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 경계치 문제의 정식화

3.5. 속도와 압력의 계산

Fig. 3-13 Local coordinate system for the calculation of tangential vector at nodal points

3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을 이용하여 Fig. 3-14의 ,

그리고 를 구한다.

Fig. 3-14 Tangential vector at local coordinate system

3점을 지나는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  

      (3.20)

식 (3.20)를 에 대해 미분 하여 접선벡터의 기울기를 구하고, 국부 좌표계에서의 접선벡터를 구한다.

  

 (3.21)

여기서, 은 국부좌표계에서의 접선벡터이다.

식 (3.21)의 접선벡터는 원 좌표계의 방향벡터를 이용하여 원 좌표계 의 접선벡터를 구한다.

  ∙  (3.22)

여기서, 은 국부좌표계에서의 방향벡터이고, 는 원 좌표계에서의 방향벡터이다.

   

        

(3.23)

방향의 접선벡터도 방향의 접선벡터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 다.

와  방향속도는 접선방향 속도를 와 방향으로 투영시킨 속도이 고, 접선벡터를 구하는 방식과 같이 포텐셜에 대해 식 (3.21)를 구하여

와 방향으로 각각 미분하여 얻을 수 있다. 접선방향 속도는 와 방 향 속도를 와 방향으로 변환하여 벡터의 합으로써 구할 수 있다.

먼저 방향은 방향과 일치시키고 방향은 방향과 직교하도록 국부 좌표계를 정의한다. 국부좌표계의 정의에 의해 방향의 속도는 방향 의 속도와 같고, 방향의 속도는 식 (3.24)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 3-15 Projection of the velocity vector to the local coordinate system

∂

∂  cos

∂

∂ ∂

∂sin 

(3.24)

여기서,  는  방향과  방향 사이의 각이다. 총 속도(toatl velocity) 는 접선방향 교란속도(perturbation velocity)와 유입속도(inflow velocity)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날개 뒷날에서 방향 속도와 방향 속도의 계산은 선형 보간법을 사 용하여 계산한다.

 or      or   or     or 

 or     or 

 or     or  (3.25)

 or      or   or     or 

 or     or 

 or     or  (3.26)

여기서 는 코드방향의 길이이고, 아래 첨자는 날개 뒷날에서의 특이 점의 위치이다.

압력 계수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 하여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3.27)

4. 2차원 날개 단면에 적용

4.1. 2차원 구분 선형 패널법의 정식화

2차원 날개 단면에 대한 적분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log  





log

∆

 log

(4.1)

이때, 특이점의 개수는 기존의 제어점과 특이점 모두 패널의 중앙에 균 일 강도 패널법과 달리 특이점이 절점에 위치한 관계로 개수가 1개 늘 어난  개가 됨을 주의 하여야 한다. 제어점의 경우 패널의 중앙에 위치하고 개수는 N개가 된다.

적분방정식 (4.1)을 이산화 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4.2)

여기서, 는  번째 다이폴 패널의 단위 강도에 의한  번째 제어점 의 유기 포텐셜,  은  번째 소스 패널의 단위 강도에 의한  번째 제어점의 유기 포텐셜,  은 후류의 다이폴에 의한  번째 제어점의 유기 포텐셜 그리고 ∂

∂ 는 경계조건에 의한  번째 제어점의 소스 강도이다.

이산화식 (4.2)를 선형강도를 갖는 다이폴을 적용하면 선형대수 방정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4.3)

여기서,

    if   

   (4.4)

  if   

 if    (4.5)

    if   

   if    (4.6)

여기서, 과 은 Fig. 4-1과 Fig. 4-2와 같이 패널의 양 끝에 각 각 선형강도를 갖는 다이폴 영향계수를 의미한다.

Fig. 4-1 DR dipole influence coefficient

Fig. 4-2 DL dipole influence coefficient

선형강도 패널법에서는 제어점의 위치가 절점에 위함으로 각 절점에 서의 자기 유도 계수를 고려하여한다. 절점에서의 자기 유도 계수는 Jack Moran[11]에 의해 제안되었다. Jack Moran[11]은 각 절점에 인 접한 두 패널 사이의 각도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제어점 P가 번째 절점에 위치할 때 자기 유도 계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4.7)

구분 성형 패널법에서는 N개의 방정식과 N+1개의 미지수가 있기 때 문에 이산화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1개의 식이 추가적으로 요구 되 어 진다. 그래서 Fig. 4-4과 같이 날개 뒷날의 상면과 하면 패널의 접 선방향 속도의 크기가 같도록 하는 Kutta 조건을 적용하여 방정식의 개수와 미지수의 개수를 같도록 하였다.

(4.8)

여기서,

 

   

 cos  sin (4.9)

 

 

 cos sin (4.10)

여기서,    그리고   은 각각 날개 뒷날 패널의 절점에서의 교란 포텐셜(perturbation potential)이다. 은 각 패널의 길이, 는 유체의 유입각이고, 는 패널의 접선방향 벡터이다.

Fig. 4-3 Self-induction for a linear dipole strength panel

Fig. 4-4 Notation for Kutta condition at the trailing edge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