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산자원 관리제도 개선안

제1절 국민 어식백세 실현을 위한 창조적 수산정책전략 수립

1 한중일 수산업 현황 및 현안

1-1. 한·중·일 수산업 환경변화 1-1-1. 한국의 수산업

□ 수산업의 대내외 여건

○ 수산업은 전통적 1차 산업에서 2·3차 복합 산업화로 진화하고 있고 생산 단계보다 가공 및 유통부문에서 부가가치 창출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규모화·자본화 추세

※ 세계 수산업의 가치(FAO, 2010) 총 8,180억 달러 = 생산 1,980억 달러 < 가공 2,700억 달러 < 유통 3,500억 달러

○ 수산물 수요 증가(Fish-Flation) 및 FTA 등으로 시장 개방 가속화

※ 우리나라 1인당 수산물 소비량 : (‘01) 42.2kg →(’11) 53.5kg

○ 기후변화, 자연재해 발생, 수산자원 감소 등 생산 불안정성 증대 - 수온, 적조·태풍 등 위험요소의 사전 차단·예방 시스템 필요

※ 최근 45년간(‘68~’12) 우리나라 주변 수온 1.17℃ 상승(세계 평균의 3배)

○ 최근 우리나라 수산 자원량 및 어획량 추이가 1970년대 이후 800만톤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현재 상태로 조업할 경우 회복 불가능한 400만톤 수준으로 감소 전망

※ 2015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어족자원 약 1,000만톤 부족 전망, FAO (세계식량농업기구) - 해양수산부는 개별어종(단일어종)에 대해 연간 잡을 수 있는 어획량을 설정하여 그

한도내에서만 어획을 허용하여 자원을 관리하는 TAC제도를 운영

※ 현재 12개 업종에서 11개 어종을 대상으로 TAC 제도를 운영 중, 해양수산부 자료

○ 우리나라는 일본과 한일어업협정이 체결되고 양국 어선의 조업 조건과 어업관계에 대한 협력사항에 대하여 협의하는 한일어업공동위원회가 설립되어 있음

- 한일 간은 쌍방 어선에 의한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조업에 대하여 허가된 범위 내 에서 조업하고 있으며 상대국 어선에 대한 조업허가나 단속을 실시

- 동해 일부나 제주도 남부 수역에서는 연안국에 의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잠정수역이 설정되어 있으나, 동해 잠정구역에서의 자원관리 조치에 대한 한일간 갈등이 존재

□ 수산 R&D의 대내외 여건

○ 우리나라 수산업 생산은 2012년 기준 약 320만 톤으로 1970년도와 비교하면

240% 증가하였는데 이는 어업 및 양식업의 신기술 개발, 수산현장의 애로문제

해소 등 수산업 R&D의 적극적 추진이 가장 중요한 원인

○ 해외에서 수산업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집중되는 분야는 수산식품개발분야, 수산물 품질관리 및 안전기술분야, 수산자원 및 생태계 관리분야, 친환경 앙식기술분야, 정보기술 및 관리분야 등임

○ 국내 수산분야 기업은 대부분 영세하여 R&D 활동이 실질적으로 어려워 국가연 구기관에서 주도적으로 R&D를 추진하고 연구결과를 민간으로 기술이전하거나 보급 시행 중

- ʻ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의 경우 2011~2013년 간 기술이전 27건(어업인 10건, 산업체 2건)으로 3.7억 원의 기술료 수입

1-1-2. 중국의 수산업

□ 수산업의 환경 여건 및 현황

○ 중국에서 수산업은 산업영역 중 가장 먼저 시장 개혁이 이루어진 분야로, “양식위주” 의 발전 방침이 기본이 되고 있음

- “포획위주”의 수산업에서 “양식위주”로의 국가 정책전환으로 양식 총량이 전체 수산물 총 생산량의 70% 수준에 달하고 있음

- 과거 10년 동안 중국의 수산물 총량은 약 9배가 증가하였고, 일인당 평균 섭취량은 7.2배가 증가하여 세계 평균의 2배의 수준임

○ 중국의 수산물 총 생산량은 2013년 현재 6172만 톤에 달하는데, 2011년부터 지속적 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중국의 수출의 구조가 바뀌고 있는데, 특히 포획수산물 중 오징어 등의 제품 수출이 전통 수출품인 패류, 대하류 등의 전통 우세 품종을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음

(단위: 만톤)

자료: 중국 산업정보 웹사이트

<그림 1-1-1> 중국의 수산물 총생산량 변화 추이(2011~2013)

□ 중국 수산업의 구조적 특성

○ 중국의 수산업은 크게 어업, 어업건설을 포함한 어업공업, 가공을 포함한 어업유통 으로 구성되어 있음

- 수산업의 2009년 이후 수산업의 생산액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13년에는 101.05백만 위안에 달하고 있음

(단위: 백만 위안)

<그림 1-1-2> 중국 수산업의 생산액(2009~2013)

- 수산업 생산액의 비중을 보면, 어업, 어업공업, 어업유통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13년을 기점으로 어업공업에 비해 어업유통 및 가공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

(단위: 백만 위안)

<그림 1-1-3> 중국의 수산업 생산액 구조 변동(2009~2013)

○ 한편, 중국의 순수 국내 어업은 크게 해수와 담수의 포획 및 양식과 이 밖에 수산 종묘 육성(재배)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

○ 국내 어업을 통한 중국의 어업생산액은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생산액 비중도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

- 해수에 비해 담수 영역의 포획과 양식의 생산액 비중이 높으며, 포획형태 보다는 양식의 형태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1-1-4> 중국의 어업생산액 비중 변화 추이(2009~2013)

○ 중국은 특히 담수어 양식 및 소비, 수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제 시장 대구 자원이 감소함에 따른 대구 대체제로 담수양식어인 틸라피아를 주 수출품목 으로 하고 있음

- 유럽, 일본, 한국에 대한 생선회 시장의 대체품으로 세계의 틸라피아 소비 수요가 증가 하고 있고, 이에 대한 양식·수출 전략을 세우고 있음

※ 중국의 담수어 시장은 비교적 생산단가가 낮고 품질이 우수하고 수요가 많아, 가공품 및 수출품에 많이 쓰임

○ 최근, 국제수산물 소비시장의 수요가 강력해지면서 중국의 수산물 가공 수출이 많아졌고, 수산물 가공기업 수량이 증가하여 2009년에 9635개로 집계되고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2011-2013년 사이의 중견 규모 이상의 수산물 가공기업은 2060가에 달함

(단위: 가(家))

<그림 1-1-5> 중국의 중견규모 이상의 어가 수(2009~2013)

○ 중국의 수산물 가공산업(상품) 중 비교적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냉동 수산물 과 냉동 가공품으로, 생산량이 941.1만 톤에 전체 수산물 가공의 51.6%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남

- 어죽제품 및 절임류가 223.5만 톤, 조류가공품이 90.4만 톤이며, 통조림류가 22.0만 톤, 수산사료(어분)이 136. 4만 톤, 어유제품이 2.4만 톤, 기타 수산가공품이 61.2만 톤 수준임

1-1-3.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 수산업

□ 동일본대지진에 의한 수산물 피해 현황

○ 동일본대지진에 동반한 진파에 의하여 홋카이도에서 치바현의 7개 도현(道県)을 비롯하여 전국에서 피해 발생(피해액 합계 : 1조 2,637억 엔)

○ 주요 피해는 어선(28,612척, 1,822억 엔), 어항시설(319 어항, 8,230억 엔), 양식 시설 (738억 엔), 양식물(597억 엔), 공동이용시설(1,249억 엔) 등이며, 기타 민간기업의 수산가공시설 및 제빙냉동냉장시설 약 1,600억 엔 추가 손실됨

□ 수산물 방사성 물질 조사 결과

○ 조사 결과 기준치(100 Bq/kg)을 초과하는 비율은 사고 후 시간에 따라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후쿠시마현에 있어서 2011년 4~6월에는 기준 치를 초과하는 비율이 53%였으나, 2014년 7월에는 0.6%까지 감소

○ 현재는 멸치 치어나 까나리 등 표층 물고기, 가다랑어·다랑어류, 연어, 꽁치와 같은 회유어, 오징어·문어류, 새우․게류, 조개류나 해조류 등에 대해서는 후쿠시마를 포함한 모든 도도부현이 기준치 이하

<표 1-1-1> 모든 지역에서 기준치 이하가 확인된 대표적 해산물

구 분 내 용

해조류 모든 종

조개류 모든 종

오징어・문어류 모든 종 새우・게류 모든 종

표층어 정어리류, 꽁치, 까나리, 멸치, 치어, 꼬치고기류, 날치

중층어 고등어류, 새치류, 가다랑어류, 참치류, 은연어, 연어, 방어, 청상아리, 청새리상어, 잿방어, 전어, 삼치, 만새기, 시샤모, 붉돔, 부시리

저층어 눈볼대, 전갱이류, 파랑눈매퉁이, 돌돔, Laemonema longipes(날가치 숭어), 말쥐치, 금눈돔, 홍살치, 자주복, 청어, 문절망둑, 검복, 눈가자미

포유류 고래류

* 2012년 4월 1일 이후

자료: 일본 수산청 홈페이지(http://www.jfa.maff.go.jp/j/housyanou/kekka.html)

<표 1-1-2> 후쿠시마 인근 현에서 출하가 제한된 해산물

어종 넙치, 돌가자미 홍어, 볼락, 대구 감성돔 농어

이와테현 일부 - × ×

미야기현 - × ×

후쿠시마현 × × × ×

이바라키현 북부 × × 업계가 생산 자숙 ×

* 일본 수산청 홈페이지(http://www.jfa.maff.go.jp/j/housyanou/kekka.html)

* 주 1) ×는 출하제한표시 대상인 해역·어종을 표시(2014년 7월 31일 기준)

주 2) 후쿠시마현 해역에 대해서는 본 표의 9종 외에도 33종 해산물에 대하여 출하 제한 지시가 내려져 있음

□ 수산업 복구 상황(2014년 7월 25일 기준)

○ 동일본 대지진에 의한 진파 및 지반침하가 생물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 하기 위하여 독립법인 수산종합연구센터와 피해현의 수산관계의 연구기관 등이 2012년도까지 어장 환경조사 실시

○ 어획량은 지진 이전에 비하여 69%, 어획 피해액은 82%가 복구되었으며, 어항의 복구는 피해를 입은 전 해안의 약 50%가 2013년 말까지 완료되었고 어선의 복구 목표(2만척)은 87%까지 복구

○ 양식은 미역양식이 재해 이전의 약 90%까지 복구

○ 가공유통시설의 복구는 피해를 입은 수산가공 시설의 약 80%가 업무재개

□ 일본의 향후 대응

○ 지속적인 검사를 통해 수산물 안전을 확인하면서 시험 조업・판매 해역・종의 확대 검토

○ 어장생산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등의 실시

- 어장 환경조사를 근거로 독립법인 수산종합연구센터와 피해현의 수산관계의 연구기관 등이 2013년도부터 어업 및 양식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개량어구, 어장기능회복 기술 및 양식어장에 대한 환경개선기술 등의 개발을 실시

1-2. 한·중·일 수산업 실태 1-2-1. 한국

가. 수산업의 현위치

□ (개념) 어업·어획물운반업 및 수산물가공업(수산업법 제2조) 및 융복합을 통한 산업 전체의 가치증대를 위해서는 수산업의 확장개념으로 정의하고, 그 범위를 전후방 연관 산업까지로 확대

* 어업 = 수산동식물 포획·채취(전통어업) + 양식(양식업)

** 수산업을 어업(1차 산업) + 가공ㆍ정비ㆍ어구제작(2차 산업) + 유통ㆍ관광ㆍ요식(3차 산업) 등을 포함하는 고도화된 6차 산업인 “수산산업”으로 개념 확장

○ 산업 내 관련 업종에는 양식업, 연근해어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 가공업, 어획물 운반업 등이 있음

□ (현황) 자원 감소・고령화와 함께 폐쇄적인 산업구조(인력・자본 진입장벽)로 활력이 저하된 가운데 한・중 FTA 등으로 불확실성 고조

○ (생산) ‘80년대 중반부터 어업생산 증가율은 둔화되기 시작하였고, ’86년 150여만 톤

수준을 최고점에서 계속 감소하여 ‘11년 현재 95.2만톤 수준으로 감소 - 국내 수산물 자급률 77.9%(‘10) → 75.3%(‘14)

* 실제섭취량 기준 연 23.1만톤 부족(비식용 포함 연 33만톤 부족)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