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반도 주변해 지역기후 접합모형(RCCM) 수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한반도 주변해 지역기후 접합모형(RCCM) 수립"

Copied!
113
0
0

Teks penuh

연구과제명 주요과제 한반도 지역기후접합모델(RCCM) 구축. 본 연구과제에서는 지역기후의 해양-대기 결합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결합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한반도 주변 해역의 세부변화 전망을 모델링하였다. 한국지역기후접합모형 , 동적축소화 , 기후변화 , 북서태평양순환 , 한국.

한반도 지역기후접속모형(RCCM) 구축.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지역기후연계모델 구축 및 향후 세부 변화모델 제시 2. 개발된 연계모델은 다양한 해양 및 기후 연구에 활용 가능.

과거의 재현 시도와 성공이 교차하는 동해의 모델. 따라서 복합모형 실험은 북서태평양의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변화의 세부사항을 보여주는데 초점을 두었다. 성능은 초기에 설정한 접합부 모델로 가상 태풍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국문: 지역기후연계모형, 동적축소, 기후변화, 북서태평양순환, 한국주변해역 영문: 지역기후연계모형, 동적축소, 기후변화, 북서태평양순환, 한반도주변해역.

기술적 측면

경제·산업적 측면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금세기 말까지 기후변화와 관련된 비용은 80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사전 준비와 시행착오의 최소화를 통한 원가절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

기술원 고유기능 발전과의 연관성

연구개발의 목표

연차별 연구개발 세부목표 및 내용

지역 기후 결합 모델을 사용하여 한반도 주변 바다의 미래 변화에 대한 초기 실험.

연구 추진계획 및 수행 방법

해양/대기 성분모형 수립

결합모델의 대기성분모델로는 지역기상모델링 및 수치예보에 많이 사용되는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모델을 사용하였다. 서북태평양 통합 모델의 지역은 기존 발트해 모델의 해양/대기 지역이다. 해양만의 미래 변화 실험에서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많이 상승했다.

대기 모델 COMAMPS 및 해양 모델 ROMS는 접합자 MCT와 결합됩니다. 기후 예측을 위해 GOM(Global Ocean Model)인 MOM3는 GRIMs-GMP 모델과 결합됩니다. 지역 기후 결합 모델의 개발은 매우 활발합니다.

그러나 지역 기후 결합 모델을 이용한 미래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는 빈약하다. 퇴적물의 이동 등 연안변화 연구를 위해 개발된 커플링 모델로 MCT(Model Coupling Toolkit)라는 커플링을 사용하여 대기(WRF), 해양(ROMS), 웨이브(SWAN) 및 퇴적물(CSTM) 모델 간의 커플링을 수행하였다. . 접합 모델은 이상적인 허리케인과 관련된 연구에 사용됩니다.

WRF-ROMS-PISCES(Biogeochemical Model) 노드 시스템 개발 ② 서북태평양 구성요소 모델의 성능검증. 북서태평양의 접합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해양성분모델의 시뮬레이션 성능을 검증하였다.

가상 태풍 실험을 통해 초기 구축된 조인트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북태평양 복합모델의 구성요소 모델 중 해양구성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변화 실증을 제시하였다. 지역 기후 노드 모델의 미래 변화 세부 사항 시연.

이진영, 장찬주, 고철민을 활용하여 바다와 대기와 관련된 모델 만들기. RCCM(Regional Climate Conjunctive Model) 구축 및 미래 해양변화 전망 지역 기후 결합 모델(RCCM) 및 기후 변화 예측(초기 결과) 수립.

RCCM(Regional Climate Junction Model) 구축 및 기후변화에 적용

Fig. 1. (Left) Bathymetry of the East Sea model and (right) monthly volume transport through the straits near Korea
Fig. 1. (Left) Bathymetry of the East Sea model and (right) monthly volume transport through the straits near Korea

Gambar

Fig. 1. (Left) Bathymetry of the East Sea model and (right) monthly volume transport through the straits near Korea
Fig. 2. Monthly mean meridional geostrophic current (m s -1 ) at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East Sea model
Fig. 3. Monthly mean temperature of sea water (℃) at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East Sea model
Fig. 4. Monthly mean salinity at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East Sea model
+7

Referensi

Dokumen terkait

Pengukuran risiko apa yang akan menjadi faktor penyebab munculnya risiko operasional dan risiko turunan yang muncul akibat adanya risiko operasional yang dilakukan dengan met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