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간 관계
공무원의 인적 특성별로 가족 친화적 제도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에 차별적 효과가 있는지를 검토하기에 앞서, 가족 친 화적 제도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육아휴직제도, 직장 내 보육시설, 유연근무제의 3 가지 제도를 선택하여 3개의 주 가설을 만들어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H1 :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무원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 H2 :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무원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 H3 :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무원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2) 공무원의 인적 특성이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1) 성별
여성이 주요 육아 담당자라는 기존의 성 역할 기대가 존재하고 있음 을 부정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를 활용함에 있어 성별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기회비용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여성공무원과 남성공무원 간 비교 분석을 실시 하기로 한다.
가설 H1-1 : 여성이 남성보다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2-1 : 여성이 남성보다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공 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3-1 : 여성이 남성보다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2) 혼인여부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 활용에 있어서 기혼자가 보다 조직의 지지를 얻기 쉬울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혼자의 경우 유연근 무제는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나, 육아휴직제도나 직장 내 보육시 설 이용의 경우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도의 효과를 예측하고 이에 기반하여 만족도에 응답할 수밖에 없다. 미혼과 기혼 공무원 집 단 간에는 경험 및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있다는 의식 하에 집단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가설 H1-2 :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공 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2-2 :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3-2 :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 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3) 소속기관유형
공무원 소속기관 유형별 차이는 기관이 위치한 장소적 차이 및 제도 활성화 정도의 차이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장소적 차이는 현실적인 제 도 이용 가능성에 영향을 주며, 제도 활성화 정도 차이는 정책 인식 (policy literacy)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집단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가설 H1-3 : 국가 소속인 경우 지방자치단체 소속인 경우보다 육아 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 다.
가설 H2-3 : 국가 소속인 경우 지방자치단체 소속인 경우보다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 이다.
가설 H3-3 : 국가 소속인 경우 지방자치단체 소속인 경우보다 유연 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4) 직급
관리자와 실무자 직급별로 공무원 조직 내에서 부여하는 역할 기대가 다르고, 이에 따라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상사나 주 변 사람들의 반응, 사회적 지지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도를 사용하는 데서 오는 경력 공백과 이로 인한 부담이 직급별로 다를 수 있다는 문제 의식 하에 집단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가설 H1-4 : 관리자가 실무자보다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공 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2-4 : 관리자가 실무자보다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3-4 : 관리자가 실무자보다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 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5) 연령
연령별로 제도에 대한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에 집단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가설 H1-5 : 연령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2-5 : 연령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H3-5 : 연령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 족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