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를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가설모델은 <그림 1>과 같다. 이와 같은 가설모델을 기반 으로 측정가능한 통계적 모델로 구성하여 설정한 연구모델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1> 가설모델
설정한 가설모델은 최대우도추정방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ML)을 통해 모델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해 제시 되는 적합도 지수로는 이론모형이 자료와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를 절대적으로 평가하 는 절대적합지수(χ2, RMSEA, SRMR)와 최악의 독립모형에 비하여 이론 모형이 얼마 나 자료를 잘 설명해 주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대적합지수(NNFI, CFI)가 대표적이 다(문수백, 2009; 홍세희, 2000). 그러나 χ2검증은 영가설의 내용이 너무 엄격하여 모 형이 조금만 틀려도 쉽게 기각되며, 또한 동일한 모형이 표본크기에 따라 기각될 수 도 채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모형을 평가하는데 χ2검증보다 적합도 지수(fit index)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문수백, 2009; 홍세희, 2000). 적합도 지수중 모델을 제대로 평가 하기 위해서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료에 잘 부합되면서, 동시에 간명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Bollen & Long, 1993; Browne & Cudeck, 1989)는 주 장에 의거 본 연구에서는 RMSEA1), CFI2), NNFI3) 및 SRMR4)을 사용하여 모델을 평 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30>과 같다.
1)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평가기준: <.10 적합도 양호 2) CFI(Comparative Fit Index), 평가기준: >.90 적합도가 양호
3) NNFI(Nonnormed Fit Index) 평가기준: >.90 적합도가 양호
4) SRMR(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 평가기준: <.10 대체로 양호한 모형
<그림 2> 연구모델
모델의 적합도 지수에 대해서 Steiger(1990)의 주장에 의하면 RMSEA 지수는 .10미 만이면 양호한 적합도, .05이하면 좋은 적합도, .01이하이면 가장 좋은 적합도로 평가 한다. SRMR은 .80이하면 양호한 적합도로 평가(Hu & Bentler, 1999)되며, NNFI, CFI 는 .09이상이면 적합한 모델로 수용한다(문수백, 2009). 본 연구모델의 적합도 지수들 은 RMSEA= .122, SRMR= .046, NNFI= .878, CFI= .931로 나타났다.
<표 30> 연구모델의 적합도
χ2 RMSEA SRMR NNFI CFI
연구모델 44.256 (df=12, p<.000)
.122
(.085, .161) .046 .878 .931
본 연구모델의 각 적합도지수를 살펴보면 RMSEA 값은 .122로 양호하지 않게 나타 났으나 SRMR 값은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NNFI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 하지 않게 나타났으나 CFI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육교 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관계를 좀 더 정교 화하기 위해 수정지표(Modification Index)를 기준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높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모형은 수정지수를 통해 오차 항들 간의 공분산 관계로 연결하였 으며, 수정모델은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수정모델 수정모델의 적합도 평가결과는 <표 31>과 같다.
<표 31> 수정모델의 적합도
χ2 RMSEA SRMR NNFI CFI
수정모델 25.145 (df=10, p<.005)
.091
(.047, .137) .035 .932 .967
<표 3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정모델의 적합도 지수들은 RMSEA= .091, SRMR=
.035, NNFI= .932, CFI= .967로 나타나 수정모델의 적합도지수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정모델에 대한 경로계수의 통계적 검증결과는 <표 32>과 같다.
<표 32> 수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검정결과 비표준화
경로계수
표준화
경로계수 S.E. C.R. P
교사효능감 ---> 자아탄력성 .78 .62 .34 2.31 *
교사효능감 ---> 개인적 효능감 1 .95
교사효능감 ---> 일반적 효능감 .28 .25 .14 2.00 *
자아탄력성 ---> 낙관적 태도 .97 .83 .08 11.99 ***
자아탄력성 ---> 대인관계효율성 1 .79
자아탄력성 ---> 자신감 .95 .89 .07 12.71 ***
자아탄력성 ---> 분노조절 .73 .43 .15 4.90 ***
교사효능감 ---> 이직의도 .09 .06 .18 .51
자아탄력성 ---> 이직의도 -.74 -.59 .15 -4.94 ***
*p<.05, ***p<.001
<표 3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는 .78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74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