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VII. 중점 추진 연구개발과제 관련 특허동향

7.2 특허동향 분석 결과

7.2.1 대상 특허 건수

○ 검색식을 이용하여 도출된 히팅건수와 이 중 노이즈 및 중복건수를 제외한 유효 특허 수를 각 기술분류별로 산출하였다.

표 7.3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AA) 특허 건수

국가 KR US JP EP 합계

히팅건수 73 133 571 24 801

유효특허 41 57 61 15 174

표 7.4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AB)

특허 건수

국가 KR US JP EP 합계

히팅건수 100 428 170 129 827

유효특허 57 113 100 32 302

표 7.5 해양에너지 복합밥전기술(AC) 특허 건수

국가 KR US JP EP 합계

히팅건수 253 318 314 99 984

유효특허 55 70 141 29 295

7.2.2 출원 동향

○ 산출된 유효특허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각 기술별 출원 동향을 연도별, 국가별 및 출원인별로 분석하였다.

○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 관련 동향

- 1970년대부터 조력발전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1990년

대까지는 그 출원 건수가 미비한 상태이다.

- 2000년부터 출원 건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가 2009년부터 출원 건수가 급증

한 것으로 나타고 있으며, 출원 후 일정 기간 동안 미공개로 상태로 유지되 는 상태임을 감안하여

2014년 및 2015년에도 특허 출원은 꾸준히 진행된 것

으로 추정된다

.

그림 7.1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 관련 연도별 출원 동향

그림

7.2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 관련 국가별 시계열 출원 동향

-

조력발전 운영기술에 관해서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특허 출원이 이루어졌으

나 이후 출원 빈도는 많지 않은 편이었다. 2000년도 이후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및 일본에서 출원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별 출원 점유현황을 보면, 일본이

35%의 비율로 우위를 나타내고 있고

미국은

33%

그리고 한국은

23%로 그 뒤를 잇고 있으며 유럽은 9%로 상대

-

즉, 미국 및 일본에서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과 관련한 기술개발 및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

-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에 대한 다출원인 현황을 살펴보면 ‘Voith Patent GmbH’

에서 가장 많은 출원이 이루어졌으며, 일본에 다수의 다출원인이 있다. 국내

에서는

‘홍문표 ’가 가장 많은 관련 특허를 출원하였다 .

그림

7.3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 관련 국가별 출원 점유율 현황

그림 7.4 조력발전 최적운영기술 관련 다출원인 현황

○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관련 동향

- 1976년부터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1990년까지는 그 출원 건수가 많지 않았다 .

- 199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출원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약간의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최근까지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에 대한 출 원 건수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

그림 7.5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관련 연도별 출원 동향

-

미국에서

1976년부터 가장 먼저 특허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출원이 거

의 없다가

1998년도부터 관련기술의 출원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

한편, 일본 및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의 경

우 출원 건수가 증가하다가

2000년대 진입하면서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

타내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림

7.6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관련 국가별 시계열 출원 동향

-

출원 점유율은 미국이

37%,

일본이

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관련 기술의 특허 출원이 이 두 나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한국은

19%의 점유율로 미국과 일본에 비해 다소 낮은 점유 현황을 나타내

고 있으나, 출원 건수가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추후 점유 현황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7.5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관련 국가별 출원 점유율 현황

-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에 대한 다출원인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의

‘Ameron,

Inc’,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및 일본의

‘NITTO DENKO CORPORATION’에서 많은 출원이 이루어

지고 있다.

-

주요 출원인의 특허 내용을 조사해보면 오손생물 부착방지를 위한 코팅 재 질 및 소재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7.8 해양오손생물 저감기술 관련 다출원인 현황

○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 관련 동향

- 1986년부터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

나, 1999년 이전까지는 출원 건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

-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원 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 정도부

터는 출원 건수가 한층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국가별로는 미국과 일본에서 초창기의 특허 출원이 이루어진 반면 우

리나라에서는

2000년대부터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최근 수년간

은 관련 출원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7.9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 관련 연도별 출원 동향

그림

7.10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 관련 국가별 시계열 출원 동향

-

국가별 출원 점유율은 일본이 48%로 가장 높고 미국이 그 뒤를 이어

24%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

한국과 유럽은 각각

18%와 10%의 점유율로 미국과 일본에 비해 다소 낮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최근 한국의 출원 건수가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 에 향후 점유율 변화가 예상된다

.

-

다출원인에 대한 분석자료를 살펴보면 한국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많은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HITACHI ZOSEN CORP’

‘MITSUBISHI LTD’에서 주로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이외에

도 다수의 기업들이 다출원인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7.11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 관련 국가별 출원 점유율 현황

그림 7.12 해양에너지 복합발전기술 관련 다출원인 현황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