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경화부의 조직특성 분석
4.4.1 열처리 부위별 미세조직 분포
지 않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영역 중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지 못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로 남게 되는 것이다.
Fig. 4.22(c)의 모재와 경화부 사이인 경계부위에서는 상부에는 마르텐사이트 와 일부 잔류 오스텐아니트가, 그리고 하부에는 층상의 펄라이트 조직이 관찰 되고 있다. 이러한 조직적 특징은 경계부위가 경화부의 끝단으로 열원의 영향 을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재료 내부와의 온도구배도 상부에 비 해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의 확산이 충분치 않아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 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도 존재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 다.
경화조직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서 SEM 장비를 이용하여 5,000배의 배율까지 관찰하였으며, 각 부위별 관찰 사진을 Fig. 4.23에 정리하였다. (a)는 모재 사진으로 암색의 구상흑연과 그 주변에 페라이트, 그리고 흰색 줄무늬의 시멘타이트로 구성된 펄라이트가 기지조직을 이루고 있다. 시멘타이트와 페라 이트가 층상으로 뚜렷하게 구분이 되어 있는데, 이는 에칭액에 대한 부식정도 의 차이에 따라, 페라이트가 시멘타이트보다 부식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b)는 경화부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흑연과 그 주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존재하고 있으며, 기지조직이 펄라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 사진에서는 상부쪽에서 마르텐사이트와 일부 잔류 오스테나이트, 그리고 하 부쪽에는 열영향으로 인해 약간 일그러진 펄라이트 조직으로 구성된 경계부위 를 볼 수 있다.
(a) Base metal
Fig. 4.22 Microstructures in hardened zone of FCD550 FCD550, PL : 3.5kW, v : 3mm/s, GS : Ar 20ℓ/min
A A
Hardened zone
Base metal
A
B B
Spheroidal graphite Ferrite
×25 ×100
B
C C
C
Spheroidal graphite
Ferrite Pearlite
×500 ×1,000
(b) Hardened zone Fig. 4.22 To be continued FCD550, PL : 3.5kW, v : 3mm/s, GS : Ar 20ℓ/min
A
Hardened A
zone
Base metal
A
B B
Spheroidal graphite Ferrite
×25 ×100
B
C
B
C C
C
Spheroidal graphite
Retained austenite Martensite
×500 ×1,000
(c) Interface between hardened zone and base metal Fig. 4.22 To be continued
FCD550, PL : 3.5kW, v : 3mm/s, GS : Ar 20ℓ/min
A
Hardened A
zone
Base metal
A
B B
×25 ×100
B
C C
C
Martensite
Pearlite
×500 ×1,000
Fig. 4.23 SEM photos of hardened zone on FCD550
A A A
A
B
A
B
A
B
C
B
C
B
C
B
C C C
(a) Base metal (b) Hardened zone (c) Interface
(2) HD700 소재의 미세조직
HD700 소재를 모서리부 최적 조건에서 열처리한 후 광학 현미경을 통해 각 부위별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그 대표적인 사진을 Fig. 4.24에 나타내었다.
Fig. 4.24(a)의 모재조직은 완전 구상화된 흑연과 그 주변에 펄라이트가 분포 되어 있는 펄라이트형 구상흑연 주철의 조직 분포를 보이고 있다. FCD550과 같은 구상흑연 주철이지만, HD700은 흑연 주위에 페라이트가 존재하지 않고 흑연과 펄라이트로만 조직을 이루고 있는 구상흑연 주철이다.
Fig. 4.24(b)의 열처리 경화부 조직은 구상의 흑연과 매우 미세한 침상의 마르 텐사이트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며, FCD550 소재와 같은 흑연 주위의 잔류 오 스테나이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저배율(25, 100배)에서 보이는 밝은색 부분은 경도 측정시 매우 높은 경도값을 나타낸 영역으로 확인하였기 때문에 잔류 오 스테나이트가 아닌 에칭 정도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c)의 경계부 위에서는 역시 하부의 펄라이트와 상부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관찰되었다.
HD700 소재의 SEM 사진은 Fig. 4.25에 나타내었다. (a)는 모재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구상화된 흑연과 시멘타이트가 매우 치밀하게 분포되어 있는 펄라이 트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Fig. 4.25(b)는 경화부로 구상화 흑연과 마르텐사이트가 관찰되며, 일부 시멘 타이트로 판단되는 조직도 보인다. HD700의 모재 조직은 (a)에서 보이듯이 페 라이트 영역이 매우 좁게 나타나며 시멘타이트가 매우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펄라이트 조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오스테나이트 영역의 온도로 가열되 었어도 일부 시멘타이트는 분해되지 못하고 계속 잔존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 다.
다음으로 경계부위 (c)를 살펴보면 상부에서는 경화부에서와 같은 마르텐사이 트와 일부 시멘타이트가 관찰되는데, 경계부위에서 시멘타이트가 좀 더 선명하 게 관찰되는 이유는 경계부위가 경화영역의 최하부이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온 도로 가열되어 시멘타이트가 경화부보다 덜 분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경계부위 의 하부에서는 열영향에 의해 시멘타이트가 미세해지고 약간 일그러진 펄라이
트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모서리부의 열처리 특성상 모서리부에 입열이 집중되므로 상대적으로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a) Base metal
Fig. 4.24 Microstructures in hardened zone of HD700 HD700, PL : 3.0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Spheroidal graphitePearlite
×500 ×1,000
(b) Hardened zone Fig. 4.24 To be continued HD700, PL : 3.0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Spheroidal graphiteMartensite
×500 ×1,000
(c) Interface between hardened zone and base metal Fig. 4.24 To be continued
HD700, PL : 3.0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MartensitePearlite
×500 ×1,000
Fig. 4.25 SEM photos of hardened zone on HD700
A A A
A
B
A
B
A
B C
B
C
B
C
B
C C C
(a) Base metal (b) Hardened zone (c) Interface
(3) HCI350 소재의 미세조직
회주철인 HCI350 소재를 열처리 적정 조적에서 평면 열처리를 실시한 후 광 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모재, 경화부 및 경계부위의 미세조직을 관찰 하고, 그 사진을 Fig. 4.26에 나타내었다.
Fig. 4.26(a)의 모재 조직을 살펴보면, 구상흑연 주철인 FCD550과 달리 검은색 의 편상 흑연이 뒤엉키듯 존재하고 있으며, 기지조직은 완전한 펄라이트로 구 성되어 있다. 또한 곳곳에 각형(square shape)의 스테다이트(steadite, 인화철공정 조직)가 존재하고 있다. 흑연의 분포가 FCD550의 구상흑연과 달리 사진과 같이 편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아 평면 열처리 실험 시 HCI350 소재가 FCD550 소재보다 조금 더 높은 출력에서 열처리 될 수 있 었다.
다음으로 Fig. 4.26(b)는 경화부의 사진으로 흑연 주위에 침상의 마르텐사이트 가 전체적으로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의 경계부위는 현미경사 진 상으로는 뚜렷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상부에는 마르텐사이트가, 그 리고 하부에서는 펄라이트가 관찰되었다.
HCI350 소재 역시 SEM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Fig. 4.27에 각 부위별로 나타 내었다. 우선 모재 조직인 (a)를 보면, 검은 색의 흑연 주위에 밝은 색의 시멘타 이트로 구성된 펄라이트와 회색 바탕의 페라이트 조직이 존재한다. HCI350 역 시 매우 치밀한 펄라이트 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b)의 경화부 사진은 기지조직 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한 것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분해되지 못한 시멘타이트가 잔존해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다음으로 (c)는 HCI350 소재의 경계부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상부쪽에는 마 르텐사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진 상으로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하부쪽에는 펄라이트가 관찰되고 있다.
(a) Base metal
Fig. 4.26 Microstructures in hardened zone of HCI350 HCI350, PL : 3.7kW, v : 3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steadite
×25 ×100
C
D D
D
graphitePearlite
×500 ×1,000
(b) Hardened zone Fig. 4.26 To be continued HCI350, PL : 3.7kW, v : 3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graphite
×25 ×100
C
D D
D
graphite Martensite
×500 ×1,000
(c) Interface between hardened zone and base metal Fig. 4.26 To be continued
HCI350, PL : 3.7kW, v : 3mm/s, GS : Ar 20ℓ/min A
B
Hardened B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graphite Martensite
Pearlite
×500 ×1,000
Fig. 4.27 SEM photos of hardened zone on HCI350
A A A
A
B
A
B
A
B C
B
C
B
C
B
C C C
(a) Base metal (b) Hardened zone (c) Interface
(4) FC300 소재의 미세조직
Fig. 4.28에 FC300 소재의 열처리 후 미세조직을 나타내었다. (a)의 모재 조직 은 편상 흑연이 존재하고 있으며, 기지 조직은 완전한 펄라이트와 일부 각형의 스테다이트로 구성되어져 있다. (b)는 경화부 사진으로 흑연 주의에 침상의 마 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색의 조직이 분포하고 있다. 이는 모재 내 의 스테다이트 조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다시 말해 스테다이트는 Fe 와 Fe3C, 그리고 Fe3P의 3원계 공정상으로 융점이 약 960℃ 부근이다. 따라서 열처리시 우선적으로 용융하게 되며, 주변의 스테다이트와 융합 또는 성장하여 이와 같은 조직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c)는 경화부와 모재 사이로, 마르텐사이트 조직과 펄라이트 조직이 관찰되고 있다.
Fig. 4.29은 SEM 장비를 이용하여 경화 조직을 고배율로 관찰하고 각 부위별 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모재 조직은 검은색의 흑연과 회색의 페라이트, 그리고 밝은 색의 시멘타이트로 구성되어져 있다. (b)의 경화부 사진에서는 아주 치밀 하게 분포되어 있는 침상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관찰되었다. 경계부위인 (c)에 서는 상부의 마르텐사이트와 미세하게 분포된 하부의 펄라이트가 혼재되어 있 는 것을 확인하였다.
(a) Base metal
Fig. 4.28 Microstructures in hardened zone of FC300 FC300, PL : 3.5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B
B
C C
×25 ×100
C
D D
D
Pearlite
×500 ×1,000
(b) Hardened zone Fig. 4.28 To be continued FC300, PL : 3.5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Hardened B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graphiteMartensite
×500 ×1,000
(c) Interface between hardened zone and base metal Fig. 4.28 To be continued
FC300, PL : 3.5kW, v : 10mm/s, GS : Ar 20ℓ/min
A
B B
Hardened zone
Base metal
B
C C
×25 ×100
C
D D
D
MartensitePearlite
×500 ×1,000
Fig. 4.29 SEM photos of hardened zone on FC300
A A A
A
B
A
B
A
B
C
B
C
B
C
B
C C C
(a) Base metal (b) Hardened zone (c)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