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구분 최소값 최대값 평균
(M)
표준편차
(SD) 왜도 첨도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 1.00 5.00 2.60 0.75 0.176 -0.258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 1.00 4.88 2.51 0.73 0.195 -0.181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 1.00 4.88 2.43 0.74 0.316 -0.069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4 1.00 5.00 2.42 0.71 0.252 -0.053 자녀의 자아존중감 T1 1.00 4.00 3.13 0.54 -0.339 0.124 자녀의 자아존중감 T2 1.25 4.00 3.22 0.53 -0.124 -0.616 자녀의 자아존중감 T3 1.00 4.00 3.18 0.53 -0.113 -0.255 자녀의 자아존중감 T4 1.56 5.00 3.81 0.64 -0.167 -0.147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 1.00 4.00 3.24 0.59 -0.540 0.363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 1.00 4.00 3.30 0.58 -0.431 0.092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 1.00 4.00 3.15 0.62 -0.333 0.105 자녀의 삶의 만족도 T4 1.00 4.00 2.88 0.54 0.070 0.554
<표 9>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요 변수별 평균(M)의 변화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 T2, T3, T4, 자녀의 자아존중감 T1, T2, T3, T4,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 T2, T3, T4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co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에 제시한
<표 9> 와 같다. 분석결과,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각 시점별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다음 시점 모 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은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r=.490, p<.001), T3(r=.465, p<.001), T4(r=.436,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는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r=.537, p<.001), T4(r=.501,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모의 문화적
응스트레스 T3도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4(r=.56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각 시점별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다음 시점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자 아존중감 T1은 자녀의 자아존중감 T2(r=.413, p<.001), T3(r=.321, p<.001), T4(r=.17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의 자아
존중감 T2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T3(r=.463, p<.001), T4(r=.314, p<.001) 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자아존중감 T3도 자녀의 자아존 중감 T4(r=.421,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각 시점별 다문화 가정 자녀의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 자녀의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r=.308, p<.001), T3(r=.254, p<.001), T4(r=.207,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는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r=.388, p<.001), T4(r=.314,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삶의 만족도 T3도 자녀의
삶의 만족도 T4(r=.40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각 시점별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각 시점별 자 녀의 자아존중감과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은 자녀의 자아존중감 T1(r=-.085, p<.01), T2(r=-.101, p<.001), T3(r=-.119, p<.001), T4(r=-.110,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도 자녀의 자아존중감 T1(r=-.088, p<.01), T2(r=-.132, p<.001), T3(r=-.124, p<.001), T4(r=-.100, p<.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 스 T3은 자녀의 자아존중감 T1(r=-.065, p<.05), T2(r=-.088, p<.01), T3(r=-.130, p<.001), T4(r=-.165,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4도 자녀의 자아존중감 T1(r=-.077, p<.01), T2(r=-.119, p<.001), T3(r=-.130, p<.001), T4(r=-.176,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각 시점별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각 시점별 자녀의 삶의 만족도와 대부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 적으로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1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110, p<.001), T2(r=-.108, p<.001), T3(r=-.086, p<.01), T4(r=-.100, p<.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도 자녀의 삶의 만족도 T2(r=-.137, p<.001), T3(r=-.104, p<.001), T4(r=-.071, p<.05)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3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073, p<.01), T2(r=-.120, p<.001), T3(r=-.130, p<.001), T4(r=-.117,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모의 문화적응스트레 스 T4도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087, p<.01), T2(r=-.118, p<.001), T3(r=-.149, p<.001), T4(r=-.174, p<.001)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각 시점별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각 시점별 자녀의 삶의 만족 도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자아 존중감 T1은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474, p<.001), T2(r=.242,
p<.001), T3(r=.185, p<.001), T4(r=.145,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의 자아존중감 T2도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332, p<.001), T2(r=.543, p<.001), T3(r=.296, p<.001), T4(r=.22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자아존중감 T3은 자녀의 삶의 만족 도 T1(r=.261, p<.001), T2(r=.352, p<.001), T3(r=.554, p<.001), T4(r=.30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의 자아존중감 T4도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202, p<.001), T2(r=.264, p<.001), T3(r=.317, p<.001), T4(r=.557,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다문화 가정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T2는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r=-.047, p>.05)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표 10>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p < .05, **p < .01, ***p < .001
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녀의 삶의 만족도 T1 T2 T3 T4 T1 T2 T3 T4 T1 T2 T3 T4
모 의 문 화 적 응 스 트 레 스
T1 1
T2 .490*** 1
T3 .465*** .537*** 1 T4 .436*** .501*** .569*** 1
자 녀 의 자 아 존 중 감
T1 -.085** -.088** -.065* -.077** 1
T2 -.101*** -.132*** -.088** -.119*** .413*** 1
T3 -.119*** -.124*** -.130*** -.130*** .321*** .463*** 1
T4 -.110*** -.100** -.165*** -.176*** .172*** .314*** .421*** 1
자 녀 의 삶 의 만 족 도
T1 -.110*** -.047 -.073** -.087** .474*** .332*** .261*** .202*** 1 T2 -.108*** -.137*** -.120*** -.118*** .242*** .543*** .352*** .264*** .308*** 1 T3 -.086** -.104*** -.130*** -.149*** .185*** .296*** .554*** .317*** .254*** .388*** 1
T4 -.100** -.071* -.117*** -.174*** .145*** .222*** .309*** .557*** .207*** .314*** .40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