였다. 사후조사는 사전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며, 측정자간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사전조사를 담당 했던 연구자 및 연구보조원이 진행하였 다. 연구 종료 후 대조군에게도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 실험군과 같은 내 용의 중재를 적용하였다.
Session
& Topic Time Contents
1 Introduction
5 Orientation to the entire educational program 20 * Self-introduction
* Share one`s Learning objectives
35 * Notice Learning objectives of entire program
* Lecture about hypertension comprehension 10 Telephone Individual Counseling
2 Exercise
10 Review of Last Session
40
* Lecture about hypertension management through exercise management
* Share one`s thoughts abou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eing practical exercise 10 Q&A
10 Telephone Individual Counseling 3
Diet – low Na+
10 Review of Last Session
40 * Low-Sodium Diet Experience Lunch Box)
* Share current eating habits 10 Q&A
4 Diet - others
10 Review of Last Session 40
* Set your own goals for the dietary management
* Lecture about hypertension management through dietary management
10 Q&A
10 Telephone Individual Counseling
5 Complications
10 Review of Last Session
30
* Share about practice of goal setting on dietary management
* Lecture about other self-management for hypertension patients
* Organize about the entire program & Summary 20 Q&A, Closing Ceremony
10 Telephone Individual Counseling
Table 4. Contents of G-ECP Group Education
Q&A, Question and Answer. G-ECP, a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directed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기소개 및 교육목표를 공유하는 시간을 20분간 구성하였다. 2주차에는 현 재 실천하고 있는 운동에 대한 내용을 3주차에는 현재의 식사습관에 대한 의견공유, 4주차에는 식사관리에 대한 자신만의 목표설정 및 공유시간을 갖고 이외의 시간에 강의를 통한 정보제공을 실시하였다. 5주차에는 4주 차 이후 실시한 전화개별상담 시에 파악한 고혈압과 관련한 자기관리에 대해 평소 궁금했던 점을 기초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한 이 유로는 다양한 고혈압 자기관리방법 중 현재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 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부분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대상자 맞춤형 건강 교육을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배경변인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에게 집중 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수료식을 통한 성취감을 제공하고 5주차의 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총 정리를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정보제공의 효과를 기대하였다. 또한 자신 과 타인의 의견 및 실천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에는 칭찬, 격력, 지지를 통 한 정서적 지지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또한 수업이 있은 날로부터 2∼3일 후에 약 10분간의 전화개별상담을 총 4회 실시하였다. 전화개별상담은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기초하여 그 주 의 교육내용을 스스로에게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추가적인 정보제공 과 의사결정통제, 정서적지지 등을 제공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전화개별상담을 위하여 대상자에게 전화통화가 가능 한 시간을 미리 조사하였고, 실험군의 교육이 수요일에 있어 금∼일요일 중에 상담을 실시하였으며 토요일에 가장 많은 상담이 이루어졌다. 상담 의 구체적인 내용은 그 주에 실시한 교육의 내용을 중점으로 고혈압의 노 인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 자기간호를 위한 지지자원을 파악하 고, 성공적인 자기 간호를 위한 칭찬, 격려 등의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 다. 건강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하며 고혈압을 포함한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을 제공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전화개별상담은 부록 4.의 각 주차별 전화개 별상담지를 이용하여 상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 주의 교육내용 중 이해가 어려웠던 부분이나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 등이 있는지 질문하 였고, 고혈압 이외에는 노인의 전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도 필요시 수행하였다. 더불어 주차별로 상담 1주차에는 고혈압 노인의 일반적인 특 성과 질병관련 특성 및 고혈압 노인의 자기간호를 위한 지지자원을 파악 하고 교육에서 가장 알고 싶은 점이나 본인의 고혈압 관리목표, 고혈압관 리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다. 상담 2주차에는 운동실천여부나 운동시간, 동반질환 또는 통증의 여부 등 운동실천의 촉진요인과 방해요인, 실패 혹 은 성공경험에 대해 파악하고 운동실천과 관련한 지지자원으로 함께 운동 할 수 있는 사람, 지역사회자원 등을 파악하여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도 록 적극 격려하였다. 상담 3주차에는 경제상태 및 선호하는 음식, 체중, 술과 카페인, 소금 등의 섭취 등 식습관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지지자원과 방법을 함께 찾아 식이관리에 관해 목표를 설정할 수 있 도록 하였다. 특히 혼자 거주하는 노인들이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것과 외식과 국물 등의 섭취 횟수를 줄여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는 것, 야채·과 일·단백질 등을 균형있게 섭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는 것을 상담의 목표로 하였다. 또한 강의 5주차인 고혈압과 관련한 자기관리방법 에 대해 궁금한 점에 대해 파악하였다. 상담 4주차는 마지막 상담시간이 여서 현재까지 교육과 상담으로 제공했던 내용에 대한 총 정리를 제공하 고, 스스로 고혈압 관리에 대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여 가활동 및 스트레스관리, 흡연 및 음주습관 등을 파악하여 본인에게 필요 한 자기간호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지역사회의 복지관이나 운 동시설, 자조모임 등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해서도 알려주었다. 실험군
에게 적용한 전화개별상담의 평균 통화시간은 5.35(±2.41)분이였고, 1회차 통화에 6.71(±3.98)분으로 가장 길게 통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