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사업장 구성원의 안전의식 및 안전환경과의 관계 분석 …

4.4. 연구가설 검증

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즉, 근로자의 안전의식이 높으면 사업주의 안전 의식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00에서 317.308의 수치 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594로 59.4%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가설 3> 사업주의 안전의식은 사업장 안전투자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4-23] 가설3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오차 β t값 유의확률 통계량

사업주 안전의식

상수 .247 - 3.985 .000 R = .553,

R2 = .306, 수정된 R2

= .302, F = 95.516,

p = .000 안전투자

(인력, 예산) .058 .553 9.773 .000**

**, p<0.01

사업주의 안전의식은 사업장의 안전투자(안전담당 인력 및 예산)와 정(+)의 관계 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의 검정결과, t값은 9.773(p= .000)으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 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즉, 사업주의 안전의식이 높으면 사업장의 안전투자(안전담당 인력 및 예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00에서 95.516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306으로 30.6%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가설 4> 근로자의 안전의식은 사업장 안전투자와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4-24] 가설4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오차 β t값 유의확률 통계량

사업주 안전의식

상수 .192 5.440 .000 R = .643,

R2 = .413, 수정된 R2

= .411, F = 152.874, p = .000 안전투자

(인력, 예산) .050 .643 12.364 .000**

**, p<0.01

근로자의 안전의식은 사업장의 안전투자(안전 담당인력 및 예산)와 정(+)의 관계

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4의 검정결과, t값은 12.364(p= .000)으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즉, 근로자의 안전의식 이 높으면 사업장의 안전투자(안전담당 인력 및 예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00에서 152.874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413으로 41.3%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가설 5> 사업주의 안전의식은 산업재해 발생에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4-25] 가설5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오차 β t값 유의확률 통계량

사업주 안전의식

상수 .206 5.547 .000 R = .230

R2 = .053, 수정된 R2

= .049, F = 12.151,

p = .001

산업재해 .049 -.230 -3.486. .001**

**, p<0.01

사업주의 안전의식은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에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5의 검정결과, t값은 -3.486(p= .001)으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부(-)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즉, 사업주의 안전의식이 높으면 사 업장의 산업재해 발생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01에 서 12.151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053으로 5.3%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가설 6> 근로자의 안전의식은 산업재해 발생에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4-26] 가설6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오차 β t값 유의확률 통계량

근로자 안전의식

상수 .176 4.854 .000 R = .163

R2 = .027, 수정된 R2

= .022, F = 5.933,

p = .016

산업재해 .046 -.163 -2.436. .016*

**, p<0.01

근로자의 안전의식은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에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6의 검정결과, t값은 -2.436(p= .016)으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부(-)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6은 채택되었다. 즉, 근로자의 안전의식이 높으면 사 업장의 산업재해 발생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16에

서 5.933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027으로 2.7%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가설 7> 사업장의 안전투자와 산업재해는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4-27] 가설7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종속변수 표준오차 β t값 유의확률 통계량

사업장 안전투자

상수 .164 5.072 .000 R = .166

R2 = .028, 수정된 R2

= .023, F = 6.171,

p = .014

산업재해 .048 -.166 -2.484. .014*

**, p<0.01

사업장의 안전투자(인력 및 예산)는 산업재해와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 설 7의 검정결과, t값은 -2.484(p= .014)으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7은 채택되었다. 즉, 사업장의 안전투자(인력 및 예산) 가 높으면 산업재해 발생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귀모형은 F값이 p=

.014에서 6.171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회귀식에 대한 R2 = .028로 2.8%의 설명력

을 보이고 있다.

4.4.2. 모형 2

☞ 모형 2 가설분석을 위한 다음 3개의 설문에 대한 분석은 산업재해 발생전후의 상황을 비교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총 219개의 설문대상중, 산업재해 발생 경 험이 있는 사업장 95개의 설문만을 분석하였다.

<가설 8> 산업재해 발생은 사업주의 안전의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은 대응표본 t-test 분석으로 제시하겠다.

[4-28] 산업재해발생 전후의 사업주의 안전의식 변화 비교 분석

변수명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산업재해 전 4.0132 .71097

-2.644 .010*

산업재해 후 4.1421 .67132

**, p<0.01

산업재해 발생은 사업주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업 재해 발생 전과 산업재해 발생 후의 사업주 안전의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 과 t값이 -2.644로 ±1.96보다 크고, 유의확률은 0.010으로 0.05보다 작게 나타났으므 로 산업재해전과 산업재해후의 사업주의 안전의식 평균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8은 채택되었다. 결국 산업재해가 발생한 후의 사 업주의 안전의식은 산업재해 발생 전 보다 향상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 다.

<가설 9> 산업재해 발생은 근로자의 안전의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은 대응표본 t-test 분석으로 제시하겠다.

[4-29] 산업재해발생 전후의 근로자의 안전의식 변화 비교 분석

변수명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산업재해 전 3.6368 .74222

-2.927 .004**

산업재해 후 3.7882 .68224

**, p<0.01

산업재해 발생은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는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업 재해 발생 전과 산업재해 발생 후의 근로자 안전의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 과 t값이 -2.927로 ±1.96보다 크고, 유의확률은 0.004으로 0.05보다 작게 나타났으므 로 산업재해전과 산업재해후의 근로자의 안전의식 평균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9는 채택되었다. 결국 산업재해가 발생한 후의 근 로자의 안전의식은 향상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10> 산업재해 발생 후에 안전투자(안전담당 인력 및 예산)가 증가할 것이다.

이 가설에 대한 검증은 산업재해 발생전후를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설문 답변

에 대한 비율분석으로 제시하겠다. 설문 내용은 “산업재해 발생 후 안전투자규모(인 력과 예산)는 늘었다”로 질문하였다. 답변결과를 분석해보니, 안전투자(안전담당 인 력 및 예산)규모가 늘었다고 답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가 51명으로 53.7%를 점유 하고 있으며, 보통이다는 33명으로 34.7%, 그렇지 않다는 11명으로 11.6%를 점유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유율로 분석해 봤을 때 응답자 95명중 안전투자(안전담당 인력 및 예산)가 늘었다고 적극적으로 답한 경우가 53.7%, 현상유지는 34.7%, 그렇지 않다고 답한 경

우는 11.6%로 나타나고 있어, 전반적으로 산업재해가 발생할 경우 안전투자(안전담

당 인력 및 예산)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0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채택 또는 기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4-30] 산업재해 후 안전투자규모 증가에 대한 설문 결과

매우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0 11(11.6%) 33(34.7%) 40(42.1%) 11(11.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