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차이

<표4-6> 채용전형에 따른 조직관리 차이 검증

일반 지역할당 차이분석

(t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우리 조직은 직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다 3.58 .968 3.83 .741 -1.816 우리 조직은 중요한 업무

의사결정 시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3.48 .914 3.65 .874 -1.170 우리 조직은 직원의 연수, 교육을

통해 성장 할 수 있게 잘

조성되어 있다 3.96 .851 4.12 .740 -1.252 우리 조직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3.26 .996 2.72 .960 3.534***

전체 3.57 .797 3.58 .647 -.072

***p<.001

<표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관리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조 직관리 전체의 경우에는 일반보다 지역할당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문항별로 살펴보면 ‘우리 조직 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 성되어 있다’(t=3.53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일반이 3.26점, 지역할당이 2.72점으로 지역할당보다 일반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의 측면으로 해석될 수 있 다. 먼저 기업은행 지역할당으로 입행을 할 경우 지역전문가 양성 및 그 지역의 인력우선 공급을 위해 해당 지역에서 5년 동안 의무 근무해야 한 다. 그렇기에 지방영업점에서 근무하면서 구성원의 자기개발 및 희망직 무로의 순환에 따른 본부 발령등에 제한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로는 일반전형자의 경우 본부 및 수도권에 근무를 많이 하지만 지역 할당인재는 지방영업점에 근무를 하게 되는데 이때 지방영업점의 밀집도 가 서울 및 수도권보다 넓게 고루 퍼져있어 지방지역에서도 나름 격지로 분류되는 영업점에 근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할당 인재가 낮게나오는 것이 이러한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표4-7> 채용전형에 따른 보상체계 차이 검증

일반 지역할당 차이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값)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3.61 .947 3.58 .882 .144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71 .880 3.80 .814 -.672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3.42 .930 3.48 .831 -.401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 3.94 .823 3.86 .933 .573 전체 3.67 .713 3.68 .685 -.109

<표 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상체계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보상체계 전체의 경우에도 역시 일반보다 지역할당이 더 높게 나타났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문항별로 살펴보면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의 경우에 는 지역할당보다 일반의 점수가, 반면에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의 경우에는 일반보다 지역할당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4-8> 채용전형에 따른 조직몰입 차이 검증

일반 지역할당 차이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값)

조직몰입 3.84 .597 3.90 .595 -.661

<표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몰입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조직몰입 전체의 경우에는 일반전형의 경우 평균이 3.84이고 지역할당이 3.90으로 일반보다 지역할당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4-9 > 채용전형별 계급에 따른 조직관리 차이 검증

계장 대리 과장 차장 차이

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 (F값)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우리 조직은 직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다 3.90 .976 3.27 1.048 3.59 .898 3.50 .577 2.158 우리 조직은 중요한 업무 의사결정

시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3.62 .942 3.20 .961 3.55 .879 3.75 .500 1.394 우리 조직은 직원의 연수, 교육을

통해 성장 할 수 있게 잘 조성되어

있다 3.97 1.017 4.00 .743 3.98 .787 3.50 1.291 .414 우리 조직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3.41 .825 3.13 1.167 3.24 .971 3.50 1.291 .473 전체 3.72 .792 3.40 .897 3.59 .765 3.56 .239 .821

우리 조직은 직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다 3.79 .686 3.73 .467 3.80 .894 4.33 .816 1.040 우리 조직은 중요한 업무 의사결정

시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3.54 .881 3.55 .522 3.65 .988 4.33 .816 1.466 우리 조직은 직원의 연수, 교육을

통해 성장 할 수 있게 잘 조성되어

있다 4.18 .670 4.09 .701 3.95 .826 4.50 .837 .941 우리 조직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2.75 .799 2.82 1.079 2.75 1.209 2.33 .516 .367 전체 3.56 .560 3.55 .498 3.54 .844 3.88 .586 .450

<표 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관리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전형의 경우 계장직급에서 많은 점수를 받았으며 의사결정에 대해서 는 차장직급에서 교육훈련에 대해서는 대리직급에서 순환근무에 대해서 는 차장직급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일반전형자의 계급에 따라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역할당의 경우는 조직

분위기의 경우 차장급이,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차장급이, 교육훈련에 대 해서도 차장급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순환근무에 대해서는 대부분 낮 게 나왔다. 지역할당의 경우도 조직관리적 측면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 하지 못했다.

<표 4-10 > 채용전형별 업무에 따른 조직관리 차이 검증

본점 영업점 차이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값)

일반

우리 조직은 직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다 3.67 .971 3.50 .966 .918

우리 조직은 중요한 업무 의사결정 시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3.57 1.002 3.40 .827 1.015

우리 조직은 직원의 연수, 교육을 통해 성장 할 수 있게 잘 조성되어

있다 4.00 .869 3.93 .841 .416

우리 조직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3.44 .965 3.10 1.003 1.864

전체 3.67 .837 3.48 .756 1.260

지역 할당

우리 조직은 직원들이 신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어

있다 3.57 .976 3.86 .712 -.980

우리 조직은 중요한 업무 의사결정 시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3.57 .976 3.66 .870 -.238

우리 조직은 직원의 연수, 교육을 통해 성장 할 수 있게 잘 조성되어

있다

4.14 .690 4.12 .751 .074

우리 조직은 본부전입, 지점 이동 등의 순환근무 시 직원의사를 반영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3.14 1.215 2.67 .925 1.229

전체 3.61 .840 3.58 .629 .113

<표 4-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직관리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조직관리의 경우는 본점직원이 영업점 직원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보상체계의 경우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둘다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4-11> 채용전형별 계급에 따른 보상체계 차이 검증

계장 대리 과장 차장 차이

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 (F값)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3.76 .872 3.50 1.075 3.61 .850 3.25 1.708 .559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79 .819 3.47 1.008 3.80 .825 3.75 .957 1.049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3.28 .960 3.17 1.020 3.63 .824 3.75 .957 2.042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 4.07 .842 4.07 .785 3.78 .832 4.00 .816 1.092 전체 3.72 .727 3.55 .772 3.71 .687 3.69 .625 .376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3.54a .838 3.18a .982 3.55a .759 4.67b .516 4.427**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79 .833 3.55 .688 3.75 .786 4.50 .837 1.949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3.29a .810 3.36a .674 3.50a .761 4.50b .837 4.124**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 3.82 1.020 3.82 .603 3.70 .979 4.67 .516 1.775 전체 3.61a .640 3.48a .575 3.63a .646 4.58b .665 4.611**

**p<.01

<표 4-1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상체계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의 경우에는 계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역할당의 경우에는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 이다’(F=4.427, p<.01),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F=4.124, p<.01), 보상체계 전체(F=4.611,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두 과장 이하보다 차장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 모두 계장, 대리, 과장보다 차장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표4-12> 채용전형별 업무에 따른 보상체계 차이 검증

본점 영업점 차이분석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t값)

일반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3.67 .869 3.55 1.016 .655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89 .793 3.55 .928 2.084*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3.61 .899 3.25 .932 2.100*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 3.96 .823 3.92 .829 .299

전체 3.78 .712 3.57 .704 1.625

지역 할당

우리 조직은 일한 만큼의 합당한 급여를

주는 편이다 3.71 .756 3.57 .901 .409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57 .976 3.83 .798 -.784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 3.57 .787 3.47 .842 .316

우리 조직은 복리후생, 휴가제도에 대해

적극적이다 3.43 1.512 3.91 .844 -1.306

전체 3.57 .800 3.69 .677 -.444

*p<.05

<표 4-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상체계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의 경우에는 ‘현재 조직에 근무함으로써 성장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t=2.084, p<.05), '우리 조직은 승진제도를 공평하게 유지하고 있다'(t=2.10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두 영 업점보다 본점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전형자들 중 본부근무자들의 근무환경 및 근무자의 직위등을 고려하여 결과에 반 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할당의 경우에는 업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