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가족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상호작용 척도를, 유아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 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도구의 문항구성과 평가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을 기초로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개발한 척도에서 한국형 양육스트레스 중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 감 및 디스트레스(pressures pertaining to the parental role and distress)부분을 인출 하여 구성하였다. 12문항 중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항진술이 명확하지 않은 ‘나를 성가시게 하는 일들이 몇 가지 있다’ 문항을 제외하고,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 우 그렇다(5점) 중에서 평정하는 5점 Likert 척도 응답의 11문항을 최종적으로 사용하 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 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스트레스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 다. 문항의 예시로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아이로부터 도망치고 싶 을 때가 있다’ 등이 있다. 측정도구의 하위 요인, 문항구성, 문항 수 및 Cronbach’s α 값은 <표 2>와 같다.

<표 2>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구성 문항 수 Cronbach‘s α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1, 2, 3, 4, 5, 6, 7, 8, 9, 10, 11 11 .89

전 체 11 .89

<표 3> 가족상호작용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요인 문항구성 문항 수 Cronbach‘s α

가족상호작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4 .91

전 체 14 .91

2) 가족상호작용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연 구진이 수정·보안 한 가족상호작용(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Ⅳ, Olson, 2010)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어머니와 가족원들 간의 감정적 결합과 역할관계 속의 변화성과 가족 리더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도구는 전혀 그 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 중에서 평정하는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가족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총 1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점수가 5점에 가까울수록 가족 내 건강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문항의 예시로

‘우리 가족은 힘들 때 서로 도와준다‘, ’우리 가족은 서로가 매우 가깝다고 느낀다‘, ’우 리 가족은 분명한 규칙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 ‘우리 가족은 문제가 생길 때 서로 절 충하고 타협한다’와 같은 문항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의 하위 요인, 문항구성, 문항 수 및 Cronbach’s α값은 <표 3>과 같다.

3) 유아지능

표준화된 개인검사 중 임상장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Wechsler지능검사는 한국 아동패널 2차 심층조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만3세∼만7세 3개월 아동의 정신 능력 개인차에 주목한 심리측정적 접근의 지능검사로 박혜원(1996)등이 표준화한 한 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orea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 K-WPPSI)가 사용되었다. K-WPPSI 지능은 평균이 100, 표준편차 15인 표준점수로 환산된 표준지능지수이다. 지능 69이하는 지능결손, 70~79는 경계선, 80~119는 평균, 120~129는 우수, 130 이상은 최우수로 분류된다. K-WPPSI의 지능은 동작성지능과 언 어성지능으로 구분되고, 소검사 구성문항은 동작성(미로, 빠진곳 찾기, 동물 짝짓기, 모양맞추기, 도형, 토막짜기)과 언어성(공통성, 문장, 상식, 이해, 산수, 어휘)으로 구분 되며, 각각 6개씩의 전체 12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있다. 소검사에 따라 검사자가 과 제를 설명하기 위한 시범문항과 아동이 과제를 연습 할 수 있는 연습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동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소검사에는 초기 설명문항에서 수정피드백을 지침에 따라 제공한다. 한국아동패널에서는 발달수준진단을 위하여 아동이 개별적으 로 거점지역별 검사실을 방문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자인 심층조사원이 지침에 따라 채점해서 점수를 산출하고 문항점수를 더하여 소검사 원점수를 계산하였고, 지 침서를 토대로 원점수를 규준연령 집단별 환산점수로 계산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지능과 하위영역인 동작성지능과 언어성지능을 각각 분석에 사용 하였다. 측정도구의 하위 요인, 문항구성 및 Cronbach’s α값은 <표 4>와 같다.

<표 4> 유아지능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 요인 소검사 Cronbach‘s α

동작성지능 1. 모양맞추기, 3. 도형, 5. 토막짜기, 7. 미로,

9. 빠진곳 찾기, (11. 동물 짝짓기) .74

언어성지능 2. 상식, 4. 이해, 6. 산수, 8. 어휘,

10. 공통성, (12. 문장) .82

전 체 .84

※ 소검사 옆 번호는 검사의 시행 순서입니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