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에너지 생산부문
□ 석 유
◦ 남아공에서의 석유생산을 보면 소규모 원유와, 석탄을 액화한 합성유가 생산되고 있는데, 2006년 원유 및 합성유 생산은 204천 b/d 수준으로 세계 생산의 0.24% 점유하고 있음. 반면 2006년 석유소비는 504.9천 b/d로 세계 소비의 0.6%를 점하고 있는데, 부족분 300.9천 b/d는 수입 하여 사용하고 있음.
- 이 같은 남아공의 석유소비는 아프리카 석유소비의 16.7%를 점하는 양임.
- 소요 석유제품의 60% 이상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남아공 석유 제품 소비는 2005년 5.26억 배럴로 2004년 5.23억 배럴에서 다소 증가 함. 하지만 이는 2000년의 4.75억 배럴과 비교하면 많이 증가한 것임.
◦ 원유와 함께 천연가스도 일부 생산되고 있는데, 2006년 70.6 × 10억ft3 (약 167만톤)을 생산하여 전량 소비함.
□ 합성유
◦ 남아공은 일 12만 톤의 석탄으로 일 15만 배럴의 합성유(CTL, coal-to-liquid) 를 생산하여 수송용 가솔린과 경유를 대체하고 있음.
- CTL 생산기술은 1920년대 독일 나치정권이 전쟁을 수행하면서 석유가
부족했던 시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개발한 것임. 이 는 석탄에서 가스6)를 생산하여 이를 이용하여 가솔린과 경유를 생산 하는 기술임.
6) 석탄가스화 기술은 2명의 독일 화학자의 이름을 따서 “Fisher-Tropsch method”로 명명되고 있음.
◦ Sasol社가 남아공 합성유 생산을 주도하고 있음. 주요 공장은 Mpumalanga
州에 있는데, 대규모 상업생산으로는 세계 유일의 공장임.
- CTL은 국제 원유가격이 배럴당 $45~50선 이상에서만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생산원가가 높기 때문임. 동사는 국제 유가가 낮게 형성되었던 2004년 이전에는 별다른 수익을 얻지 못하였
으나 2005년 이후 국제 유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많은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06년의 경우 합성유 생산으로 인한 수익만 R162.5억($22.5억)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Sasol社는 중국과 인도에도 현지 석탄을 이용한 대규모 CTL 생산공장 건립을 협상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남아공의 CTL은 국내 석유수요의 38%를 충당하고 있으며 GDP 생산 의 4.4%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남아공 Sasol社 대규모 신규투자 추진
◦ Sasol社와 산업개발은행(IDC)은 각각 51% 및 49% 지분으로 림포포주 보츠와나와의 국경 인근지역에 일산 8만배럴 규모의 석탄액화(CTL, Coal-To-Liquid) 공장건설 투자를 위한 사전타당성조사(pre-feasibility study)를 실시할 계획임.
◦ 동 프로젝트는 ① 투자비 조달, ② 건설인력 확보가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됨.
- 투자규모는 대략 $80억~160억로 추산되고 있으며, 타당성조사결과 및 입지조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경우 동 생산규모의 CTL 공장 투자비는 $55억~57억 수준 - Sasol은 투자비 조달 협의를 위해 재무부측을 접촉하여 인센티브를 희
망한 것으로 보이나, 재무부는 인센티브 불허 및 Sasol에 대한 초과이 윤세(windfall tax) 검토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짐.
․Sasol측은 남아공 중기 에너지안보계획상 CTL 및 GTL(Gas-To-Liquid) 공정에 의한 석유류 비율의 제고(50%)를 위한 필요성 및 고용유발효 과(15,000명, 건설기간에는 26,000명 고용효과)를 강조한 것으로 보임.
- CTL 공정의 특성상 다량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투
자에도 상당한 추가비용이 불가피
- 전문가들은 Sasol이 유가가 배럴당 $90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자체 투 자비조달이 가능하며, $60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자금차입이 불가 피할 것으로 전망함.
- 남아공의 건설인력 부족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국영전력회사(Eskom)가 향후 전력공급 확대를 위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어 건설 및 엔지니어링 인력 확보를 위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
◦ 남아공은 고품위 석탄을 중심으로 생산량의 30% 정도를 유럽, 인도 등 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나머지 70% 저품위 석탄은 Eskom, Sasol이 발 전 및 석유류 제조용으로 사용하고 있음.
□ 석 탄
◦ 석탄 확인매장량은 490억 톤으로 세계 4위(점유율은 5.4%), 생산량은 2006년 기준 생산량은 2.5억 톤으로 세계 6위, 수출량은 7,800만 톤으로 세계 2위를 기록함.
‑ - 남아공은 아프리카대륙 석탄생산(99%가 유연탄)의 거의 98%를 점하 고 있으며, 자체 소비도 세계소비의 약 3%를 점함.
‑ - 전력생산의 약 80%를 석탄화력발전이 차지하고, Sasol이 약 40%의 석유류 제품을 석탄에서 추출하고 있어 시장여건은 양호함.
‑ - 북부 KwaZulu-Natal 지역의 매장량은 거의 소진되었으며, Mpumalanga Highveld 지역은 생산이 정점에 도달하여 향후 10~12년 내 감소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됨.
‑ - 향후 석탄 생산의 관건은 잔존매장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보츠와나 국경 부근의 Waterberg 분지지역인데, 인프라 부족으로 본격적인 개 발은 부진한 편임.
‑ - 석탄생산지에서 수요지 및 수출항만을 연결하는 도로망, 수출항만의 처리능력 및 접안시설 등 인프라의 부족은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함.
◦ 주요 기업은 BHP Billiton(점유율 28%), Anglo Coal(24%), Sasol(19%), Exxaro(9%), Xstrata(8%)이며, JSE(요하네스버그 증시) 상장 및 비상장 중견기업들의 점유율 12%를 차지함. 이들 기업은
‑ - South African Coal Mining Holdings(보유매장량: 5,600만 톤, 시가총 액: R14억)
- Wescoal Holdings(보유매장량: 1,200만 톤, 시가총액: R2억) - Petmin(보유매장량: 1.36억 톤, 시가총액: R24억)
- Keaton Energy Holdings(보유매장량: 2억 톤, 시가총액: R17억) - Coal of Africa(보유매장량: 10억 톤, 시가총액: R81억)
◦ 한편, Anglo Inyosi Coal과 같은 BEE(흑인경제활성화정책) 제도를 활용 한 기업들이 유력하게 등장하고 있음.
▷ 주요 기업의 석탄생산 동향
◦ Anglo American社의 석탄생산은 2004년 5,450만 톤에서 2005년 5,690 만 톤으로 증대되었음.
- Kriel 광산에서의 생산은 같은 기간 중 1,110만 톤에서 1,200만 톤으로, Landau에서는 3,470만 톤에서 3,680만 톤으로, Bank에서는 2,730만 톤 에서 3,200만 톤으로, Mafube에서는 32.1만 톤에서 106만 톤으로, Nooitgedacht에서는 67.7만 톤에서 79.4만 톤으로, 그리고 2005년 개광 한 Isbonelo 광산은 136만 톤을 생산함. 한편 Mt. At New Vaal은 1,730만 톤에서 1,710만 톤으로, Goedehoop 646만 톤에서 630만 톤으 로, Kleinkopje 469만 톤에서 448만 톤으로, New Denmark 498만 톤 에서 414만 톤으로 감소함.
◦ Ingwe Coal Corp. Ltd.(BHP Billington Group의 자회사)는 Pmalanga
州에 있는 Douglas, Khutala, Klipsprit, Kroonfontain, Middleburg,
Rietspruit 광산에서 석탄을 생산함. 동사는 2004년 5,530만 톤, 2005년 5,380만 톤을 생산함.
- 동사는 Xstrata사와 합작을 맺었는데 이는 Douglas 광산과 Middleburg 광산에서의 생산이 2004년 2,390만 톤에서 2,300만 톤으로 감소한 때문임.
- 국내 전력회사에 판매한 물량은 2005년 2,990만 톤이며 수출한 물량은 2,190만 톤에 달함. 국내 타수요처로의 판매량은 110만 톤이었음.
◦ 남아공의 Sasol Ltd.의 석탄생산은 2004년의 5,240만 톤에서 2005년 4,770만 톤으로 감소함.
- Bossjesspruit, Brandspruit, Middlebult, Synferfontein, Twistdraai 광산 이 속해 있는 Secunda Mining Complex에서의 석탄생산은 2004년 4,620만 톤에서 2005년 4,510만 톤으로 줄었는데 이는 Middlebult 광 산에서의 지질적인 문제 때문이었음.
- Sigma 광산에서의 생산은 2004년 620만 톤에서 2005년 260만 톤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Sasol 석유화학공장이 석탄이용을 모잠비크에서 수입 한 천연가스로 전환하였기 때문임.
- Sasol사 석탄을 이용한 합성유 생산과 기타 석탄화학분야에 4,240만 톤 을 사용하였으며, 360만 톤은 수출하였음.
- Sasol사는 Kriel South 석탄개발(2005년 완공)과 Synferfontein 광산의 확장을 위해서 Anglo American사와 합작을 체결함. 이들 프로젝트의 완성으로 연간 500만 톤의 석탄증산이 가능함. Anglo American사는 Kriel South 개발에 따른 생산지분을 Sasol사의 합성유생산용으로 판 매. 이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비용은 $1.69억으로 평가함.
- Sasol사의 석탄매장량은 Bossjesspruit 광산 1.42억 톤, Synferfontein 광산 1.31억 톤, Middlebult 광산 1.21억 톤을 포함 총 14.6억 톤인 것 으로 밝혀지고 있음.
◦ 남아공 Black-empowerment company Eyesizwe Coal(Pty.) Ltd.는 Arnot, Glisa, Mafube, Matla, 그리고 New Clydesdale 광산에서 연간 2,500만 톤의 석탄을 생산함.
- 동사는 연간 12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하고 있는데 90%가 유럽이며 남 미로 10%를 수출함.
- 2004년 말 동사와 Anglo American사는 Pmalaga州 Mafube 광산에서 생산을 시작했는데 근래 연간 110만 톤을 생산하고 있음. 향후 $2.64 억을 투입하여 생산량을 500만 톤 수준으로 증대시킬 계획임. 만약 생 산 확대에 대한 승인을 받는다면 2008년 확대생산설비가 완료될 것으 로 보임.
- 동사와 Kumba사는 Witbank 부근에 연산 100만 톤 규모의 Inyanda 석탄광 개발 합작을 체결함. 건설은 2006년 3/4분기에 시작하여 2008 년 7월 생산계획임. 비용은 $2,900만로 예상함. 건설 타이밍은 Richard Bay 석탄터미널 확장과 맞물려 있음.
◦ Kumba사는 Limpopo州 Grootegeluk, Tshikandeni 광산과 Mpumalanga 州 Leeuwpan 광산을 운영하고 있는데 석탄생산은 2004년 1,940만 톤 에서 2005년 1,980만 톤으로 증가됨. 증산은 Grootegeluk, Leeuwpan 광산에서의 생산증가 때문이며, 2005년 Grootegeluk 광산은 1,750만 톤 을 기록함. Eskom사에 1,470만 톤이 판매되었고 국내 판매 420만 톤,
수출은 110만 톤이었음.
- 2005년 Grootegeluk 광산에 $5,100만을 투입하여 연산 53만 톤의 신규 석탄생산설비를 구축하여 2006년 1/4분기 생산을 풀가동. Kumba사는
Eskom사에 대한 석탄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2006년부터 생산을 연
2,200만 톤으로 확대.
- 2005년 3월 Grootegeluk 광산의 생산을 추가로 600만 톤 증대시키기 위해 Waterburg 개발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였는데 그 결과가 바람직 할 경우 2008년 건설을 시작 2010년 생산을 시작할 예정임.
◦ Xstarta사는 Breyten, Carolina, Ermelo, Witbank에 있는 11개의 탄광을 운영하고 있는데, 석탄생산은 2004년 1,740만 톤에서 2005년 1,660만 톤 으로 감소함. 하지만 2006년 이후 증산계획을 세우고 있음.
- Tavistock에서의 생산은 2004년 선광설비와 채광장비의 개선으로 188
만 톤에서 2005년 204만 톤으로 증가하였고, South Witbank 광산도 177만 톤에서 186만 톤으로 증가함.
- Phoenix 광산에서의 생산은 Eskom사가 요구하는 석탄품위 문제로
2004년 166만 톤에서 101만 톤으로 감소하였고, Spitzkop 광산도 92만 톤에서 73.3만 톤으로 줄어들었음. 또 Waterpan 광산도 지하채굴부분 의 폐쇄로 81.4만 톤에서 50.4만 톤으로 감소함.
- Xstarta사는 Goedgevonden 광산의 생산을 600~700만 톤으로 증산을 위한 타당성 검토를 마쳤음. 이 증산물량중 300만 톤은 수출로, 300~400만 톤은 Eskom사가 이용할 것으로 보임.
- 동사는 Douglas의 Middleburg 광산의 수명을 2033년까지 연장하기 위 한 예비 타당성 검토를 마친 바 있음.
□ 전 력
◦ 남아공은 남부 아프리카 전력수요의 2/3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원구성 은 석탄화력(90%), 원자력(5%), 수력 등 기타(5%)임
<표 9> 에너지원별 발전설비용량
에너지원 석탄 원자력 Bagasse 수력 가스터빈 양수발전 계
발전용량(MW) 38,209 1,800 105 668 660 1,580 43,022 자료: National Electricity Regulator, 2004
◦ 남아공 전력시장은 발전, 송전 등을 사실상 국영전기회사인 Eskom이 독점(남아공 총전력의 97%)하고 있으며, 배전서비스는 Eskom과 지방자 치단체 등이 제공
- Eskom은 총 24개의 발전소를 통해 연간 39,810MW(2006년 기준) 규모 의 발전설비용량 구비
- 전압은 220v, 50Hz이며 각 산업공단에 대한 전력보급시설, 서비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