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논 의
1. 노쇠 상태의 변화
- 48 -
Values are Mean ± SD, **p<.05, †p<.1
[그림 4-1 노쇠 상태 변화 그래프(점)]
- 50 -
4. 근력의 변화
4.1 근력의 변화
본 연구에서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 후 네 그룹의 근력의 변화는 [표 6-1]에 제시한 바와 같다.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근력 중 악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5), 다리 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악력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고(p>0.05), 다리 근력은 건강 교육군(p<0.1)과 운동군, 운동+영양 교육군(p<0.05)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Values are Mean ± SD, **p<.05, †p<.1
[표 6-1 근력의 변화]
구분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악력(k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2.04±3.14 22.76±4 21.32±2.4 22.26±3.91
21.16±3.08 23.53±3.25 20.88±2.46 23.24±3.8
0.225 0.161 0.686 0.306
0.316
다리 근력 (k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53.94±10.02 44.77±13.8 27.68±3.67 36.31±10.88
45.6±4.15 51.6±12.7 34.04±12 46.18±9.43
0.08†
0.012**
0.225 0.003**
0.012**
4.1.1 다리 근력의 변화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다리 근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53.94±10.02 44.77±13.8 27.68±3.67 36.31±10.88
45.6±4.15 51.6±12.7 34.04±12 46.18±9.43
0.08†
0.012**
0.225 0.003**
0.012**
Values are Mean ± SD, **p<.05, †p<.1
[표 6-2 다리 근력의 변화 결과표(kg)]
Values are Mean ± SD, **p<.05, †p<.1
[그림 5-1 다리 근력 변화 그래프(k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다리 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p<0.05), 건강 교육군(p<0.1)과 운동군, 운동+영양 교육군(p<0.05)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5.1 영양 섭취량의 변화
본 연구에서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 후 네 그룹의 영양 섭취량의 변화는 [표 7-1]에 제시한 바와 같다.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영양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지방: p<0.1, 그 외 변인: p<0.05). 시간에 따른 변화는 운동군이 모든 영양 섭취량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영양 교육군은 에너지 섭취량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운동+영양 교육군에서는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 나트륨 섭취량, 철 섭취량이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구분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에너지 (Kcal)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1194±257.17 2931.5±464.5 1054.5±281 2603.5±841.2
1146.7±853.5 1268.5±282.2 753.98±355.2 1774.8±340.7
0.893 0.008**
0.043**
0.01**
0.002**
탄수화물 (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10.02±40.26 460.52±59.92 169.65±53.8 409.71±122.2
190.05±51.86 204.21±52.55 138.54±62.24 244.31±39.5
0.225 0.008**
0.138 0.006**
0.001**
단백질(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42.02±14.49 109.5±26.32 33.16±7.96 94.44±38.14
53.91±39.11 48.28±8.17 22.48±14.81
72.11±17.3
0.686 0.008**
0.225 0.11
0.002**
지방(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1.36±19.03 75.69±32.19 28.24±12.65 69.04±34.08
37.31±33.13 28.78±8.11 11.59±13.8 59.53±29.7
0.345 0.011**
0.043**
0.328
0.055†
칼슘(m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338.95±77.21 839.37±280.8 197.73±54.44 740.71±340.1
395.34±315.8 401.6±196.43 173.8±179.13 587.69±212
0.5 0.011**
0.5 0.155
0.023**
나트륨(m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039.5±732.1 5506.4±1687 1592±675.71 4665.5±2266
3122±1502.6 2793.7±522.5 1294±1103.6 3228.7±1135
0.225 0.008**
0.5 0.033**
0.008**
철(mg)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10.9±1.89 26.53±4.86
7.37±2.68 23.13±7.28
16.17±9.85 15.38±6.97 5.52±2.67 14.05±4.39
0.225 0.008**
0.225 0.008**
0.002**
Values are Mean ± SD, **p<.05, †p<.1
[표 7-1 영양 섭취량의 변화]
- 54 -
5.1.1 에너지 섭취량의 변화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에너지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1194±257.17 2931.5±464.5 1054.5±281 2603.5±841.2
1146.7±853.5 1268.5±282.2 753.98±355.2 1774.8±340.7
0.893 0.008**
0.043**
0.01**
0.002**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2 에너지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Kcal)]
EER(Estimated Energy Requirement): 에너지 요구량 추정치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1 에너지 섭취량 변화 그래프(Kcal)]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에너지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건강 교육군을 제외한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 교육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5.1.2 탄수화물 섭취량의 변화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탄수화물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10.02±40.26 460.52±59.92 169.65±53.8 409.71±122.2
190.05±51.86 204.21±52.55 138.54±62.24 244.31±39.5
0.225 0.008**
0.138 0.006**
0.001**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3 탄수화물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g)]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2 탄수화물 섭취량 변화 그래프(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탄수화물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운동군, 운동+영양 교육군에서
- 56 -
5.1.3 단백질 섭취량의 변화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단백질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42.02±14.49 109.5±26.32 33.16±7.96 94.44±38.14
53.91±39.11 48.28±8.17 22.48±14.81
72.11±17.3
0.686 0.008**
0.225 0.11
0.002**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4 단백질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g)]
RNI(Reference Nutrient Intake): 영양소 섭취기준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3 단백질 섭취량 변화 그래프(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단백질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운동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5.1.4 지방 섭취량의 변화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지방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1.36±19.03 75.69±32.19 28.24±12.65 69.04±34.08
37.31±33.13 28.78±8.11 11.59±13.8 59.53±29.7
0.345 0.011**
0.043**
0.328
0.055†
Values are Mean ± SD, **p<.05, †p<.1
[표 7-5 지방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g)]
Values are Mean ± SD, **p<.05, †p<.1
[그림 6-4 지방 섭취량 변화 그래프(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단백질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1), 운동군과 영양 교육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 58 -
5.1.5 칼슘 섭취량의 변화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칼슘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338.95±77.21 839.37±280.8 197.73±54.44 740.71±340.1
395.34±315.8 401.6±196.43 173.8±179.13 587.69±212
0.5 0.011**
0.5 0.155
0.023**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6 칼슘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mg)]
RNI(Reference Nutrient Intake): 영양소 섭취기준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5 칼슘 섭취량 변화 그래프(m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칼슘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운동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5.1.6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2039.5±732.1 5506.4±1687 1592±675.71 4665.5±2266
3122±1502.6 2793.7±522.5 1294±1103.6 3228.7±1135
0.225 0.008**
0.5 0.033**
0.008**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7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mg)]
RNI(Reference Nutrient Intake): 영양소 섭취기준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6 나트륨 섭취량 변화 그래프(m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운동군과 운동+영양 교육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 60 -
5.1.7 철 섭취량의 변화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철 섭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10.9±1.89 26.53±4.86
7.37±2.68 23.13±7.28
16.17±9.85 15.38±6.97 5.52±2.67 14.05±4.39
0.225 0.008**
0.225 0.008**
0.002**
Values are Mean ± SD, **p<.05
[표 7-8 철 섭취량의 변화 결과표(mg)]
RNI(Reference Nutrient Intake): 영양소 섭취기준 Values are Mean ± SD, **p<.05
[그림 6-7 철 섭취량 변화 그래프(mg)]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철 섭취량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p<0.05), 운동군과 운동+영양 교육군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 62 -
7.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IPAQ)의 변화
7.1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의 변화
본 연구에서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 후 네 그룹의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의 변화는 [표 9-1]에 제시한 바와 같다. 12 주간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에 따른 네 그룹의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시간에 따른 변화는 운동+영양 교육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1).
Values are Mean ± SD, †p<.1
[표 9-1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의 변화]
[그림 8-1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 변화 그래프(MET-min/week)]
구분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IPAQ (MET- min/week)
건강 교육군 운동군 영양 교육군 운동+영양교육군
1396±1018 2100±1678 1139±1038 1466±1191
1289.4±458 2629±1137 1028±1004 2682±1370
0.5 0.5 0.62 0.065†
0.186
Ⅴ . 논 의
본 연구는 12 주간의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이 여자 노인의 노쇠 상태와 근력 및 영양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노쇠 상태의 변화
본 연구는 12 주간의 밴드 운동과 영양 교육을 통해 여자 노인의 노쇠 상태를 변화시켰다.
Lipsitz(2002), Lipsitz, Goldberger(1992)와 Fried 등(2005)에 의하면 노쇠는 임상적으로 노화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상태로 취약성이 높아져 생리학적 보유 능력, 다양한 조직 시스템 또한 감소한 상태이며, 매일 혹은 일시적인 스트레스에 면역 반응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노쇠는 식욕 저하로 식이 섭취량이 감소되면서 체중감소와 이로 인한 근육량 감소, 근력, 근파워가 감소하여 보행 속도와 같은 신체기능이 감소하고, 이에 신체 활동량 또한 적어져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는 악순환고리를 보여준다.
Hawkins, Wiswell, Marcell(2003)에 따르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인은 근력과 근육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기능적인 능력도 감소하게 된다. 50 세에서 70 세 사이에 대게 30% 이상이 감소하며, 그 이후에는 근력이 더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Ferrucci 등(2004)에 의하면 운동 중재는 노쇠의 진단기준 5 가지 항목을 예방하고, 진행 속도를 늦추며
- 64 -
다시 노쇠 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운동만 처치했을 때는 노쇠 상태의 변화가 없었다.
Manal(2015)에 따르면 노쇠에 대한 영양요법 중재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한다. Daniels (2008)에 의하면 지역사회 노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중재가 일상생활수행의 신체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하다고도 한다.
Milne(2009)에 따르면 영양결핍을 보이는 노인에게 단백질과 에너지 보충요법을 실시할 경우 체중 증가와 사망률 감소에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능 상태 개선 효과에 대한 근거는 미약한 실정이다. Nykänen(2012)의 연구에 따르면 영양 교육에 관해서는 75 세 이상의 노쇠나 노쇠 전 단계 노인들에게 1 년동안 개인 영양 교육을 시행하자 노쇠 상태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양 교육만 처치했을 때는 노쇠 상태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운동과 영양 교육을 함께 처치하였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p<.05) 이는 12 주간 노쇠 하거나 노쇠 전 단계인 노인들에게 저항 운동, 영양 및 심리 사회학적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한 satohi 등(2017)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