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PCC 평가보고서 대응 해양기후변화 연구 체계 수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IPCC 평가보고서 대응 해양기후변화 연구 체계 수립"

Copied!
84
0
0

Teks penuh

서 론

연구기획 필요성 및 목적

이에 따라 해양기후변화 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후 모델은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지역기후 모델링 연구동향

한국기후변화평가보고서에도 해양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기술되어 있으나 대기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IPCC는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한반도 주변해 기후변화 연구동향

이에 따라 6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기후변화 연구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룰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를 둘러싼 기후변화는 다양한 해양 및 대기 변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기획의 배경

[특별과제Ⅰ]의 목적은 ① 한반도 주변해역을 포함한 북서태평양 지역의 지역기후모델이다. ②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 적합한 전 지구적 모델 선정 ③ 미래 환경변화 대응자료로 활용될 북서태평양 지역 기후모델 개발.

그림 2.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그림 2.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한반도 주변해 해양기후변화 연구 진단 및 IPCC 기여 활성화 방

한반도 주변해 해양기후변화 연구 진단

한반도 해안선의 단기, 중기, 장기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해안침식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장기적인 해안선 변화와 표면 바람 및 해수면의 미래 변화를 예측합니다.

표 2. 수산자원의 연구동향 및 문제점, 향후 연구주제
표 2. 수산자원의 연구동향 및 문제점, 향후 연구주제

해양분야 IPCC 활동 및 평가보고서 기여 활성화 방안

북태평양 서부 지역 기후 모델 개발의 필요성.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양의 미래변화에 대한 상세한 예측과 불확실성 평가의 필요성. 해양-대기 결합 모델로 예측한 한반도 주변 해양의 미래 변화 전망.

또한 해상 전용 모델, 단방향 및 양방향 조인트 모델에 대한 향후 변화를 예측하였다.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국내에서 해양전용모델을 이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미래 변화에 대한 전망이 가능하다. 태평양 북서부 지역 기후모델 구축을 위한 자료입력시스템 구축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북서태평양 순환모델 수립. 북서태평양 지역의 해양 순환 모델 구축.

그림 4. 기상청 CORDEX-EA 도메인 및 특징
그림 4. 기상청 CORDEX-EA 도메인 및 특징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국내·외 연구 동향

기존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 해수면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주변해역의 기후변화 영향을 상세하게 모의하기 위해 역학저감법을 적용한 지역기후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일방연계모델을 모델로 하여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고려한 양자연계모델(RCCM, Regional Climate Coupled Model)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역 공동 기후 모델의 해외 개발이 매우 활발합니다. COAWST(Coupled-Ocean-Atmosphere-Wave-Sediment Transport Modeling System)는 USGS에서 퇴적물 이동 등 해안 변화 연구를 위해 개발한 결합 모델로 MCT(Model Coupling Toolkit)를 이용해 결합한 모델이다. 외, 2010). 생태계 모델 연구는 지역 생태계 예측과 전지구적 생지화학적 교류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림 7. 2050년의 평균 수온과 2001 년의 평균 수온의 차이(MIROC-규모축소, MPI-규모축소, UKMO-규모축소)
그림 7. 2050년의 평균 수온과 2001 년의 평균 수온의 차이(MIROC-규모축소, MPI-규모축소, UKMO-규모축소)

연구 내용

이를 위해서는 결합된 해양-대기 모델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USGS COAWST를 이용하여 대기모형(WRF)과 해양모형(ROMS)을 결합하여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재현하고 이에 따른 미래변화관점을 제시한다. 글로벌 모델의 세부 요소에 따른 모델 평가 및 선정

다양한 미래 기후 시나리오와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미래 변화의 불확실성을 평가한다. 지역 기후 모델을 사용하여 미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CMIP5 및 유사한 지구 온난화(GWP) 방법이 현재 기후 값과 함께 사용됩니다.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사용된 CMIP5 전지구기후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한 지구온난화 기법을 이용한 미래변화 예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14. 북서태평양 지역기후모형의 영역. 화 살표는 해류를 나타내며 색은 해면수온을 나타 냄
그림 14. 북서태평양 지역기후모형의 영역. 화 살표는 해류를 나타내며 색은 해면수온을 나타 냄

연구추진 계획

세부과제의 단계별 및 연간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I. 해양환경모델 세부변수 값 조정 및 민감도 실험. 대기 모델 민감도 실험을 통한 모델 최적화

다양한 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의 미래 변화를 구체적으로 전망한다. 한반도의 미래 변화에 대한 포괄적인 가능성도 제시한다. 통합 구조 및 시스템에 대한 향후 변경 사항에 대한 세부 옵션.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동아시아 연변해의 해수면 변화를 재현하기 위한 모델 개발.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해수면 변화를 예측하려는 미래의 시도. 를 이용하여 미래 해수면 변화를 예측하는 실험을 하였다.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수면 시뮬레이션 실험 및 CMIP5 해수면 예측모델 평가. 한반도 주변 해역의 미래 해수면 변화 전망. 한반도 주변해역 및 연안해역의 향후 해수면 변화 전망 2.

해수면 변화 예측 실험은 해양 모델에 대해서만 수행하였다. 미래의 해수면 변화는 한반도 주변에서 증가합니다.

그림 17. 21개의 CMIP5 다중모형 앙상블 평균 해수면 미래변화(미 래(2081-2100)-현재(1986-2005)), (a)RCP 2.6, (b)RCP 4.5, (c)RCP 6.0, (d)RCP 8.5 (Church et al., 2013)
그림 17. 21개의 CMIP5 다중모형 앙상블 평균 해수면 미래변화(미 래(2081-2100)-현재(1986-2005)), (a)RCP 2.6, (b)RCP 4.5, (c)RCP 6.0, (d)RCP 8.5 (Church et al., 2013)

세부과제 요약

세부과제 Ⅰ

세부과제 Ⅱ

전체 연차별 연구목표

전체 연차별 소요예산

연구추진 방향 및 전략

기초연구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주변국과의 원활한 연구협력체계 구축 필요 - 해외 선진 연구기관과의 원천모델기술 및 모델링시스템 구축기술 확보 중국 FIO(The First Institute of Oceanography), NMEFC(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Forecasting Center), NMEMC(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Center)와의 공동 연구를 통한 황해 생물지화학적 데이터 및 하천 영향 데이터 획득 - 선진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획득 생지화학적 데이터 동화 기술.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참고문헌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tocker, 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D. Lim, 2011 , Investigating steric and non -steric effect on projections of sea level rise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Workshop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gional Climate Models, Re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M.L. Mansurov, 1993, Seasonal sea level oscillations in the Baltic Sea,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8, 1-16. Oh, 2011, Effects of the Changjian River discharge on sea surface heating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in summer, Cont.

Gambar

그림 2.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그림 3. 추진체계
표 1. 지역기후모형의 연구동향 및 문제점, 향후 연구주제
표 2. 수산자원의 연구동향 및 문제점, 향후 연구주제
+7

Referensi

Dokumen terkait

연구책임자 소속 경희대학교 직위 교수 성명 강인애 연구과제명 스마트 러닝을 통한 교양기초교육 콘텐츠 확산 방안 연구 연구결과 개 요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실태와 국내외 스마트 러 닝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들을 토대로 대학 간 교양기초교육 콘텐츠 의 활발한 교류와 확산을 위한 ‘스마트 러닝 기반 교양기초교육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산업용 로봇의 기동 스위치 등에 작업 중의 뜻을 표시하는 등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이외의 자가 해당 기동스위치 등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는 것 제150조의4운전 중의 위험의 방지 사업자는 산업용 로봇을 운전하는 경우교시 등에 의 해 산업용 로봇을 운전하거나 산업용 로봇 운전 중에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