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DPT3

5. 소비 스트레스

-초등학생들의 갖고 싶은 물건을 갖지 못한 스트레스는 11.4%의 학생만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57.0

17.5

13.9

5.0 6.4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다소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갖고 싶은 물건을 갖지 못한 스트레스(초등)

-중고등학생들의 갖고 싶은 물건을 갖지 못한 스트레스는 20.7%의 학생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33.6

24.7

21.1

11.9

8.8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그렇지 않다

별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다소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갖고 싶은 물건을 갖지 못한 스트레스(중고등)

63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초등학생들에게서 질문한 항목들에 있어서 스트레스 지수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심지어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과 공부, 시험 등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며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지수는 보여주었다.

-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공부 때문에 나타나는 스트레스가 초등학생들에 비해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이할 만한 것은 자신들의 외모나 물질적인 것에서도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고등학생 기에 접어들면 사회적인 계층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의 문화적인 경험을 하게 되는 빈도수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부와 사회계층의 문제에 대해서 그리고 외모에 대해서도 행복 지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어린이 - 청소년의 종류별 스트레스 정도 1

부모관련 학업관련 친구관련 외모관련 물질관련

39.8%

67.5%

16.1%

42.7%

22.6%

0%

10%

20%

30%

40%

50%

60%

70%

80%

부모관련 학업관련 친구관련 외모관련 물질관련

어린이-청소년의 종류별 스트레스 정도 2

64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외모관련 스트레스 ()

몸무게로 인한 스트레스 키로인한 스트레스 얼굴생김새로 인한 스트레스

멋있거나 이쁜 옷을 입지 못한 스트레스

외모와 관련하여 남학생의 경우에는 키로 인한 스트레스가 매우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몸무게로 인한 스트레스가 초등학생의 경우 다른 스트레스의 원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 키와 몸무게는 자신의 행복감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인간적인 요소로 이해된다.

멋있거나 이쁜 옷을 입지 못한 스트레스

얼굴생김새로 인한 스트레스

키로인한 스트레스 몸무게로 인한 스트레스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외모관련 스트레스 ()

외모와 관련하여 여학생의 경우에는 몸무게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키로 인한 스트레스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비교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얼굴생김새와 옷에 대한 스트레스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대되었다. 외모로 인한 스트레스는 여학생들에게서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가 여성에게 외모의 측면에서 사회적 압력을 더 많이 행사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남자는 키, 여자는 얼굴과 몸매라는 한국사회의 편견이 학생들에게 서로 다르게 사회화되어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하는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65

66

Ⅶ Ⅶ . . 주 주관 관적 적 행복 행 복

1. 건강

주관적 건강

: 스스로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아동의 비율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좋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에 대한 OECD 의 국가들의 평균은

14.98%인 것에 비해 한국은 26.46%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주관적 건강] 단위: %

22.6 11

14.9 13.7 13.1

14.9 12.5 0

9.1 9

11.8

15.6 10.1

19.1

26.46 13.2

17.2 14.4 0

19.8 18.5 14.8

12.9 0

0 0

0 5 10 15 20 25 30

영국 핀란드 헝가리 캐나다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스페인 체코 오스트리아 그리스 포르투갈 대한민국 스웨덴 네덜란드 폴란드 뉴질랜드 미국 노르웨이 덴마크 아일랜드 호주 일본 아이슬란드

주관적건강

[주관적 건강 기술통계]

평균 표준편차 95% 신뢰구간

주관적 건강 14.98381 4.399239 9 26.4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