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열처리 적용부위에 따른 경화특성 비교

4.1 다이오드 레이저의 표면경화 특성

4.1.4 열처리 적용부위에 따른 경화특성 비교

일단 평면 열처리와 같이 기본적인 공정변수인 레이저 출력과 빔의 이송속도 를 변화시키면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그 경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편 소재는 금형공정에 맞추어 구상화흑연 주철인 HD700을 사용하였다. Fig. 4.7에 최적 열 처리 조건을 나타낸 10 mm/sec에서의 출력별 표면 및 단면 사진을, 그리고 경화 길이(Lh) 및 깊이(Dh)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HD700 소재의 모서리부 최적 열처 리 조건은 이송속도가 10 mm/sec일때 레이저 출력 3.0 kW이며, 평면 열처리시와 마찬가지로 적정 조건 미만의 출력에서는 표면에 발색만을 나타내었고, 초과한 출력에서 표면 용융이 발생하는 제한적인 열처리 범위를 나타내었다. 다만 모 서리부 형상에 기인하여 평면 열처리보다 빠른 이송속도에서 경화가 이루어졌 는데, 역시 모서리부의 한정적인 열전달로 인하여 입열을 적게 제어하기 위해 이송속도가 증가한 것이다.

Fig. 4.8은 빔의 이송속도가 10 mm/sec일때 레이저 출력이 3.0 kW와 3.5 kW의 경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모서리부의 경도 역시 최적 열처리 조건인 3.0 kW 미만의 출력에서 모재와 열처리부간의 경도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 적 조건인 3.0 kW에서 길이방향으로 최대 경도 900 Hv, 평균 경도 800 Hv로, HD700 소재의 모재 경도 240~280 Hv에 비해 약 3배 정도 상승하였으며, 폭방

향으로 0.8 mm까지 경화되어 평면 열처리에서와 같이 경화처리가 잘 이루어졌

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길이방향으로 약 5 mm 정도에서부터 경도가 완만한 분 포를 이루면서 열영향부(HAZ)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으로는 모서리부 의 레이저 조사시에 기울어진 빔의 영향으로 모서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비초 점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빔이 기울어진 상태로 조사되면 작동거리인 모서 리부를 제외한 부분은 비초점거리로 작용하여 파워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레

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며, 옆면도 표면과 맞닿아있어 냉각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서 템퍼링구간이 형성되지 않고 경화부와 모재 사이의 경계가 명확해졌다고 판 단된다. 레이저 출력이 3.5 kW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에 의해 표면에 용 융이 발생하였으나 높은 파워밀도에 의해 템퍼링 구간이 없는 긴 경화 길이 및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모서리부에 대한 열처리를 실시하는 동안에도 평면과 마찬가지로 온도센서를 통하여 시험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였으며, Fig. 4.9에 이송속도 10 mm/sec에서 의 출력별 표면온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표면온도의 변화는 레이저 조사 후 2 초 이내에 표면의 등온구간까지 급격히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온도 상승은 평 면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빠른 변화로, 앞서 설명한 모서리부의 열전도 특성 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평면 열처리시의 온도변화에 비해 등온구간 에서의 온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시험편의 모서리 끝단에 잔류하고 있는 버(bur)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실험 전 버를 제거하여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각 출력별 표면온도를 살펴보면, 우산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3.0 kW에서는 등 온구간의 온도가 약 1,000℃정도로, 평면 열처리시 최적 조건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 1,070℃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 용융이 발생한 3.5 kW는 표면온도가 흑연의 공정온도와 비슷한 약 1,150℃ 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평면 열처리 온도보다 모서리부의 열처리 온도가 저하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모서리 측정에 따른 온도센서의 계측 오차일수도 있지만, 그 보다는 모서리부 열처리 조건이 평면에 비하여 매우 빠른 이송속도에서 이루어 지는 점을 미루어볼 때 역시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른 열전달의 영향에 의한 것 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a) Surface and cross section HD700; v= 10mm/sec, Gs : Ar 20ℓ/min

Photos

PL(kW) Surface Cross section

2.0

2.5

3.0

3.5

Melting

l

d

3mm 3mm

Position

Graph Hardened length, l(Lh) Hardened depth, d(Dh)

Variation of hardened zone

2 4 6 8 10

Hardened length, Lh(mm)

Non-

treating Treating Melting 0.5

1.0 1.5 2.0 2.5

Hardened width, Wh(mm)

Non-

treating Treating Melting

Fig. 4.8 Hardness distribution on edge position at traveling speed 10 mm/sec

Position

Power Length direction Depth direction

3.0kW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0 200 400 600 800 1000 1200

Hardness,Hv

Hardened length, Lh(mm) Base metal

Hardened zone

HAZ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2.2 2.4 0

200 400 600 800 1000 1200

Hardness, Hv

Hardened depth, Dh(mm) Base metal

Hardened zone

3.5kW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0 200 400 600 800 1000 1200

Hardness,Hv

Hardened length, Lh(mm)

Base metal

Hardened zone

0.0 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2.2 2.4 0

200 400 600 800 1000 1200

Hardness, Hv

Hardened depth, Dh(mm) Base metal

Hardened zone

Fig. 4.9 Surface temperature graph with laser power on edge position HD700, v = 10mm/sec, Gs : 20ℓ/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