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V. 시화호 해양에너지 복합발전 플랜트 조성

5.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 (유휴 감조해수호의 경제적 활용)

특히 해상풍력 투자 활성화를 위하여 가동 시점부터

5년 간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기존 2.0에서 3.0으로

상향 조정할 계획으로, 이를 통하여 초기투자비 회수가 유리해져 해상풍력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이러한 해상풍력을 다른 해양에너지와 연계하여 시화호 조력발전소 및 새만

금 방조제 등 내 유휴 감조해수호 내에 도입한다면 안정적 전력생산 및 판 매에 따른 이익창출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있어 새로운 시너지 효과 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적극적 환경개선)

시화호의 경우 조력발전소 운영과 함께 수질 및 생태계가

상당한 수준으로 복원되고 있으나 목표한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수질 및 생태복원을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그림

5.2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전후의 수질변화

(출처:

시화호 해양환경개선사업(국토해양부, 2011, 2012))

-

풍황조건 및 미세조류 배양 조건이 우수한 감조해수호 공간에 미세조류배양 플랜트를 건설, 운영함으로써 바이오 에너지 생산과 함께 미세조류 배양에 따른 오염물질 흡수를 통하여 추가적인 수질 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기존 시화국가산업단지를 확장하여 건설되고 있는 시화MTV(Multi-Techno

Valley)를 비롯하여 화성 송산그린시티 개발 등으로 인하여 시화호의 경우,

추가적인 수질 악화가 예상되므로, 해상풍력 중심의 복합발전단지 건설을 통하여 이러한 수질악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 미세조류배양 플랜트 개발 연구의 필요성

- (정부정책부합)

미세조류배양 플랜트 기술은 국정과제(해양 신성장 동력 창

출 및 체계적 해양관리. 수산의 미래산업화)과 창조경제(신산업․신시장 개척 을 위한 성장동력 창출) 대상 기술 및 혁신도약형 과제로써 정부정책에 부 합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 (원료중요성)

또한 감조해수호 등 해양에서의 미세조류 배양 시 육상자원 대

8~250배 높은 단위면적당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미세조류 배양

시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으로써 수질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구분 미세조류 석유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태양광 풍력 산업소재 생산 가능 가능 가능 가능 불가 불가 불가

온실가스 배출량1)

가채연수2) 무제한 54년3) 112년3) 64년3) 79년4) 무제한 무제한 경제성 확보시기 2020년5) 현재 현재 현재 현재 2020년5) 현재 주: 1) 온실가스는 생산과 사용 후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나오는 총 배출량을 고려, 2) 천연가스에 셰

일가스와 같은 비전통가스는 미포함, 3) BP(2012).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확인매 장량 기준, 4) IAEA (2010). Red Book - Uranium: Resources, Production and Demand, 5) 각종 자료 를 토대로 삼성 경제연구소 추정

- (과학기술수준 )

선진국 대비 한국 기술수준의 특징은

down-stream

가공기술

(70%

이상)은 높으나, up-stream 원료생산 기술(30~40%)이 낮아 기능성식품

소재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고, 따라서 기술개발 일시 중단 시 향후 상업생산 시점이 늦어지고

,

수입대체 효과 저하로 국내기술의 활용성 저하가 불가피하며 국제적 경쟁에서 탈락할 수 있다.

- (국가해양생명자원활용)

해수부의 연구개발투자로

KIOST가 보유한 다수의

원천기술 활용에 따른 국산화 전략을 활용한 미래자원 개발은 국가 자원 활 용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 목표

-

시화호 감조해수호 공간자원을 활용한 해상풍력

-미세조류배양 복합발전 플랜

트 조성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