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혼합연구 : 순차적 설명 전략
3.3. 양적 질적 연구 종합분석 /
순차적으로 진행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종 합적 분석을 하기에 앞서서 두 연구결과를 각각 요약하여 정리하면 , 아래와 같다. 먼저 표 < 18>은 설문조사의 상관분석 결과이다.
성취목표 유형과 독일어 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숙, 달 성향이 높을수록 독일어 불안감은 낮아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 타났으며 이에 따라 첫 번째 연구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행 접근 수행 회피 성향과 독일어 불안감 간. - , -
목표유형 내 용
요인 2 성취목표
유형
숙달
독일어 불안감과 부적 상관관계
- (r=-.244, p<.05) 특히 시험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
- (r=-.264, p<.05), (r=-.286, 과 부적 상관관계
p<.05)
수행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 나타나지 않음
요인 3 성취목표
유형
숙달
독일어 불안감과 부적 상관관계
- (r=-.244, p<.05) 특히 시험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
- (r=-.264, p<.05), (r=-.286, 과 부적 상관관계
p<.05)
수행 접근
독일어 불안감과 부적 상관관계
- (r=-.241, p<.05) 특히 시험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
- (r=-.260, p<.05), (r=-.245, 과 부적 상관관계
p<.05)
수행
회피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 나타나지 않음
중다목표 유형
숙달 성향 뚜렷한 학습자는 수행 성향 뚜렷한 학습자 비해 -
독일어 불안감이 낮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표 설문조사 결과 요약
< 18>
의 정적 상관관계를 예상했던 연구가설과는 달리 수행 접근 성향과 - 독일어 불안감 사이에는 오히려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수행, - 회피 성향과 독일어 불안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 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연구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 접근 유. - 형의 참가자 인 수행 회피 유형의 참가자 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3 , - 3 인터뷰의 결과는 아래 그림 과 같다< 7> .
그림
< 7> 인터뷰 결과 요약
인터뷰 결과 수행 접근 유형과 수행 회피 유형의 참가자들 , - - 모두 다른 외국어에 비해 독일어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높고 독일어 원어, 민 화자와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큰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독일 어 전공생으로서의 부담과 함께 평가 상황에 대한 부담도 공통적으 로 드러났다.
하지만 두 유형 간의 차이점은 불안 유발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 지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 수행 접근 유형의 참가자들은 스스로가 . -
어휘 발음 또는 통사적 발화오류를 행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 을 본
‘ , ’
인의 불안감 유발 요인으로 지적한 반면에 수행 회피 유형의 참가, - 자들은 자신의 독일어 실력 또는 오류로 인한 타인의 부정적 태도‘ ’ 가 불안감을 유발한다고 응답하였다 이 두 가지 불안 유발 요인은 .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통제 가능성 평가, 의 측면에서 보면 큰 차이점이 존재한다.
의 통제 가치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 과 Pekrun(2000, 2006) -
정과 결과가 충분히 자신의 통제 하에 있다고 인지하고 있을 경우 긍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되지만 학습의 성공과 실패를 스스로 통제, 할 수 없고 변화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불안, 절망, 분노 와 같은 부정적 감정의 경험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학습과정 중의 . 문제와 그로 인한 결과를 학습자가 극복 가능하다고 판단한다면 높 은 통제 가능성을 인지하게 되고 그렇지 못하다고 판단할 경우 낮, 은 통제 가능성을 인지함으로써 성취정서의 발현에도 각각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화오류 가능성 에 초점을 두고 있는 수행 접근 유형‘ ’ - 은 수행 회피 유형에 비해 주관적 통제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 인지한다고 할 수 있다 발화오류는 불안 유발 주체가 자기 자신이. 기 때문에 반복적인 연습 등을 통해 일정 수준 통제할 가능성이 있 지만 타인의 시선과 부정적 판단에 대한 불안감은 불안의 유발 주, 체가 타인이라는 점에서 주체적 노력으로 통제할 가능성은 상대적 으로 낮기 때문이다 실제로 독일어 불안감 대처 및 극복 경험을 묻. 는 인터뷰 문항에 대해 수행 접근 유형의 학습자들은 대체로 긍정- 적 답변을 한 반면에 수행 회피 유형의 학습자들은 대체로 부정적- , 소극적 답변을 했다는 점은 두 유형의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통제 가능성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서 스스로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수행 접근 - 유형과 수행 회피 유형 간의 차이가 드러난다 수행 회피 유형의 인- . - 터뷰 참가자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독일어 실력이 좋지 못하거나 다른 학우들에 비해 독일어 실력이 부족하다는 응답을 한 반면에6), 수행 접근 유형의 인터뷰 참가자들에게서는 이러한 태도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는 두 유형이 인지하고 있는 스스로의 역량 평가가 서. 로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며 자기 자신의 역량 평가가 영향을 미치, 는 통제 평가 에서도 두 유형 간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통제 가‘ ’ . - 치 이론을 주장한 Pekrun의 공저서에서도 스스로의 역량 평가는 직 접적인 인과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성취영역에 대한 통제 가능, 성 평가의 기반을 형성한다고 서술된다(Pekrun & Perry, 2014).
결론적으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적 결과를 통제 가치 이- 론의 통제 평가 개념과 관련지어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수‘ ’ . 행 접근 유형과 수행 회피 유형은 같은 수행 목표유형에 해당됨에- - 도 불구하고 통계 분석 결과 수행 접근 성향과 독일어 불안감 사이, - 에만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두 유형의 상이한 통제 평‘ 가 로 인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 먼저 수행 접근 유형을 대상으로 한 - 인터뷰 결과 해당 유형의 학습자들이 발화오류 가능성 을 가장 큰 , ‘ ’ 불안 유발요인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는 주체, 적 노력을 통해서 일정 수준 해소하고 통제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 이며 수행 접근 유형 학습자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긍정적인 성취 , - 결과와 통제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는 점(Pekrun et al., 을 고려한다면 이 목표성향은 보다 긍정적인 성취정서 발현을 2006)
촉진시킬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반면에 인터뷰를 통해서 수행 회피 . - 유형의 학습자들은 타인의 부정적 태도 를 높은 불안감 유발요인으‘ ’
6) 본문 3.2.3.2장 中 57~58쪽 참고.
로 인지한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는 불안유발 주체가 자기 자신이 . 아닌 타인이라는 점에서 발화오류 가능성 에 비해 주체적 노력으로 ‘ ’ 통제할 가능성은 낮으며 따라서 이 유형의 학습자들은 학습 과정 , 또는 결과에 대해 비교적 낮은 통제 가능성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 이 유형의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드러낸 부족한 자신감과 타인과 의 비교 의식은 부정적인 자아개념 평가를 보여주며 이는 다시금 ,
통제 평가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부족한 통제 가능
‘ ’ .
성 부정적인 결과 가치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수행 회피 유형, - 과 독일어 불안감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Pekrun & Perry, 2014)
나타나기 어려우며 오히려 정적 상관관계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