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주관적 건강인식, 의료이용 관련 요 인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신체활동 수준, 주관적 건강인식, 의료이용과 관련 있다고 판단된 변수를 연구 변수로 선정하였다. [표3 참조]
[표 3] 본 연구의 변수
변수 세부변수 측정 비고
종속변수
신체활동 수준
(종속변수1)
0 : 비활동군 (Inactive) 1 : 최소활동군
(Minimally Active) 2 : 활동군 (Active)
한글판 단문형 IPAQ 사용 분류
주관적
(종속변수2)건강인식 0 : 좋음 1 : 보통·나쁨
‘좋음’(매우 좋음, 좋음),
‘보통·나쁨’(보통, 나쁨, 매우 나쁨)3)
의료이용(입원)
(종속변수3)
입원이용 있음 입원이용 없음 입원이용 총 횟수 총 입원일 수
지난 1년간 당일 입원(낮 입원), 중 환자실, 한방 및 치과의 입원을 포 함하여 입원이용 여부와 횟수, 입 원일수 측정.
독립변수
인구사회학적 요인 변수
성별 0 : 남성
1 : 여성
연령 0 : 65-74세 1 : 75-84세
2 : 85세 이상
결혼상태 0 : 기혼
1 : 이혼·별거·사별·미혼
교육수준
1 : 초등학교 이하 2 : 중학교
3 : 고등학교 4 : 대학교 이상
3) 주관적 건강인식 질문은 많은 연구에서 개인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음’을 예측 변수로 설정하고 있어 이를 근거로 ‘보통·나쁨’과 ‘좋음’으로 나눔(Confortin SC,
소득수준
1 : 소득1분위 2 : 소득2분위 3 : 소득3분위 4 : 소득4분위 5 : 소득5분위
균등화 소득 이용 (가구들 간 가구원 수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가구소득을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산출함)
경제활동 0 : 무
1 : 유
의료보장형태 1 : 건강보험2 : 건강보험 외
(의료급여, 특례자)
건강요인 변수
만성질환 0 : 없음 1 : 1개
2 : 2개 이상
장애 0 : 무
1 : 유
체질량 지수 (BMI)
1 : 정상체중 2 : 저체중
3 : 과체중 WHO4) 기준에 근거
흡연 1 : 비흡연
2 : 과거흡연
3 : 현재흡연
음주 1 : 비음주
2 : 과거음주 3 : 현재음주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0 : 독립적 1 : 의존적
옷 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이동하기,
화장실출입, 대 소변조절 의존적: 각 항목 중 한 가지라 도 부분적 혹은 전적으로 도움 이 필요한 경우
독립적: 모든 항목을 타인의 도움 없이 할 수 있는 경우5)
4)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apps.who.int/bmi/index.jsp?introPage=intro_3.html)
5) 정지연․김준수․최현정․이가영․박태진(2009). 한국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년) 자료를 중심으로. 가정의학회지, 30(8), 598-609.
제 2 절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대상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서 한국의료패널에서 제공하고 있는 가장 최근 자료인 9차년도 데이터(Ver.1.3, 2014)을 이용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연구윤 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면제대상 승인을 받았다(IRB No. E1806/001-005).
한국의료패널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컨소시엄으 로 2008년 1차 년도 조사를 시작으로 매년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의료 이용행태와 의료비 지출 규모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의료이용 및 의료 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의료패널은 전국 규 모의 조사사업으로 개인과 가구의 동태적인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 변 동을 세부적으로 추적한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미시적인 자료와 이를 취 합한 거시적인 국민의료비 지출 규모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보건의료 전문 패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건강행태 중 신체활동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인 IPAQ(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조사되고 있어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국민건강보험, 2017).
본 연구에서는 조사 시점 당시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 동과 주관적 건강인식 및 의료이용 설문에 결측없이 응답한 3.096명이 최종분석대상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