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안운항선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모든 선박을 대 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고, 연안 운항선박의 경우 중고선을 도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국해운조합의 공제등록선가를 사용하여 선박의 신조비용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추가적으로 시간당 연료 사용량 계산 시 대형 선박의 경우 정박하고 있는 경우에도 엔진을 24시간 가동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운항시간을 기준으로 사용량을 책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시간당 사용량보다는 높게 계산되었을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LNG 추진선 도입 시 선사의 입장에서 가장 부담이 되는 부분은 선가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운항중인 선박의 신조선가를 명확히 파악하고 비교할 필요성 이 있다. 또한 선종별 대기오염물질의 전반적인 감소효과를 파악하고, 도입 우 선순위 도출의 변수로 적용하여 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을 것이 다.

참고문헌

<논문>

강석환, 2018. 녹색해운 인프라 구축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 LNG 추진선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부산:한국해양대학교

김기동, 박소진, 최경식, 조병학, 오영삼, 조상훈, 차건종, 조원준, 성홍근, 2018. “해외 LNG벙커링 비즈니스 모델 분석” 한국가스학회지 22(1) pp. 37-44

김기동, 백영순, 권옥배, 이현찬, 이종연, 민지홍, 이경선, 홍상태, 박덕신, 2009. “선박용 청정에너지 적용을 위한 타당성 연구” 한국가스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0-25

김선태, 2015. 액화천연가스 연료 추진시스템을 적용한 중형 제품유 탱커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한국해양대학교.

남현정, 이태희, 2017. “미래 신해양산업으로서의 LNG연료추진선 현황과 경쟁력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20(3) pp. 1-19

윤동하, 2009.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 리엔지니어링 우선순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인천대학교 이창식, 2015. LNG벙커링 산업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

정태환, 강성길, 이종갑, 안준건, 2018. “국제해사기구(IMO) 선박온실가스(GHG) 배출규제 동향 및 국내 외 대응방안 소개” 대한조선학회지 55(4) pp. 48-54

조인교, 2011. On-Dock 서비스 도입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연구 : 인천항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인하대학교

<보고서>

김근섭, 김은수, 김정현, 이기열, 2015. “LNG 추진선 도입에 따른 항만의 대응전략”. KMI 기본연구 2015-10

김정현, 2013. “LNG 추진선의 도입 동향과 해운서비스시장의 변화” KMI 계간 해양수산 3(2) pp.

103-119

김환성, 김율성, 신영란, 2018. “울산항 예선 LNG 전환 적정성 연구” 울산항만공사

이호춘, 류희영, 2019. “IMO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한 국내 해운산업 대응 전략” KMI 현안연구 2018-30, pp.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