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약한 실트지반과 오염된 실트지반 및 모래섞인 실트지반의 측방유동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모형재하실험 결과로부터 얻 어진 변위량 분포를 통하여 연약한 실트지반과 오염된 실트지반 및 모래섞인 실트 지반에 대한 측방유동거동을 살펴보고 기존 이론식 및 수치해석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모형실험에 사용한 시료로는 전남 화순군 춘향면에서 채취한 육성실트를 사용하 였다.
연약한 실트지반(MLo로 표기)의 측방유동 분석에 사용된 6가지의 시료는 함수비 30.06%를 기본함수량으로 하고,매 시험 단계마다 함수량을 각각 20%씩 점차 증가 시키면서 조제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시료는 자연지반 상태의 함수량으로 하고(MLo000로 표기),두 번째 시료 는 함수량을 20% 증가(MLo020)시키고,세 번째 시료는 함수량을 40% 증가(MLo040) 시키는 등 매 시험단계마다 20%씩 증가하여 100%(MLo100)까지 증가시킨 6가지의 연약한 실트지반 시료를 실제의 지반 조건에 가장 유사하게 재성형하여 토조 안에 조성하였다.
오염된 실트지반에 사용된 오염물질은 생활오폐수와 공장폐유 및 축산폐수,분 뇨,쓰레기 침출수,염료를 혼합한 복합오염물질을 자연지반 상태의 함수비 46.84%
를 기준으로 매 시험 단계마다 복합오염물질을 20%씩 증가시킨 반면에 함수량은 20%씩 감소시키면서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첫 번째 시료는 복합오염물질을 혼합하지 않은 자연지반 상태의 함수비 46.84%를 기준으로 하였으며(MLP000),두 번째 시료는 함수량을 20% 감소,복합오염물질을 20% 증가(MLP020),세 번째 시료는 함수량을 40% 감소,복합오염물질을 40% 증가 시켰다(MLP040).매 시험단계마다 함수량 20%씩 감소,복합오염물질을 20%씩 증가 하여 140%(MLP140)까지 증가시킨 8가지의 시료를 실제의 오염지반 조건에 가장 유 사하게 재성형하여 모형지반을 조성하였다.
모래섞인 실트지반에 대한 모형실험에 필요한 시료는 실트 2/3와 모래 1/3을 혼 합한 실트지반(MLS)으로서 함수비 24.41%를 기본함수량으로 하고,매 시험 단계마 다 함수량을 각각 20%씩 점차 증가시키면서 조제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첫 번째 시료는 자연지반 상태의 함수량으로 하고(MLS000),두 번째 시료는 함수량을 20% 증가시키고(MLS020),세 번째 시료는 함수량을 40% 증가(MLS040)시키는 등 매 시험 단계마다 20% 증가하여 80%(MLS080)까지 증가시킨 5가지의 시료를 실제 의 지반 조건에 가장 유사하게 재성형하여 모형지반을 조성하였다.
여기서 연약한 실트지반과 모래섞인 실트지반의 기본함수량을 기준으로 함수량 을 20%씩 증가시키고,오염된 실트지반의 기본함수량을 기준으로 오염물질을 20%
씩 증가시킨 이유는 각각의 지반에 대한 함수량과 오염물질이 증가할수록 변화되 는 지반의 거동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임의적으로 20%를 정하여 증가시켰다.
Fig 1.1은 연약한 실트지반과 오염된 실트지반 및 모래섞인 실트지반에 대한 측 방유동의 전반적인 연구수행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실트지반의 측방유동 메카니즘
연약한 실트지반의 측방유동 (MLO, 6가지)
재하조건에 따른 변위량의 분포 (실측치와 수치해석 비교)
측방유동압의 산정
안정관리방법의 검토
결과분석 및 고찰
결 론
모래섞인 실트지반의 측방유동 (MLS, 5가지) 오염된 실트지반의 측방유동
(MLP, 8가지)
한계하중과 극한하중의 결정 (실측치와 수치해석 비교)
Fig1.1Processofresearch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