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대상자의 배경변인으로 파악한 인구학적 특성과 고혈압 관련 특성에 관 한 동질성 검정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교육․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26명 이였고 이 중 19명이 수료하여 수료율 73.08% 였다. 대조군은 31명이 참 여하여 23명이 수료하여 수료율 74.19%로 유사하였다. 총 42명의 평균연 령은 69.6(±4.5)세로 실험군은 70세, 대조군은 69.3세였다. 실험군은 여성 과 남성의 비율이 47.4%와 52.6%로 유사하였으나 대조군은 여성이 73.9%
로 많았고, 교육수준 또한 실험군은 고졸 36.7%, 중졸 21.1%의 순서를 보 였으나, 대조군은 초졸 34.8%, 고졸 26.1%의 순서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종교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불교가 42.1%, 34.8%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실험군 94.7%, 대조군 78.3%로 다수였다. 가족의 구성은 배우자와 미혼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이 실험군 52.6%, 대조군 39.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배우자와 단 둘이 거주한다는 답변이 실험군 42.1%, 대조군 34.8%로 뒤를 이었다. 고 혈압 관리를 도와주는 사람으로 실험군은 의료진과 배우자를 각각 36.8%
로 꼽았고, 대조군은 의료진 42.9%를 이어 도움을 주는 사람이 없다는 의 견이 39.1%를 보였으나 이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실험군 57.9%
와 대조군 60.9%에서 생활수준이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생활비와 용돈
받은 기간이 1∼10년 정도 되었다는 대상자가 실험군 63.2%, 대조군 65.2%로 가장 많았으며, 총 42명 대상자의 평균 유병기간은 9.4(±7.86)년 이고, 실험군은 9.8(±9.29)년, 대조군은 9.2(±6.67)년 이였다. 실험군의 94.7%, 대조군의 91.3%가 현재 고혈압 약물을 정기적으로 복용하고 있었 으며, 고혈압 이외에 진단받은 만성질환으로는 실험군은 기타가 47.4%, 대조군은 관절염이 30.4%로 많다고 응답하였으나 그 구체적인 내용을 보 면 실험군 역시 이상지질혈증, 전립선 비대증 등 장기적으로 약물을 복용 하는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실험군의 21.1%, 대조군 의 34.8%는 동반질환이 없다고 응답하였고 이는 2순위를 차지하였다. 대 상자의 배경변인으로 파악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고혈압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 동질성 검정결과는 모든 변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Exp.(n=19) Cont.(n=23) Total(n=42) x²
or t p
n(%) n(%) n(%)
Gender* Male 10(52.6) 6(26.1) 16(38.1)
.156 .098 Female 9(47.4) 17(73.9) 26(61.9)
Religion*
Buddhism 8(42.1) 8(34.8) 16(38.1)
.590
Christianity 6(31.6) 6(26.1) 12(28.6) Catholicism 4(21.1) 5(21.7) 9(21.4)
None 1(5.3) 4(17.4) 5(11.9)
Age(yr)
60∼65 3(15.8) 5(21.7) 8(19.0)
1.677 .253
66∼70 8(42.1) 8(34.8) 16(38.1)
70∼75 5(26.3) 8(34.8) 13(31.0)
76∼80 3(15.8) 2(8.7) 5(11.9)
Mean±SD 70±4.93 69.3±4.20 69.64±4.50
Education level*
Illiteracy 0 3(13.0) 3(7.1)
.548
Elementry
school 3(15.8) 8(34.8) 11(26.2)
Middle school 4(21.1) 4(17.4) 8(19.0) High school 11(36.7) 6(26.1) 17(40.5)
Bachelor 1(5.3) 2(8.7) 3(7.1)
Living together
with*
Spouse &
unmarried adult 10(52.6) 9(39.1) 19(45.2)
.469
Alone 0 2(8.7) 2(4.8)
Spouse only 8(42.1) 8(34.8) 16(38.1) Married son &
daughter 0 2(8.7) 2(4.8)
ETC 1(5.3) 2(8.7) 3(7.1)
Spouse
With 18(94.7) 18(78.3) 36(85.7)
.377 .678
Without 1(5.3) 5(21.7) 6(14.3)
Care giver of
HTN*
Spouse 7(36.8) 5(35.7) 12(28.6)
.727
Son &
Daughter 1(5.3) 3(21.4) 4(9.4)
Health care
provider 7(36.8) 6(42.9) 13(31)
None 4(21.1) 9(39.1) 13(31)
Economic Very low 2(10.5) 2(8.7) 4(9.5) .751
Table 5.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N=42)
state*
Low 6(31.6) 6(26.1) 12(28.6)
Middle class 11(57.9) 14(60.9) 25(59.5)
High 0 1(4.3) 1(2.4)
Supply of living expenses
*
Self 11(57.9) 7(30.4) 18(42.9)
.694
Spouse 4(21.1) 8(34.8) 12(28.6)
Son & daughter
& grandson 3(15.8) 4(17.4) 7(16.7) Government &
community 1(5.3) 4(17.4) 5(11.9)
An allowance*
Self 7(36.8) 9(39.1) 16(38.1)
.306
Spouse 5(26.3) 6(26.1) 11(26.2)
Son & daughter
& grandson 6(31.6) 5(21.7) 11(26.2) Government &
community 1(5.3) 3(13.0) 4(9.5)
Duration of HTN
under 1 year 2(10.5) 2(8.7) 4(9.5)
.275 .970 1∼10 years 12(63.2) 15(65.2) 27(64.3)
10∼20 years 3(15.8) 6(26.1) 9(21.4)
over 30 years 2(10.5) 0 2(4.8)
Mean±SD 9.75±9.29 9.19±6.67 9.44±7.86 Taking
medication of HTN
Yes 18(94.7) 21(91.3) 39(92.9)
.485 .742
No 1(5.3) 2(8.7) 3(7.1)
Another chronic disease*
DM 2(10.5) 5(21.7) 7(16.7)
.593
Arthrities 1(5.3) 7(30.4) 8(19.0) Spine disease 3(15.8) 2(8.7) 5(11.9)
ETC 9(47.4) 1(4.3) 10(23.8)
None 4(21.1) 8(34.8) 12(28.6)
*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two-tailed test).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Exp.(n=19) Cont.(n=23) Total(n=42)
t p
Mean±SD Mean±SD Mean±SD
BP (mmHg)
Systolic 136.42±11.39 124.53±21.02 131.12±17.20 1.908 .073 Diastolic 81.95±8.59 74.26±9.90 78.45±9.94 2.055 .055
MMAS-8 6.01±1.62 6.08±1.77 6.05±1.68 .131 .897
Self-Care
Behaviors 45.11±11.74 50.83±7.88 48.24±10.11 -1.513 .148
Table 6. Homogeneity Test of Self-Care Behaviors, Medication Adherence, Blood Pressur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N=42)
2) 대상자의 혈압, 복약순응도, 자기간호행위에 대한 실험 전 동질성 검정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실험 전 동질성 검정 결과는 Table 6.와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간호행위(t = -1.513, p = .148), 복약순응도(t = .131, p = .897), 수축기혈압(t = 1.908, p = .073) 및 이완기혈압(t = 2.055, p = .055)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군은 동 질군으로 밝혀졌다.(p .05)
BP, Blood Pressure. MMAS,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SD, Standard Deviation
Self-Care Behaviors
pre-test(A) post-test(B) Difference
(B-A) t p
Mean±SD Mean±SD Mean±SD
Exp.
(n=19) 45.11±11.74 53.32±8.47 8.21±13.88
2.578 .019 Cont.
(n=23) 50.83±7.88 53.52±7.04 2.70±5.21
Table 7. Comparison of Self-Care Behavior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N=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