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양수산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구축방안 수립수립

제2절 고부가가치 수산자원을 이용한 지역산업 활성화 전략 수립

1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수산자원 이용전략 개발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수산자원 이용전략으로서 소규모 어항개발을 통한 부가가치 극대화, 해양쓰레기 재활용 센터 운영, 무인도 개발을 통한 수산부분 생산 확대, 간척지 공간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극대화, 바다낚시 공원 조성을 제시함

1-1. 소규모 어항개발을 통한 부가가치 극대화

□ 현황 및 추진배경

○ 어가와 도시가구의 소득 및 삶의 질 수준 격차로 인해 어촌 인구의 감소, 노령화로 어촌과 바다의 자원을 활용할 인적자원의 유지 및 유입에 어려움 존재

○ 어업인 및 어선의 지속적 감소로 1차 산업의 생산주체가 거주하는 공간으로 어촌의 유지에 어려움

- 어가인구 ’11년 159,299명 →’15년 128,352명으로 약 19.4% 감소 - 어선세력 ’11년 75,629척→’15년 67,226척으로 약 11.1% 감소

□ 실천방안

○ 어촌․어항법의 각종 규제 완화 필요

- 어촌기능과 능률적인 면을 고려하고 활동주체나 활동 내용 등을 따져서 경계가 모호한 법률의 정비 실시

○ 환경과 공생하는 쾌적한 항만개념인 Eco-Port를 실현하기 위해 어촌 어항의 환경 수용력을 고려한 소규모 어항개발 실시

○ 친환경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어촌이 지닌 어메니티(Amenity)를 증진

- 쾌적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통해 도시민의 방문을 촉진시켜 어촌사회와의 교류 활성화 - 바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관광 문화 공간으로 전환시켜 소규모 어항의 이용가치 상승

○ 어촌 어항 개발과 관련하여 제4섹터 방식의 자본을 유치 필요

- 개발 주체를 공공과 기업, 지역주민 구분

- 지자체, 외국의 우수기업, 국내기업, 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연계한 제 4섹터 방식으로 자본을 공동 유치하여 해양수족관, 워터파크 등과 해양관광단지의 핵심시설을 건축

1-2. 해양쓰레기 재활용 센터 운영

□ 현황 및 추진배경

○ 폐어구는 매년 약 7만 5천톤에서 9만 4천톤이 발생하며 연근해 어장의 수산자원 의 악화 및 환경을 위협

○ 해양폐어구의 관리실태를 살펴보면 ‘08년부터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사업을 추진 중이며 해양쓰레기정화사업, 연근해침적폐기물수거사업, 불법어구철거사업, 유류 피해지역 지원사업, 양식어장 정화사업, 해양폐기물정화사업, 낚시터환경개선사업 등

○ 수거된 폐기물의 활용에 있어 어장환경개선사업은 수거된 폐기물의 세척, 선상분류 등을 통해 약 50% 이상의 어구를 재활용하고 있으나, 해양폐기물정화사업의 경우 수거되는 폐기물을 전량 폐기

□ 실천방안

○ 전국의 항만 및 어구 배후시설(권역별 3개소)에 폐어구 재활용센터를 운영하여 어장환경 개선 및 서식지 파괴를 줄이는 방안 강구

○ 센터 운영은 어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계층들을 고용하여 어촌지역의 고용창출 효과 및 어촌정주성 확대

○ 해양환경관리공단, 어촌어항협회, 한국수산회 등에서 역할을 분담하여 운영하고 있는 폐어구 수거에 있어 국고에서 지원되는 예산을 줄일 수 있음

- 해양환경관리공단 : 대부분 항만 내 청소 - 어촌어항협회 : 연근해 해역

- 한국수산회 : 한․일 및 한․중 중간수역

○ 폐기물 처리비용의 감소, 재활용 폐기물의 판매를 통한 수익 발생 가능

1-3. 무인도 개발을 통한 수산부분 생산 확대

□ 현황 및 추진배경

○ 과학기술을 활용한 대량양식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환경수용력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는 내만을 벗어나 점차 외해 또는 도서지역으로 양식장의 이동 예상 - 양식장 추세 : 내면 → 외해 전환, 환경고려 품종→고부가가치 품종, 소규모 → 대규모

단지화 전환

○ 내만에서의 양식의 적지가 부족하며, 과포화 상태 신규 양식어장의 확보가 필요

○ 도서에 양식단지를 조성할 경우 포화상태의 연안(해안선기준)을 벗어나 수산물 생산 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수산부분 생산확대 가능

□ 실천방안

○ 무인도서 중 적지를 선정하여 도서 전체를 기업형 대규모 양식단지로 조성 - 양식을 위한 적지, 품종결정, 시설결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 먼저 추진 - 부가가치가 높은 어류, 전복 등 양식을 통하여 국내 수산물 수요 충당

○ 설립 및 운영에 있어 대규모 자금의 투입이 예상되므로 대기업, 기업적 어업 경영 연합체를 중심으로 추진가능

○ 무인도서를 활용하여 유인도로 전환과 더불어 도서 양식체험관광 등과 연계 가능 - 수산물 운반선, 복지시설, 관리사, 내파성 가두리, 감시카메라, IT접목 시설 등 설치

1-4. 간척지 공간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극대화

□ 현황

○ 서남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간척사업이 실시되었으나, 간척지의 활용은 그간 농업적 이용으로 한정되어 활용도가 낮았음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16.12.27 개정, ‘17.3.28 시행)」

○ 일부 간척지는 논으로 개답공사까지 완료하였으나 벼농사 보다는 사료작물을 재배 토록 종자대를 보조하여 권장하고 있음. 그러나 염분이 많은 간척지 특성상 사료 작물 재배가 잘 되지 않는 실정

□ 정책방향(안)

○ 간척지를 이용한 새우,해삼, 참굴 등 경제성 높은 양식품종의 대규모 양식단지조성 - 대부분의 간척지가 서해안임을 고려하여 대중국 수출상품을 중심으로 개발

- 소규모 사업은 개인, 대규모 사업은 수산관련단체, 법인 및 기업을 대상으로 간척지 이용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모색

○ 간척지 활용사업구역內에 수산물의 가공, 저장 및 유통시설 단지 조성

○ 최선은 역간척(수질악화해역), 차선은 간척지의 어업적 이용 증대

구분 합계

(ha) 대단위 서남해안 민간

서남해안 소규모 미완공 유휴지 기업 소규모

지구 202 10 190 16 44 127 3 2 2 -

매립 198,804 95,881 53,003 27,562 15,177 10,066 198 49,920 17,058 32,862 간척 135,100 55,707 39,204 19,999 12,677 6,380 148 40,189 12,763 27,426 준공

지구 196 6 188 14 44 127 3 2 2 -

매립 126,201 33,886 42,395 16,954 15,177 10,066 198 49,920 17,058 32,862 간척 86,182 14,907 31,086 11,881 12,677 6,380 148 40,189 12,763 27,426 시행중

지구 6 4 2 2 - - - - - -

매립 72,603 61,995 10,608 10,608 - - - - - -

간척 48,918 40,800 8,118 8,118 - - - - - -

1-5. 바다낚시공원 조성

□ 현황 및 추진배경

○ 국내․외의 관광시장 여건 성숙과 더불어 해양스포츠 및 어촌생태 체험 등 해안 지역으로의 레저활동 증가

○ 연안 관광수요에 걸맞은 어촌 및 해안관광 시설을 조성하여 연안의 특색 있는 관광상품으로 육성․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 최근 낚시인구는 가족단위 낚시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수상낚시터가 전국적으로 설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호응도 높음

□ 실천방안

○ 낚시객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관광객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낚시, 어촌체험, 레저와 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가족 휴양형 해상낚시공원 조성

○ 기존 어촌계 마을어장이나 해상가두리 양식장을 포함한 대규모 해상 낚시공원 설치/운영

○ 주요시설로는 해양낚시터, 낚시교, 해안데크, 정자, 안내소 등을 통하여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는 해상낚시터 조성하고 낚시터 주변에 인공어초를 넣는 등 정기적인 어류 방류사업을 통해 수산자원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도록 함

- 도서지역의 갯벌체험, 어촌체험 등 체험프로그램과의 연계사업 병행

○ 유료낚시터 운영을 통해 마을주민 소득증대에 기여

- 어촌계 및 지역민: 마을어장 및 해상 가두리 양식장 제공(공간자원 제공)

- 장점: 공익적 기능을 하는 공사를 운영주체로 하여 낚시인들의 안전과 마케팅 경영수익 극대화 등을 통한 안정적인 낚시공원운영가능

2 해양수산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구축방안 수립

2-1. 연구배경 및 목적 2-1-1. 연구배경

○ 일자리 창출은 오늘날 국가의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일자리 제공을 통한 복지가 최고의 복지로 평가 받고 있는 상황에서 고용유발효과가 큰 해양수산 분야는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특히, 전통적으로 해양수산이 제공하는 자원으로써의 가치와 더불어 환경적 가치, 휴양적 가치, 생태적 가치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

- 해양수산 분야는 오늘날 이와 같은 가치를 활용한 고용 창출, 공익적 사회서비스의 제공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영역으로 확대되어가고 있으나 현재처럼 정 부주도형 경제생태계의 구성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 해양수산부는 정부주도형 경제생태계의 한계를 인식하여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적 경제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성과는 미약하다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해양수산 분야 사회적경제 환경을 분석하고, 해양수산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사회적 경제조직들의 사례를 검토하여 성공과 실패요인들을 탐색하여 향후 우리나라 지역에서 적용 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개발하여 그 성과를 제고하는 노력 은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음

- 이와 같은 모델 개발을 통한 성과제고 노력은 해양수산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에도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음

○ 지역 해양수산업 분야 사회적경제 모델 개발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해양수산 분야 사회적경제 현황 분석 및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에 적용 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

- 고용유발효과가 큰 해양수산 분야는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 -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여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적경제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성과는 매우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임 - 따라서 해양수산분야 사회적경제 환경을 분석하고, 해양수산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사회적 경제조직들의 사례를 검토하여 성공과 실패요인들을 탐색하여 향후 우리나라 해양수산 분야에 적용 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개발하여 그 성과를 제고 하는 노력은 매우 필요하다고 볼 수 있음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