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독거노인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한 결과로 대상자 수가 적어 대표성이 있다고 간주하기 어려우며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것에 한계가 있 다. 추후 더 다양한 환경에 놓여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에 대 해 연구하여 독거노인의 24시간과 일상생활, 삶의 만족도나 행복도, 보호의 공백 등 을 분석해 노후의 삶을 윤택하게 영위하는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 이다.
둘째, 65세 이상 노인을 상대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녹취를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 였으나 연구 참여자가 본 연구자를 인식하여 심층면담의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전달 이 아니라 일부 각색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 구 참여자들이 각색하거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본 연구가 시작되기 전 연구 참여 자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기초 조사를 충분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상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나 연령별로, 독거기간 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연구는 독거노 인의 연령과 독거기간을 고려하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어 떠한 공백이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심층연구가 진행되어 개인 맞춤형 복지대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수택(1998).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 현대 사회학의 이해. 서울: 민음사.
권오균(2014). 독거노인 자살시도 영향효인에 관한 연구-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 가정 관리학, 32(5), 207-219.
권지성(2008).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 60(4), 131-156
김기태·박봉길(2000).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한국노년학, 20(1), 153-168
김미영(1997). 독거노인의 건강기능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1(2), 94-105
김미옥·김고은(2010).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 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2(1), 317-342
김상균·최일섭·최성재·조흥식·김혜란·이봉주·구인회·강상경·안상훈(2002). 사회복지개 론. 파주; 나남출판사
김상우(2006). 일상생활의 사회학의 현황과 전망. 문화와 사회, 91-122
김석윤(2016). 노인의 생활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왕배(2000). 도시 공간 생활세계. 서울: 도서출판 한울
김예성(2014).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Vol.34 No.3, 400-429
김우신(2013).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영등포지역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춘택(2012). 1920년대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42, 95-126
김춘택(2013). 안동가일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한국민족문화, 48, 215-256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김형수(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남기민·김옥배·방영숙·김영배·이철희·장미선·윤혜정·김현숙·이현주(2006). 고령화 사 회와 노인복지. 파주: 양서원
류진아(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리해근·하규수(2012).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2(6), 280-292
박동진(2014). 청각장애인의 일상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 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선영(2009).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순미(2008). 독거노인의 건강상태지각, 통증, 일상생활활동, 외로움과 삶의 질. 공 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두(1997). 생활보호대상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강 동구 거주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선(2012). 저소득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재환(1984).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학적 조명. 사회과학논총, 3(1), 241-256
박재환(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파주: 도서출판 한울
배나래(2006).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배지연(2005). 노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백학영(2006).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31, 5-39
보건복지부(2018). 2018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서민호(2008).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석말숙(2004).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체계적 접근 -지역사회거주 재가노 인을 주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6(겨울), 237-261
선우덕(2000). 노인 장기요양보호정책의 기본방향에 관한 일고찰. 보건과 복지.
Vol.3, 144-161
손덕순(2005).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우울감 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송기문(2004). 대도시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실태와 그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인주(2014). 서울시 노인돌봄시스템의 통합관리 현황과 과제. Vol.2014. No.10.
167-193
엄명용(2002).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여수룬(2013).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일상생활과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영광(2014).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현숙(2003). 노인의 특성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미란(2008). 강원도 농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사회복지적 접근방안에 관한 연 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택림(1996). 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 : 도시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69-117
윤택림(2002).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일상생활과 노동운동의 의미 : 여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17, 33-62.
이선영(2004). 생태체계관점에서 본 정신장애인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서울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영 역(1992). 인간발달 생태학. 서울: 교육과학사.
이종훈(1993). 후설의 생활세계 개념 연구. 철학과 현실, 16, 283-286 이혜원(1997). 노인복지론. 서울: 유풍출판사
장성문(2008). 초·중학생의 일상생활에 관한 시·공간적 비교 연구-서울시 중·강남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원순(2004). 사회문화교육방법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 사회과 교육, 43(4), 167-187
장정문(2017).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울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현희(2018).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고등학교 청소년의 성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체계적 관점-.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김혜경·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보고서
정민자(2016). 저소득층 조손 가족의 십대 손 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 스에 관한 질적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5(1), 21-41
정수복(1996). 일상문화연구회(편), 한국인의 일상문화 : 자기성찰의 사회학. 서울:
한울
정옥분(2005). 영유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윤택(2009). 노인의 사회적 배제 규정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 및 경제 의존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연모(2007). 영구임대추택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현주(2012).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사 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주재현(2002). 내용분석방법의 수행절차 및 적용 연구 사례 분석. 정부행정, 3, 29-55
최선하(2017).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성호 외(2016). 질적 내용분석의 개념과 절차. 질적 탐구, 2(1), 127-155 통계청(2018). 2017 고령자 통계.
통계청(2019). 장래가구특별추계 : 2017∼2047.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6). 농촌취약계층 생활실태조사 및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 초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연구보고서.
홍성열(2006). 여성 독거노인의 여가활동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청주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ltes, P. B and M.M. Malteseds(1990). Successful Aging :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Diehl, Manfred(1998). Everyday Competence in Later Life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Geronlogloist. Vol. 38, No.4.
Holmes S., Dickerson J.(1987). The quality of life : design and evaluation of a self-assessment instrument for use with cancer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4, 25-33
Sherry, L. Willis (1991). Cognition and everyday competence.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ume 11, Behavioral Science & Aging 11, 80 Parks, D. and Thrift, N., What is the use of time? Times, spaces, and places : a chronogeographic perspectives, NY : John Wiley, 1980, 141-204
小田利勝 (1999). 高齢期における自立生活と日常生活活動能力をめぐって. 神戸大学 発達科学部研究紀要, 7(1), 201-221
小田利勝 (2002). 高齢化社会の構造的特質と高度産業社会の行く末に関する試論. 人 間科学研究,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