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감천항 자체 대기질 관측소의 부재로 인해 인근지역의 대기질 정보를 활용하여 감천항에서 처리되는 미세먼지 발생인자 화물을 도출하였으나 감천항 내부에 대기질 관측소가 설치된다면 더욱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감천항 내에 대기질 측정소를 설치 시, 주요 품목처리 부두별, 에이프런, 야적장과 같은 화물처리 공간별로 측정소의 입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과정에 있어서 PM2.5의 경우, 인근지역 관측소로부터 2016년 1월을 기점으로 측정을 시작하였기에 변수 별로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 표본의 수집에 한계가 있었으며, 화물처리량 관점에서 인근지역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월별 벌크화물 물동량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따라서, 미세먼지에 대한 일별 데이터를 월별 데이 터를 재가공 할 필요가 있었다.

향후에는 중국의 황사와 같은 대외적 요인들과 을숙도 대교 인근도로 를 경유하는 화물차량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타이어로 인해 발생되는 비산먼지, 다양한 기후환경 등의 요인 등을 연구에 추가적으로 반영할 것이며, 더 나아가 벌크화물 별, 작업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미세먼지 주요발생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논문

김유근, 손건태, 문윤섭, 오인보, 1999. 한국대기환경학회, 15(6), pp.779-789.

김상아, 박웅섭, 김용익, 2003. 전이함수모형을 이용한 국민의료비 예측.

보건행정학회, 13(3), pp.91-103.

김대진, 2017. 해운산업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주요국 대응방안과 시사점, 산은조사월보, VOL40.

류병로, 조정석, 한양수, 1999. 전이함수잡음모형에 의한 공주지점의 용존산소 예측, 한국환경과학회, 8(3), pp.349-354.

이관형, 정호근, 강민구, 운용운, 2000. 전이함수를 이용한 산업재해 발생자 예측에 관한 연구, 보건정보통계학회, 25(2), pp.25-32.

유현상, 이호성, 장래현, 2010. ARIMA와 전이함수 모형을 이용한 출생자수 예측. 통계연구, 17(0), pp.111-123.

임성식, 2013. 주택가격지수 예측모형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1), pp65-76.

최경문, 김상현, 손미나, 김준, 2008. 전이함수를 통한 광릉 산림 유역의 토양수분 모델링. 한국농림기상학회, 10(2), pp.35-46.

도서

이재길, 2017. R프로그램에 기반한 시계열자료 분석.

보고서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관계부처 합동), 2017.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강광규, 2018.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2018) 주요내용과 방향.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2018. 미세먼지 기술동향 (집진저감기술 중심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장동력기획과, 2019. I-KOREA 4.0 혁신성장동력 분야 성과 창출 본격 지원.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2019. 보도자료 학교보건법 등 미세먼지 관련 5법 제/개정 의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장동력기획과, 2019. I-KOREA 4.0 혁신성장동력 분야 성과 창출 본격 지원.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초)미세먼지 현황과 부산의 미래대응전략.

부산항만공사, 2018. 부산항 화물취급장비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관리명부 작성.

법제처 법제조정촐괄법제관실, 2018. 항만 및 해양주변 지역의 대기 및 수질 환경개선을 위한 의원발의 법안.

육근형, 김근섭, 이기열 2017. 항만도시 미세먼지 대책 수립 시급, KMI동향분석, VOL28.

에너지경제연구원, 2019. ENERGY FOCUS 미세먼지 저감정책과 주요이슈.

최상희, 이언경, 전형모, 2015. 벌크항만 미래 기술개발 전략수립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항만하역 작업환경관리 개선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4. 글로벌 해양시대를 선도하는 항만지역 선진화 방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6. 우리나라 선박 배출 대기오염물질의 체계적 관리방안.

환경부, 2016. 바로 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7. 우리나라 배출규제해역(ECA) 도입 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2018. 친환경 연료로 항만 미세먼지 잡는다 –해수부, 부산항 야드트랙터 연료전환[경유->LNG]사업 확대 추진.

해양한국, 2018. Focus 항만 미세먼지 통합관리 특별법 제정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8. 항만재개발사업의 주변지역 연계를 통한 생활권계획 추진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국내 항만의 대기오염물질 관리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과, 2019. 혁신성장, 항만 인근 지역의 ‘맑은 공기, 숨쉴 권리’확보한다.

해양수산부, 2019. 2019년 해양수산부 업무계획[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특별법 이행을 위한 항만 대기오염물질 관리제도 정비 시급, KMI동향분석, VOL11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항만지역 대기질 개선을 위한 데이터의 연계/활용방안 연구.

OECD,2013. The Competitiveness of Global port Cities: Synthesis Report HAQCC, 2018. Harbours, Air Quality and Climate Change.

icct, 2015.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from oceangoing vessels in the Greater Pearl River Delta.

Paul, R. (2008, April). Jewometaal Stainless Processing. Retrieved from https://bit.ly/2oiR8f7

Port of Long Beach, 2017. San Pedro Bay Ports Clean Air Action Plan ResearchGate, 2018. Air Pollution from the Maritime Transport in the Romanian Black Sea Coast.World Maritime University, 2011. Air

emissions: the effects on the shipping industry and ports: implications for the Port of Singapore.

Web

Annual volume overview and statistics for scrap metal operations in the port of Hamburg. Retrieved from: https://www.hafen-hamburg.de

Cain, K. (2012, June 29). Harboring a problem with air pollution from ships or ports. Retrieved from: https://www.aeroqual.com

David G, (2011. 04. 04) Tried and tested systems to control fugitive dust. Retrieved from. https://bit.ly/2M8UbQ2

Dry Fog machine for curbing air pollution. Retrieved from:

https://www.nodust.com/

Dry fog agglomerative dust suppression systems by dust solutions (March 09, 2013). Retrieved from https://www.nodust.com/

Dry bulk annual volume overview for the port of Antwerp. (March 7, 2018). Retrieved from: https://www.portofantwerp.com

Dust suppression via remote control at scrap recycler. (Jan 04, 2019).

Retrieved from https://www.bosstek.com

EU: “scrap metal no longer waste” end of waste regulation (March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