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반도 주변해는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해역으로 한반도 주변해 기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쿠로시오 해류를 포함한 북서태평양 영역에 대 해 해양환경모형 수립함(그림 14)

그림 14. 북서태평양 지역기후모형의 영역. 화 살표는 해류를 나타내며 색은 해면수온을 나타 냄

지역규모의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모형의 격자는 수 km에서 10 km 정도의 규모로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용승 등의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둥지격자 체 계 수립이 요구됨

수치모형은 지역해모델링에서 널리 사용되는 ROMS모형을 사용하며, 한반도 주변해에 맞는 세부 변수값을 조정하여 해당 모형을 한반도 주변해에 최적화 함

최적화한 모형을 이용해 모형 스핀업(안정화) 실험을 100년간 실행하고, 이를 통해 과거 기후를 재현함

3.1.3. 북서태평양 지역기후모형 수립용 자료 입력 시스템 구축

대기 강제력: 바람, 단파복사, 장파복사, 해면기압, 강수 등

해양 경계조건: 수온, 염분, 해류, 조석, 저류, 해수면 높이 등

위성자료 수집: 해면수온, 해수면 높이, 클로로필 등

자료동화에 필요한 자료: 해면수온, 수온, 해수면 높이 등 관측 자료

미래변화 시나리오 자료: CMIP5 중 한반도를 가장 잘 모사하는 모형 자료

과거 기후변수 자료: 고기후 자료 중 수온, 염분 복원 자료

3.1.4. 해양-대기 접합모형 수립

미래 상세전망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적절히 모사하 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해 해양-대기를 접합한 모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

미국의 USGS의 COAWST를 이용해 대기모형(WRF)과 해양모형(ROMS)를 접 합하여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재현하고, 이에 따른 미래변화 전망을 제시함

3.1.5. 해양순환-생태 접합모형 수립

수립된 해양환경모형에 하위 생태모듈을 접합자를 이용하여 접합하고(그림

15),

세부변수 조정을 통해 한반도 주변해의 하위생태계 분포도를 재현

그림 15. 순환-생태 하위생태계 접합모형 시스템 개요

더욱 복잡한 NEMURO 등을 이용해 순환모형과 접합하여 상위생태계 분포 재현함

양자강 저염수의 담수유출 자료를 수집하여 연변동성 효과 실험함

3.2. 다양한 미래기후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실험 수행 3.2.1. 전지구 모형 평가

○ CMIP5

모형들(표 5)이 과거 기후를 얼마나 현실적으로 재현해내는지를 평가

하고, 미래 기후 전망에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함

○ PMIP3

모형 비교 및 북서태평양 고기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과거 기후 재

현함

전지구 모형

CMIP5

모형이 한반도 주변해에 영향을 많이 주는 전지구 규모의 운동 엘리뇨, 태평양순년진동, 몬순 등을 관측과 비교하여 잘 모사하는지에 대 해 평가함

북태평양 고기압, 몬순 등 한반도 주변해에서 발생하는 기후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용이한 주요 기후변수에 대한 품위평가를 실시함

Model I.D. Modeling Center Resolution

BCC-CSM1-1 Beijing Climate Center,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8°ⅹ2.8°

BCC-CSM1-1-M Beijing Climate Center,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1°ⅹ1.1°

BNU-ESM Beijing Normal University 2.8°ⅹ2.8°

CMCC-CESM Centro Euro-Mediterraneo sui Cambiamenti Climatici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 3.8°ⅹ3.8°

CMCC-CM Centro Euro-Mediterraneo sui Cambiamenti Climatici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 0.8°ⅹ0.8°

CMCC-CMS Centro Euro-Mediterraneo sui Cambiamenti Climatici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 1.9°ⅹ1.9°

CNRM-CM5

Centre National de Recherches Météorologiques / Centre Européen de Recherche et Formation Avancée en Calcul Scientifique

1.4°ⅹ1.4°

CanCM4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2.8°ⅹ2.8°

CanESM2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ling and Analysis 2.8°ⅹ2.8°

FIO-ESM The First Institute of Oceanography, SOA, China 2.8°ⅹ2.8°

HadCM3 Met Office Hadley Centre 3.8°ⅹ2.5°

MPI-ESM-LR Max-Planck-Institut für Meteorologie (Max Planck

Institute for Meteorology) 1.9°ⅹ1.9°

MPI-ESM-MR Max-Planck-Institut für Meteorologie (Max Planck Institute

for Meteorology) 1.9°ⅹ1.9°

MPI-ESM-P Max-Planck-Institut für Meteorologie (Max Planck Institute

for Meteorology) 1.9°ⅹ1.9°

NorESM1-M Norwegian Climate Centre 2.5°ⅹ1.9°

NorESM1-ME Norwegian Climate Centre 2.5°ⅹ1.9°

표 5. 사용 가능한 CMIP5 모형 목록

3.2.2. 전지구 모형 세부요소별 평가 및 모형 선정

○ CMIP5

모형을 한반도 주변해에 대하여 수온, 기온, 바람, 기압 등의 세부요소

를 테일러 다이어그램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해 평가함

모형들이 공통적으로 관측과 유사하게 모사하지 못하는 영역과 변수를 파악하 고 그 원인과 비중에 대해 분석함

상대적으로 모사능력이 높게 나타난 CMIP5 모형 그룹을 선정함

3.2.3. 미래변화 다모형/다시나리오 실험

한반도 주변해의 미래변화의 예측 불확실성을 줄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지구 모형 평가에서 선정된 모형들 중 상위 5개 모형을 이용해 다모 형 실험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이용한 다중모형앙상블을 실시함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정책 수립을 위하여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모형 실험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미래변화 실험 을 실시함

다양한 미래기후 시나리오와 모형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미래변화의 불확실성 을 평가함

3.2.4. 해양환경 미래변화 실험

지역기후모형을 이용해 미래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CMIP5와 현재의 기후값을 이용한 유사지구온난화기법(PGW)을 이용함

유사지구온난화기법은 역학적 규모축소법의 한 종류로서 전지구 모형이 생산 한 미래 기후 평균장과 현재 기후 평균장의 차이 즉, 모사된 미래 기후 변화값 을 관측된 현재 기후값에 더하여 미래 기후를 전망하는 방법임(Kimura and

Kitoh, 2007).

이 방법은 전지구 모형에 내재된 모형의 계통오차를 줄임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결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wase

et al. 2009).

그림 16 은 이 방법을 도식적으로 표현하였음

Present climate Future climate Global

model

Simulated present climatology

Simulated future climatology

Observed present climate time

series

+

Future climate change simulated

by global model (difference in climatologies)

Reconstructed future climate

projection

dynamical downscaling

Regional model

Historical experiment Downscaled present climate

time series

Future climate experiment Downscaled future climate

projection

Downscaled future climate change

projection

그림 16. 지구유사온난화 방안 모식도

유사지구온난화기법을 이용하여 미래변화 전망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 활용된 CMIP5 전구기후모형 자료를 사용하였음. 미래변 화 상세 전망을 위해 지역기후 접합모형의 초기 및 경계 조건으로 사용된 전 지구 모형자료는 CMIP5 과거재현 실험에서 한반도 주변해를 잘 모사하는 모 형의 표준 출력자료를 사용함

3.3. 한반도 주변해 미래변화 상세전망도 제시 및 전망 불확실성 평가

○ 지역기후 통합모델링 시스템에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해 한반도 주변해 미래 변화 상세전망도를 제시하고 이를 통계 분석

○ 한반도 주변해 미래변화 전망 불확실성 제시 및 통합전망도 제시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