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업무정지처분 및 과징금부과 예시

今 조사대상기간 3개월이고 진료비총액이 98,548,810원, 총부당액이 14,213,720원인 경우 부당비율 : 14,213,720원(총부당액)三

98,548,810원 (진료비총액) X100=14.42%

월평균부당금액 : 14,213,720원三3개월 = 4,737,906원

- 업무정지기간 : 월평균부당금액이 320만원이상 1,400만원미만이며, 부당비율 14.4%인 경우

• 부당비율이 5%이상인 경우70일十초과1%마다 3일씩가산 3일 X 10( 쓔 14.4-5=9.4)+00일 - 과징금 : 14,213,720원(총부당액)+ 14,213,720

(총부당액) 乂90名(10일초과 90일)=27,006,068원

쏘 법 제45조의 규정에 의한 부당이득금(총부당금 액)은 과징금과 별개로 보험자단체 또는 보험자 가전액환수 셔^

업무안내

요양급여 및 진료수가기준 질의회신

기준 1

질 의 : 처치 및 수술시 사용되는 봉합사 재료대의 산정기준에 대하여 회 신:

1. 처치 및 수술시 사용되는 봉합사는 소정 수기료 에 포함되므로 별도 산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 로 하고 다만,「안면수술, 개심수술시 심장내부봉 합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별도로 인정하는 수술」

에 한해서는 해당 재료대 (봉합사)를 별도 산정토 록 규정 하고 있는 반면,

2. 봉합사를 대치하여 수술시간을 단축하는 등의 장 점이 있는 자동봉합기용 특수침은「식도수술, 직 장수술, 폐수술, 선천성 거대결장수술, 하부직장 암수술, 회장포오치 항문문합술, 위전절제술후 식도공장문합술 , 식도절제술후 식도위문합술 , 내 시경 (복강경)하 각종 시술 등」의 경우 해당 재료 대를 별도 산정토록 인정하고 있습니다.

3. 그러나,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체친화적인 봉합사 의 개발 및 사용이 보편화되어 종전에 사용하던 봉합사에 비해 가격이 고가화됨에 따라 재료대 별도 산정에 대한 건의가 있어 처치 및 수술별로 사용되는 봉합사의 종류 및 수량과 봉합사의 유 통가격, 해당 처치 및 수술의 현행 수기료와 상 대가치 . 자동봉합기용 특수침의 산정기준과의 형

평성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이미 별도 산정하 고 있는 수술이외에〈붙임〉의 처치 및 수술항목 에 대해서도 봉합사 비용을 아래와 같이 별도 산 정함을 알려드립니다.

_ 아 래 _

가. 별도 산정할 수 있는 처치 및 수술 항목 : 다음쪽〈표〉참조

나. 재료대 산정방법 : 의료보험 진료수가 및 약제 비 산정기준 제1IV-2-라의 규정에 따라 해당 처치 및 수술에 사용된 봉합사 실사용량.

다만, 안면수술 이외의 처치 및 수술에 사용된 봉합사 중 해당수술을 위해 절개한 피부 봉합

(Skin Suture)에 사용된 봉합사는 소정 수기 료에 포함되 므로 별도 산정할 수 없음.

다. 적용시기 : ’99. 10. 1. 진료분부터.

라. 기 타 : 봉합사 제품명(catalog No.), 크기

(Gauge). 사용량 등을 진료기록부(수 술기록지)에 반드시 기재하여야함.

(급여 65720-330호, ’99. 9. 29.)

〈표〉 » 봉합사재료대 산정 수술항목

9

수술명 (분류번호) 코드

〈유방수술〉

자-22-나 근치유방적출술 N0222

〈척추수술〉

자-45 척추추체소파술 N0450 자-46 척추고정술

가. (1) 경추,요추 N0461

(2) 흉추 N0462

나. 기타 N0463

자-47 기구사용척추정복고 정술 N0470 자-48 척추열수술 N0480 자-49 척추간판탈출증수술

가. 경추 N0491

나. 요추 N0492

자-49-2 척추강협착증수술

가. 경추 N0497

나. 요추 N0498

〈관절치환술〉

자-71 관절치환술

가. 전치환술 N0711

(1) ~ (4) ~N0714

나. 반치환술 N0715

(1) ~ (3) ~N0717

〈후두수술〉

자-125 후두전적제술 01250 자-128 후두부분적출술 01280

〈폐수술〉

자-140 폐부분절제술 01400 자-141 폐구역절제술 01410 자-142 폐엽절제술

가. 단일폐엽 01421

나. 쌍폐엽 01422

다. 폐엽과 폐구역 01423 자-143 폐전적출술 01431

자-144 폐봉합술 01440

자-145 폐박피술 01450

수술명 (분류번호) 코드 자-157 폐기포절제술 01570

〈동맥관우회로조성술〉

자-164

가. 대동맥-관동맥

(1) 1개소 01641

(2) 2개소이상 01642

나. 대동맥-신동맥

(1) 자가혈관에 의한 경우 01643 (2) 인조혈관에 의한 경우 01644 다. 기타

(1) 자가혈관에 의한 경우 01645 (2) 인조혈관에 의한 경우 01646

〈비 . 임파절수술〉

자-208 비신정맥문합술 P2080

자-209 비절제술 P2091

P2092

〈식도수술〉

자-236 식도재건술 Q2360 자-240 식도암적출술 Q2400 자-242 식도성형술 Q2421 자-243 식도정맥류수술

가. 개흉식직접결찰법 Q2431 나. 식도 혹은 상부위절단 Q2432

재문합술

다. 식도, 위주위 혈관제거술 Q2433

〈위수술〉

자-253 위전절제술 Q2530 자-255 고도선택적 Q2550

미주신경절단술

자-256 미주신경절단술 Q2560 및 유문성형술

자-257 미주신경절단술 Q2570 및 위장문합술

자-258 선천성유문협착성형술 Q2580 자-259 위아전절제술

업무안내 )

수술명 (분류번호) 코드 가. 임파절 청소포함 Q2591

나. 기타의 것 Q2592

Q2593 자-260 위•공장문합술 Q2600

〈대 ■ 소장수술〉

자-265 소장절제술 Q2650 자-267 대장절제술

가. 대장우반 혹은 좌반절제술 Q2671 나. 대장전절제술 Q2672 다. 대장부분절제술 Q2673 라. 대장폴립절제술(산정불가)

마. 선천성거대결장수술 Q2676

(1) ~ (2) ~Q2677

〈대 - 소장수술〉

자-268 장문합술 Q2680

자-269 장폐색수술

가. 장관절제를 동반 Q2691

나. 기타의 것 Q2692

자-281 장관유착박리술 Q2810

〈직장수술〉

자-290 직장절단술 Q2900 자-292 직장암적출술 Q2920

〈간수술〉

자-304 간낭종적출술 Q3040 자-305 간절제술

가. 부분절제 Q3051

나. 간엽절제 Q3052

다. 3구역절제 Q3053

자-:306 간파열봉합술 Q3061 자-:306-1 간동맥결찰술 Q3066

〈담도 • 담낭수술〉 . 자-307 담도수술

가. 담도절개술 Q3071

나. 담도장문합술 Q3072

(1) ~ (2) ~Q3073

수술명 (분류번호) 코드 다. 간내담도장문합술 Q3074 라. 담도낭종절제술 Q3075 자-308 담낭수술

가. 담낭절제술 Q3081

나. 담낭조루술, 담낭절개술, Q3082 담낭장문합술

〈췌장수술〉

자-311 췌장수술

가. 췌장농양절개술 Q3111 나. 췌장가성낭종수술 Q3112 다. 췌장루제거술 Q3113 라. 췌관장문합술 Q3114

마. 췌장봉합술 Q3115

자-312 췌절제술 Q3120

자-313 췌십이지장 절제수술 Q3130 자-314 췌장종양절제술 Q3140

〈신장수술〉

자-327 신적출술

가. 단순전적출 R3271

나. 신이식용적출술 R3272 다. 근치적전적출술 R3273 자-328 신장이식술 R3280 자-329 신부분절제술 R3290

〈방광수술〉

자-347 방광부분절제술 R3470 자-348 방광전적출술

가. 임파선적출을 포함하는 것 R3481

나. 기타의 것 R3482

〈자궁수술〉

자-414 자궁전적제술 R4141 자-415 Wertheim op R4151 R4152

〈척수수술〉

자-480 척수종양적출술 S4800 자-481 척수혈관종적출술 S4810

질 의 : 양 • 한방 요양기관 협진진료시 의료보험진료비 산정방법에 대하여 회 신:

1. 급여 31510—9804호(’90. 7. 25.)에 따라 한방요 양기관에 입원중인 환자를 환자의 진료상 부득이 하여 양방 진료를 받도록 한 경우, 양방요양기관 의 의사가 한방요양기관을 방문하여 양방 진료를 하고 동 환자가 계속 한방요양기관에서 입원 진료 를 받는 경우 양방 진료분은 양방 요양기관에서 외래부담률에 의하여 산정토록 하고 있습니다.

2. 최근 동일 건물내에 한방요양기관과 양방요양기 관을 개설 - 운영함으로써 양 ■ 한방 협진체계가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러한 경우 동일 건물 소재 한방요양기 관에 입원중인 환자를 양방 요양기관의 의사가 방문 진료를 한 경우 진찰료 별도 산정여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보관 65720-234호(’99. 2. 12.)에 의거 양 • 한방 협 조체계가 갖추어진 요양병원에서 한방진료를 받 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양방의사가 진료를 행 한 경우 진찰료 산정과 관련하여「입원환자 협의

진찰료」를 산정토록 하고 있는 바, 이는 동일건 물 소재 양방요양기관의 의사가 한방요양기관에 입원중인 환자를 진료하는 것과 동일한 성격의 진료행위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3. 따라서, 동일 건물내의 한방요양기관에 입원중인 환자가 담당의사의 지시에 따라 양방 진료를 받기 위해 양방 요양기관의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환 자 진료를 위해 양방요양기관의 의사가 직접 방문 한 경우에는 입원중인 환자의 특별한 문제에 대한 평가 및 관리를 위하여 그 환자의 주치의가 아닌 다른 진료과목 의사의 견해나 조언을 얻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진찰료가 아닌「입원환자 협의 진찰 료」로 의료보험 진료수가 및 약제비산정기준 제2 부 제1장 기본진료료〔산정지침〕8항의 규정에 따 라 산정하되 , 진료행위에 관한 수가는 양방 요양 기관에서 외래 본인부담률에 따라 청구함을 알려 드립니다. (급여 65720-302호, '99. 9.17.)

질 의 : 테크네슘 폐환기스캔(Techne- gas Lung Ventilation Scan)시 사용되는 검사용 재료 carbon set의 산정기준 변경여부

회 신 :

1. 테크네슘 폐환기스캔 (Technegas Lung Ventilation Scan) 시 사용되는 검사용 재료인 carbon set는 set 당 2회 정도 사용할 수 있음 을 감안하여 실구입가의 1/2을 진료용 재료대로 산정토록 하고 있습니다.

2. 그러나, 동 재료는 당초 1회용 제품으로서 재사 용에 따른 검사 결과의 부정확성과 위험성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동 재료의 주요 핵심 구성품인

탄소봉(graphite crucible)이 깨져 재사용이 곤란하다는 의견이 있어 이를 검토한 결과 검사 후 탄소봉의 손상으로 재사용이 어려울 뿐 아니 라 검사결과가 부정확해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carbon set의 재료대 산정방법은 요 양기관의 실구입가로 검사당 1개를 산정함을 알 려드립니다.

(급여 65720-303호, ’99. 9. 17.)

진료비 심사사레

(피부과분야)

심人! 1

라미실 크림 및 스프리이 (성분:

Terblnafine Hcl)

의 보험급여여부 및 귀!통지익 비교 고가인 라미실

3s

인징기준.

호련 기 준

수입의약품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보험급여여부 및 범위에 대해 복지부로 질의한 의약품에 대하여 금번 고시 f 99. 8. 1.자)가격을 토대로 현행 약가규정에 의거 전반 적으로 재검토하여 적의 처리토록 함.

(급여 65720203호 ’99. 8. 4,)

심 사 사 래...

라미실외용액(Spray)은 넓은 부위의 감염질환에 사용 상의 편리한 장점이 있으므로 체부에는 인정하고. 라미 실크림(1%)은 동일성분 함량제제인 국내생산품(센토스 크림 등)과 비교 가격이 고가이지만 동약제가 Original 품목임을 감안하여 국내품과 동일하게 허가사항 범위내 에서 투여시 인정토록 함.

락티케어

H.C 1 %

오션의

99. 8.1. 고시된

수입의약품

가격 A 근거로 변경된 인정기준

련 기 준

그동안 유권해석 등으로 급여 범위등을 제한한 여 타수입의약품에 대하여 금번고시 (’99. 8. 1.자)된 가격을 근거로 하여 보험급여 범위 등에 관하여 전 면 재검토하고 그 결과를 보건복지부로 보고토록 함. (급여 65720-203호’99. 8. 4.)

심사사례 ...

오션은 가격이 인하고시되 어 국내제품과 유사하므로 경구제와 동일하게 1 차적으로 투여시에도 인정함.

피부과전문의가

대상포진 등피부과질환에

실시한 Laser therapy

산정기준

~으

기 준

자-13 피부레이저광선치료(1회당)

Laser Therapy of skin

NO134 주 : 대상포진 등 피부질환의 동통완화 목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사- 8-1」의 소정금액을산정한다.

NO131 가. lOcnf 미만의 피부병변 20,620원 NO132 나. lOcnf 이상 50atf 미만의 피부병변

38,320원

NO133 다. 50# 이상의 피부병변 56,320원

• 다만, 자-13-“주”의 내용중「사"8-1」의 소정금액 산정시에는「의료보험 진료수가기준액표 제 7장 이학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