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이하면서 양호한 기준치인 0.08 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 전반적으로 수용할 만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측정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를 <표 10>에 제시하였다.
<표 11> 모형의 적합도
나.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녀의 삶의 만족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과 변수 간 종단적 관련성의 확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음 시점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이 T2 에 미치는 영향력은 β=.49(p<.001)이고, T2가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542(p<.001)이며, T3이 T4에 미치는 영향력은 β=.569(p<.001)이다. 자 녀의 자아존중감도 다음 시점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자녀의 자아존중감 T1이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321(p<.001)이고, T2가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38(p<.001)이며, T3 이 T4에 미치는 영향력은 β=.347(p<.001)이다. 자녀의 삶의 만족도 역시 다음 시점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이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247(p<.001)이고, T2가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316(p<.001)이며, T3이 T4에 미치는 영 향력은 β=.326(p<.001)이다. 이는 각각의 변인은 다음 시점 해당 변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의미한다.
모형 df TLI CFI RMSEA(90% CI)
연구모형 346.337 33 .834 .930 .081
(.074~.089)
둘째,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다음 시점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적 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6(p<.05)이고, 모 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가 자녀의 자아존중감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059(p<.05)이며,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T4 에 미치는 영향력은 β=-.108(p<.001)이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 음 시점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미미하였지 만,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T4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이전 시점들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다음 시점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 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그 또한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075(p<.01)이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 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51(p>.05)이며,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T4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56(p<.05)이다.
넷째,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다음 시점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녀의 자아존중감 T1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11(p<.001)이고, 자녀의 자아존중감 T2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12(p<.001)이며, 자 녀의 자아존중감 T3이 자녀의 삶의 만족도 T4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116(p<.001)이다. 자녀의 삶의 만족도 또한 다음 시점 자녀의 자아존중 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 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T2에 미치는 영향력은 β=.172(p<.001)이고, 자녀 의 삶의 만족도 T2가 자녀의 자아존중감 T3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138(p<.001)이며,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이 자녀의 자아존중감 T4에 미치는 영향력은 β=.105(p<.001)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상호 간 비슷한 크기의 영향력으로 상호순 환적 인과관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모형의 최종 모형과 변수간 경로계수는 각각 [그림 2]와 <표 11>에 제시하였다.
[그림 2] 최종 모형
<표 12> 변수 간 최종모형 경로계수
경로 Estimate
S.E. C.R.
B
문화적응스트레스 T1 → 문화적응스트레스 T2 0.476 0.49 0.023 20.63***
문화적응스트레스 T2 → 문화적응스트레스 T3 0.550 0.542 0.024 22.766***
문화적응스트레스 T3 → 문화적응스트레스 T4 0.543 0.569 0.023 23.442***
자아존중감 T1 → 자아존중감 T2 0.312 0.321 0.027 11.651***
자아존중감 T2 → 자아존중감 T3 0.379 0.38 0.029 12.979***
자아존중감 T3 → 자아존중감 T4 0.417 0.347 0.038 11.123***
삶의만족도 T1 → 삶의만족도 T2 0.242 0.247 0.028 8.543***
삶의만족도 T2 → 삶의만족도 T3 0.342 0.316 0.033 10.338***
삶의만족도 T3 → 삶의만족도 T4 0.283 0.326 0.027 10.32***
*p < .05, **p < .01, ***p < .001
문화적응스트레스 T1 → 자아존중감 T2 -0.042 -0.06 0.017 -2.451* 문화적응스트레스 T2 → 자아존중감 T3 -0.043 -0.059 0.018 -2.375* 문화적응스트레스 T3 → 자아존중감 T4 -0.092 -0.108 0.023 -4.075***
문화적응스트레스 T1 → 삶의만족도 T2 -0.058 -0.075 0.02 -2.913**
문화적응스트레스 T2 → 삶의만족도 T3 -0.043 -0.051 0.022 -1.954 문화적응스트레스 T3 → 삶의만족도 T4 -0.041 -0.056 0.02 -2.096*
자아존중감 T1 → 삶의만족도 T2 0.117 0.11 0.031 3.816***
자아존중감 T2 → 삶의만족도 T3 0.141 0.12 0.036 3.922***
자아존중감 T3 → 삶의만족도 T4 0.119 0.116 0.032 3.685***
삶의만족도 T1 → 자아존중감 T2 0.154 0.172 0.025 6.218***
삶의만족도 T2 → 자아존중감 T3 0.127 0.138 0.027 4.700***
삶의만족도 T3 → 자아존중감 T4 0.107 0.105 0.032 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