 의 견으로는 수변공원, 수변광장, 역사문화시설, 장애인 복지관, 복합시설 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해변관광지역을 주로 계획하면서 일부에는 전체와 어울리 는 항만시설지역으로 계획한다.
(건축사)
26% 57%
12% 5%
해변관광지역(25) : 57%
항만시설지역(11) : 26%
오피스지역(5) : 12%
주거지역(2) : 5%
(일반인)
49%
27%
13%
11%
해변관광지역(34) : 49%
항만시설지역(19) : 27%
주거지역(9) : 13%
오피스지역(8) : 11%
그림 4.13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일반인/건축사)
대상지역의 발전을 위해 꼭 들어서야 할 시설이나 공간에 대한 의견으 로 일반인의 경우 친수시설(28%), 역사문화시설(26%), 항만물류시설(23%), 레크레이션시설(22%)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고 있으나, 전문가의 경우에 는 친수시설(47%)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역사문화시설(19%)과 항만물류시 설(17%), 레크레이션시설(17%)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친수공간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시설과 레크레이션시설을 복합적으로 계획하고 여기에 항만물류시설을 보완하여 계획한다. 주거시설
(일반인)
28%
26%
23%
22%
1%
친수시설(19) : 28%
역사/문화시설(18) : 26%
항만물류시설(16) : 23%
레크레이션시설(15) : 22%
공장/산업시설(1) : 1%
(건축사)
47%
19%
17%
17% 0%
친수시설(23) : 47%
역사/문화시설(9) : 19%
항만물류시설(8) : 17%
레크레이션시설(8) : 17%
공장/산업시설(0) : 0%
그림 4.14 꼭 들어서야 할 시설에 대한 의견(일반인/건축사)
대상지역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개발 잠재력에 대한 의견으로 일반인은 바다에 면한 입지조건(29%)을 가장 많이 들고 다음으로 맑고 깨끗한 자연 환경(20%), 주변 개발여건(18%), 시내에서 교통 접근성(13%), 도시기반시 설의 구축(11%) 등을 들고 있다. 반면에 전문가는 바다에 면한 입지조건 (48%)이 단연 많고 다음으로 시내에서 교통의 접근성(16%), 양호한 주변 경관(14%), 주변 개발여건(10%)을 들고 있다. 일반인과 전문가는 약간의 의견 차를 보이지만 바다에 면한 입지조건과 교통의 접근성 양호, 주변 개 발여건 등에 대해서는 모두 개발 잠재력으로 인정하고 있다. 한편 두 그룹 모두 현재 있는 건물과 시설물에 대해서는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으 로 여기지 않고 있다. 기타 의견으로 자갈치 시장, 국제영화제 등이 있다.
이를 고려하면 현재 존재하는 건물과 시설물에 대한 개선작업이 요구되 고 바다에 면한 입지조건, 시내에서 접근의 양호, 주변 개발여건 등 잠재력 을 살리는 발전계획이 요구된다.
(일반인)
29%
18% 20%
13%
11%
8% 1% 바다에면한입지조건(22) : 29%
맑고깨끗한자연환경(15) : 20%
롯데호텔건설/주변개발여건(14) : 18%
부산시내에서의교통접근성(10) : 13%
도로/기반시설의구축(8) : 11%
양호한주변경관(6) : 8%
현재의질높은건물과시설물(1) : 1%
(건축사)
48%
16%
14%
10%
8%
2%
2%
바다에면한입지조건(25) : 48%
부산시내에서의교통접근성(8) ; 16%
양호한주변경관(7) : 14%
롯데호텔건설/주변개발여건(5) : 10%
도로/도시기반시설의구축(4) : 8%
맑고깨끗한자연환경(1) : 2%
현재의질높은건물과시설물(1) : 2%
대상지역의 발전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에 대한 의견으로는 일반인의 경우 교통여건의 불편(27%)과 노후된 건물이나 시설(26%)이 가장 많고 다 음으로 수질 및 자연환경의 오염(13%), 관광/레크레이션시설 부족(10%), 녹지 및 친수공간의 부족 등이 차지한다. 전문가의 경우에는 노후된 건물 이나 시설(24%), 교통여건의 불편(22%), 녹지 및 친수공간 부족(18%)이 많 이 나타나고 다음으로 관광/레크레이션시설 부족(11%), 건물에 의한 경관 의 파괴(11%) 등이 차지한다. 노후된 건물이나 시설물, 불편한 교통여건, 관광/레크레이션시설 부족 등이 두 그룹 모두에게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 이다.
이를 고려해 보면 도로 및 주차장 등 교통여건의 개선, 노후된 건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개선, 관광/레크레이션시설의 보완, 녹지 및 친수공간의 확 보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일반인)
27%
26%
13%
10%
9%
8%6% 1% 도로및주차장/교통여건불편(22) : 27%
노후된건축물이나시설물(21) : 26%
수질및자연환경의오염(10) : 13%
관광/레크레이션시설부족(8) : 10%
녹지및친수공간부족(7) : 9%
지역의경제적어려움(6) : 8%
새롭게들어서는건물의경관파괴(5) : 6%
상하수도/도시기반시설부족(1) : 1%
(건축사)
24%
22%
18%
11%
11%
9%
5% 0% 노후된건축물이나시설물(14) : 24%
도로및주차장/교통여건불편(13) : 22%
녹지및친수공간부족(10) : 18%
관광/레크레이션시설부족(6) : 11%
새롭게들어서는건물의경관파괴(6) : 11%
지역의경제적어려움(5) : 9%
수질및자연환경의오염(3) : 5%
상하수도/도시기반시설의부족(0) : 0%
그림 4.16 발전에 장애가 되는 요소에 대한 의견(일반인/건축사)
대상지역의 발전을 위해 지역에 면한 바다의 활용에 대한 의견으로 일 반인과 전문가의 의견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해양관광/레저기 능으로 활용(73%)이 압도적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배의 정박이나 물양 장으로 활용(17%), 현재 상태로 활용(7%) 등의 순서이다.
이를 고려하여 해역은 육역의 수변 친수공간과 연계하여 해양관광/레저 기능으로 계획한다.
(일반인)
75%
15%
7%
3%
해양관광/레저기능으로활용(51) : 75%
배의정박이나물양장으로활용(10) : 15%
현재있는상태그대로활용(5) : 7%
중소조선소/공장부지로활용(2) : 3%
(건축사)
71%
21%
5%
3%
해양관광/레저기능으로활용(28) : 71%
배의정박이나물양장으로활용(8) : 21%
현재있는상태그대로활용(2) : 5%
중소조선소/공장부지로활용(1) : 3%
그림 4.17 지역에 면한 해역활용에 대한 의견(일반인/건축사)
대상지역의 발전이 영도구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으로 일반인과 전문가들의 의견은 비슷하며 전체적으로 주민생활 환경개선(7 8%
5)
)과 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76%)에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 고 있으며 그밖에 주민의 생계(75%)나 구 재정의 자립 증대(72%)에 대해 서도 비교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를 고려해 보면 대상지역의 발전이 영도구의 물리적 환경개선에 도움 이 될 것으로 특히 기대된다.
주 민 의 생 계
25%
4 5%
22 %
6 % 2%
25 %
50%
19 %
5 % 1%
2 6%
55 %
1 6%
3% 0 %
0 % 10 % 20 % 30 % 40 % 50 % 60 %
매 우 도 움 이 됨 비 교 적 도 움 이 됨 그 저 그 렇 다 별 로 도 움 이 안 됨 전 혀 도 움 이 안 됨
일 반 인 전 체 건 축 사
기 반 시 설 정 비
2 9%
39 %
2 3%
6% 3 %
35 %
4 1%
18 %
4 % 2%
4 4% 46 %
1 0%
0% 0 %
0%
1 0%
2 0%
3 0%
4 0%
5 0%
매 우 도 움 이 됨 비 교 적 도 움 이 됨 그 저 그 렇 다 별 로 도 움 이 안 됨 전 혀 도 움 이 안 됨
일 반 인 전 체 건 축 사
주민생활환경개선
30%
44%
19%
5% 2%
33%
45%
17%
4% 1%
37%
47%
13%
3% 0%
0%
10%
20%
30%
40%
50%
매우도움이됨 비교적도움이됨 그저그렇다 별로도움이안됨 전혀도움이안됨
일반인 전체 건축사
구재정자립증대
27%
35%
30%
8%
0%
26%
46%
22%
5% 1%
26%
63%
8%
0% 3%
0%
10%
20%
30%
40%
50%
60%
70%
매우도움이됨 비교적도움이됨 그저그렇다 별로도움이안됨 전혀도움이안됨
일반인 전체 건축사
그림 4.18 영도구 지역발전에 대한 의견
대상지역의 발전이 부산시 전체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반인과 전문가를 합하여 전체적으로 관광객 증대(82%
6)
), 도시환경 개선(77%), 도 로, 항만 등 도시기반시설 정비(74%), 시 재정 증대(56%)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들은 관광객 증대에 매우 기여할 것(매우 기여 함 44%)으로 여기고 있으나 시 재정의 증대에 대해서는 기여도에 대한 기 대가 적었다(그저 그렇다 43%).이를 고려해서 대상지역을 친수공간 중심의 해양관광지로 계획하면 국내 외 관광객이 증대되고 도시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