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조사는 총 4가지의 데이터를 분석하며, 인터뷰 전 단계에서는 그 중 2가지인 스크린 캡처 이미지와 앱 사용 로그를 수집한다. 연구자와 조사 참가자 각각의 측면에서 단계별 세부 수행 내용은 [그림 10]과 같 다.
그림 10. 연구자와 실험 참가자의 프로세스별 수행 역할
(1) 캡처 이미지와 사용 로그 데이터 수집
우선 스크리닝을 통해 선별된 참가자에게 데이터 전송과 로그 추적 앱에 대한 1차 가이드를 배포한 후, 홈 화면과 앱서랍 화면 캡처 이미지 를 MIM(카카오톡)을 통해 전달받았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에 따라 로 그 수집 앱 설치와 옵션 변경(알람 OFF, Accuracy를 High 모드로 변경) 이 올바로 수행되었는지 확인 과정을 거쳤다. 전 조사 기간 동안 모든 파일 전송과 커뮤니케이션은 MIM을 통해 진행하였다. MIM의 특성상, 즉각적인 확인과 대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메일이나 문자에 비해 지 원되는 세부 기능이 많고 더 친숙한 소통 채널이라는 장점이 있었다.
사용 로그는 사람들의 기억에 의존한 설문과 인터뷰를 객관적으로 보완하고 비침투적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한 것으로, 전통적 사회과 학 연구에서부터 최근 빅데이터 연구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로그 데이터는 재가공과 해석의 과정이 중요하며, 수집 과정에서도 사람 들의 프라이버시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사용 로그 측정을 위해 ‘App
Usage Tracker’29라는 앱을 활용했다. 이는 직접 홈 화면에 보이는 앱을 기준으로 사용 시작 시각과 수행 시간을 기록해주며 동시에 실행되는 다른 앱은 기록하지 않는다. 특히, 사생활 보호를 위해 추적을 원하지 않는 앱을 선택적으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11. ‘App Usage Tracker’ 앱 화면
(좌: 전체 리스트 보기, 우: 개별 앱 수행 시간(초)/Day)
참가자들에게 ‘App Usage Tracker’를 7일 동안 ‘High Accuracy’ 모 드(세팅에서 설정)로 사용하게 했으며, 사용 로그 데이터는 앱의 ‘내보내 기’ 기능을 통해 메일로 전달받았다.
(2) 반구조화 인터뷰 진행
데이터로 확인되지 않는 사항을 비롯해 전반적인 앱 관리와 배치 행태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선 캡처 화면과 사용 로그를 비교해 참가자별 인터뷰용 PPT를 제 작하였다. 이 인터뷰 PT 자료를 바탕으로, 참가자의 상황에 따라 대면인 터뷰 또는 전화와 인스턴트메신저 병행 인터뷰 2가지 중 하나로 진행했 으며, 모든 인터뷰 내용은 동의하에 녹취되었다. 30명의 참가자 중 6명 은 대면 인터뷰를 수행했으며 24명은 전화와 PC 메신저(카카오톡 PC 버전)로 이를 대신했다. 대면 인터뷰의 경우 태블릿 PC를 사용해 PT 자 료를 즉석에서 공유했으며, 전화 인터뷰는 PC 메신저로 송부한 PT 자료
29 현재 iOS 버전은 없으며, Android OS의 Google Play에서만 다운 가능하다.
를 바탕으로 순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반구조화 형식으로 참가자별로 약 50분이 소요되었다.
홈 화면 관리에 관해 크게 4가지 측면에서 질문했다. 먼저 홈 화면 을 변경하는 동기와 기준이 무엇인지를 물은 후, 심리적으로 자주 사용 한다고 여겨지는 앱이 무엇이며 그 위치는 어떻게 되는지 실제 사용자 의 화면 구조를 본떠 만든 [그림 12]와 같은 템플릿을 활용해 질문하였 다. 그 후, 실제 본인의 사용 로그 데이터와 화면을 보여주며 실제와 어 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림 12. 앱 위치 질문에 활용한 사용자별 템플릿(P11)
그 뒤, 참가자의 홈 화면과 앱서랍 화면을 함께 보면서 각 페이지별 객체의 형태와 위치에 대해 질문했으며,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을 처음 구 매했다고 가정하고 이를 초기에 어떤 방식으로 커스터마이징 하는지 설명하게 하였다. 각 과정에서 참가자의 실제 화면을 보여준 결과, 본인 이 수행했던 관리 방식을 당시 맥락과 함께 효과적으로 상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온라인 설문조사 진행
스마트폰 정보 공간은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홈과 앱서랍 공간이 있고, 그 외 정보 활동을 도와주는 알림 바(Notification Bar)와 최근 화면(Recents Screen)이 있다. 이는 각각 스마트폰 사용에서 의 정보 알림을 수집해 보여주고, 멀티 작업이나 순차적 작업에서의 내 비게이션을 도와주며 홈 화면 객체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홈 화면 에 배치된 앱의 전반적인 접근 방식을 파악하고자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홈 화면에 배치된 앱의 수행과 전반적인 접근 방식을 이해하고자 Google Survey 툴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참가자 에게 설문 조사 링크를 MIM으로 전달했으며, 질문 구성에서는 [그림 13]과 같이 상단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이미지를 삽입하고, 2개의 주관 식 문항 외에 모두 5점 척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림 13. 온라인 설문 조사 화면
홈 화면에 배치된 앱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의 앱을 추려, 실제 홈 화면을 통해서 접근하는 비중을 5점 척도로 질문하였다. 또한, 수집한 로그 데이터는 앱 내부 링크를 통해 다른 앱을 간접적으로 접근 하는 경우도 빈도로 측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홈 화면 접근을 파악하 기가 어렵다. 따라서 조사 B의 ‘캡처 이미지와 사용 로그 데이터 수집 및 가공’에서의 유효 빈도 처리에 활용하고자, 인터뷰를 분석해 대표적 인 앱 간접 수행 케이스 17가지를 선별하였다. 실제 문항에서는 각 케 이스에 대한 간접적 수행 비중을 5점 척도로 답변하게 했으며, 이를 유 효 빈도 필터링의 근거로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